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김창호, 盧의 '좌파 신자유주의' 적극 옹호

"홍세화의 '좌파 신자유주의=어불성설' 주장이야말로 시대착오"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이 때늦게 노무현대통령의 '좌파 신자유주의' 발언을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이 과정에 김 처장은 홍세화 <한겨레신문> 시민편집인 등의 고유명사까지 들먹이며 마치 좌우 냉전논리에 사로잡힌 구시대 인사인양 비판해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김창호 "좌파와 신자유주의는 대립개념 아니다"

김 처장은 17일 국정브리핑 블로그(http://blog.news.go.kr/kimch)를 통해 노대통령이 네티즌과의 대화에서 스스로를 ‘좌파 신자유주의’라고 규정해 논란을 일으킨 것과 관련, 노대통령을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그는 "노 대통령이 최근 네티즌과의 대화에서 스스로를 ‘좌파 신자유주의’라고 규정한 바가 있다"며 "적지 않은 선후배 선생님들께서 이를 두고 ‘형용모순’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형용모순’이란 꾸며주는 형용사와 꾸밈 받는 명사가 모순을 일으킨다는 철학적 개념이다. 예를 들자면 ‘둥근 삼각형’의 경우처럼 ‘둥근’과 ‘삼각형’이 서로 화해할 수 없는 모순의 관계를 지적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홍세화 시민편집인을 지목해 "홍세화 선생이 한겨레 독자들에게 발송한 편지에서 ‘좌파 신자유주의’를 ‘어불성설’이라고 썼다고 한다"며 "그러나 한번 냉정하게 생각해보자. 거칠게 말하면 모순은 같은 차원에서 서로 화해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용어다. 그러나 ‘좌파’와 ‘신자유주의’는 서로 다른 차원의, 사회적 인식을 평가하는 독자적인 잣대다. 이런 점에서 보면 ‘좌파 신자유주의’를 ‘어불성설’로 평가하는 것은 바로 범주를 착오한 결과가 아닐까"라고 반박했다. 요컨대 좌파와 신자유주의는 절대로 대립개념이 아닌데 홍 편집인이 이를 착오해 엉뚱한 비판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이 노대통령의 '좌파 신자유주의' 발언을 뒤늦게 적극 옹호하고 나서 논란을 예고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이어 "역사적으로 지식인들이 항상 경계해야 할 것은 자칫 관념적 도그마에 빠질 수도 있다는 점"이라며 "개념적 일관성과 완결성도 좋지만 과거의 잣대로 변화하는 현실을 외면하고 재단하는 경우"라고 재차 홍 편집인 등을 비판했다.

"언론과 '동원된 지식인'이 구태적 공격 일삼아"

그는 "현재 우리사회가 요구하는 바는 과거와 다른 더 높은 수준의 개방과 그에 따른 양극화의 해소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점"이라며 "과연 이같은 우리 현실을 ‘좌파’와 ‘신자유주의’ 식의 적대적 개념만으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한 현실인식이라 할 수 있을까. 구태여 적대적 개념으로 설명한다면 역설적으로 '좌파 신자유주의'가 불가피한 표현이 아닌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언어는 사회적 약속인 만큼 언제나 현실의 변화를 시차를 두고 따르기 마련이어서 언어는 보수적이고 세계의 변화를 설명하는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며 "‘좌파 신자유주의’는 비록 모순은 아니라 할지라도 과거의 이념적 잣대로는 평가할 수 없을 정도로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변화한 현실을 반영한 개념으로, 오히려 이를 과거의 틀로 환원시켜 해체하려는 것이 오히려 관념적 독단"이라고 강변했다.

김 처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우리 언론과 언론에 의해 ‘동원된’ 일부 지식인들은 의도적인지는 알 수 없으나 과거의 틀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평가하고 이를 되돌리려 하고 있다"며 "이들은 낡은 틀에 맞춰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순'과 갈등으로 끌어가 해체하거나 공격한다. 극소수의 진보적 지식인도 참여정부에 대한 언론의 비판 담론에 편승해 진보적 의제를 참여정부 비판의제로 해소해 버린 경우도 있다"고, 좌파 신자유주의 발언을 비판하는 이들을 싸잡아 비난하기도 했다.

거꾸로 선 변증법적 접근

김 처장의 '좌파 신자유주의' 옹호는 그동안 비난여론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온 데 대한 참여정부의 자성(?)에 기초한 뒤늦은 반론제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좌파'와 '신자유주의'를 대립 개념이 아닌 변증법적 발전과정의 상호보완적 개념으로 설정한 그의 접근법은 객관적 사실과 동떨어진 접근법이라는 점에서, 관념적 궤변이라는 비판을 자초하고 있다.

1990년대초부터 미국이 전세계적 규모로 신자유주의를 주도한 결과, 지구적 차원에서는 물론, 미국을 비롯한 한국 등 모든 신자유주의 채택국가에서 예외없이 부익부빈익빈 양극화 현상이 극심해졌음은 부인할 수 없는 객관적 현실이기 때문이다.

철학은 객관적 사물에 기초할 때 사변적 관념론의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김 처장의 '좌파 신자유주의' 옹호는 유감스럽게도 헤겔류의 거꾸로 선 변증법적 접근일 수밖에 없다.
박태견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