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美정부 "북-미 BDA 회담, 생산적이었다"

북측 모종의 타협안 제출 시사, 6자회담 전망 밝아져

중국 베이징에서 이틀간 열렸던 북-미 2차 금융실무회의가 31일이 종료됐다. 미국은 회담 결과에 만족감을 표시해 오는 8일 열릴 북핵 6자회담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31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30일에 이어 31일 중국 베이징 북한 대사관에서 북-미 양국은 방코델타아시아(BDA)은행의 북한계좌 동결문제를 협의하고 이틀간의 일정을 끝냈다.

미국측 대표인 대니얼 글레이저 재무부 금융범죄담당 부차관보는 회담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으로부터 대단히 유용한 정보를 얻었다. 생산적이었다"며 “해결책 마련을 위해 진전할 수 있는 단계”라고 말해, 북측이 일부 불법행위를 인정한 뒤 재발방지책 등 모종의 타협안을 제출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그는 "BDA에 관해 30만쪽의 자료를 조사했다. BDA 북한계좌가 자금세탁에 사용됐다는 우려가 사실이라는 점이 입증됐다. 이는 문제해결을 위한 작업이었다"며 "정보를 북한에 전하고 우리들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촉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해, 북한에 대해 위조 달러 제작 중단은 물론 자금세탁 등 불법행위 전면 중단을 촉구했음을 시사했다.

톰 케이시 미 국무부 부대변인 역시 이번 베이징 회담에 대해 "좋은 회의를 했다고 본다"며 "유익한 정보 교환이 있었고 이 같은 협의들이 추후 계속되길 희망한다"고 만족감을 표시했다. 그는 "북한과 하루 종일 회의를 했다“며 "회의는 오늘로 끝났지만 더 많은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다시 만나기로 했다"고 말해, 가까운 시일내 3차 실무회담을 예고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와 관련, “오는 8일 열릴 예정인 차기 북핵 6자회담에서 BDA 동결 계좌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합의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2차 BDA회담의 성공리에 끝남에 따라 오는 8일 베이징에서 열릴 북핵 6자회담의 전망이 밝아졌으며, 이에 따라 북한의 핵동결과 대북 경제원조라는 구체적 합의점이 도출될 지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임지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