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심위,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주의
야당추천인사들 "정미홍 건은 왜 가만두나?" 반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23일 박창신 원로신부를 인터뷰한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대해 '주의' 징계를 결정했다.
방심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이 프로그램이 지난 해 11월 시국미사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한 박 신부를 인터뷰하며 허위 발언을 내보내는데도 진행자를 이를 적절히 제지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징계했다.
이들은 박 신부가 인터뷰 과정에서 지난 대선을 부정선거로 단정하고 NLL(서해 북방한계선)을 유엔군이 일방적으로 그은 선에 불과하다는 등의 언급을 한 것을 문제 삼았다.
정부여당 추천 인사인 박만 위원장은 "방송을 들어보면 진행자가 공정한 시각에서 인터뷰를 하려는 의도 보다는 박 신부의 의견을 확인하거나 간접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청취자들에게 박 신부의 주장이 타당하다는 이미지를 심어주고, 지난 대선을 모든 국가 기관이 합작한 부정선거라고 하는 등 객관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사실을 발언하는 것도 방치했다"며 "방송심의규정의 공정성과 객관성 조항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엄광석 위원은 "박 신부의 연평도 포격 관련 발언(NLL 발언)은 대한민국 국민이 한 발언이라고 믿을 수 없는, 북한의 주장을 되풀이한 발언"이라며 "방송사가 이를 바로잡지 않은 실책은 크다"고 가세했다.
권혁부 부위원장은 "박 신부의 시국미사 발언이 엄청난 파문을 일으킨 상황에서 시사대담 프로그램에 출연시키면 허위 주장을 일방적으로 늘어놓을 것이라는 건 충분히 예상 가능한 일"이라며 "(그럼에도) 박 신부를 출연시켜 시국미사 당시 발언을 여과 없이 (다시 한 번) 할 수 있게 한 것은 방송을 제작하는 입장에서 명백하게 공정성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야당추천 인사들은 종북발언을 한 정미홍 전 아나운서를 출연시킨 <TV조선> 사례를 들어 '이중잣대'라고 강력 반발했다.
장낙인 위원은 "TV조선 <뉴스쇼 판>에 출연한 정 전 아나운서는 박원순 서울시장 등 3인의 야권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해 종북이라고 말하며 사실과 다른 내용을 근거로 들었다"며 "결국 법원으로부터 명예훼손 등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하라는 판결을 받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 정부·여당 추천 위원들은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경신 위원도 "정 전 아나운서가 출연한 <뉴스쇼 판> 등 종편 프로그램에 대해선 수많은 ‘문제없음’과 ‘의견제시’를 주장했으며 <김현정의 뉴스쇼>에 대해서만 법정제재를 하겠다는 게 어떻게 일관성 있는 태도인지 설명해야 한다"며 "근거를 대지 못한다면 방심위는 ‘비이성의 쇼’를 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김택곤 상임위원 역시 "TV조선 <돌아온 저격수다> 등 종편 프로그램들이 NLL과 관련해 보수 논객들을 불러 방송을 한 다섯 개 심의 안건에 대해 정부·여당 추천 위원들은 모두 ‘문제없음’ 아니면 행정지도성 조치인 ‘의견제시’, ‘권고’ 등의 (경징계) 결정을 내렸다"며 "출연자들이 사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지 않고 일방적인 주장을 토론을 이끌어 갔음에도 별 문제제기가 없었다"고 가세했다.
그러나 위원장을 포함한 정부여당 추천 인사들은 징계 강행을 시도했고 이에 반대하는 야당 추천인사들과 고성이 오가는 통에 회의는 20여분간 정회됐다. 속개 후 결국 여당 추천 심의위원 5명이 ‘주의’ 의견을 내 그대로 의결됐다.
방심위는 이날 전체회의에서 이 프로그램이 지난 해 11월 시국미사에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한 박 신부를 인터뷰하며 허위 발언을 내보내는데도 진행자를 이를 적절히 제지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징계했다.
이들은 박 신부가 인터뷰 과정에서 지난 대선을 부정선거로 단정하고 NLL(서해 북방한계선)을 유엔군이 일방적으로 그은 선에 불과하다는 등의 언급을 한 것을 문제 삼았다.
정부여당 추천 인사인 박만 위원장은 "방송을 들어보면 진행자가 공정한 시각에서 인터뷰를 하려는 의도 보다는 박 신부의 의견을 확인하거나 간접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청취자들에게 박 신부의 주장이 타당하다는 이미지를 심어주고, 지난 대선을 모든 국가 기관이 합작한 부정선거라고 하는 등 객관적으로 인정되지 않은 사실을 발언하는 것도 방치했다"며 "방송심의규정의 공정성과 객관성 조항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엄광석 위원은 "박 신부의 연평도 포격 관련 발언(NLL 발언)은 대한민국 국민이 한 발언이라고 믿을 수 없는, 북한의 주장을 되풀이한 발언"이라며 "방송사가 이를 바로잡지 않은 실책은 크다"고 가세했다.
권혁부 부위원장은 "박 신부의 시국미사 발언이 엄청난 파문을 일으킨 상황에서 시사대담 프로그램에 출연시키면 허위 주장을 일방적으로 늘어놓을 것이라는 건 충분히 예상 가능한 일"이라며 "(그럼에도) 박 신부를 출연시켜 시국미사 당시 발언을 여과 없이 (다시 한 번) 할 수 있게 한 것은 방송을 제작하는 입장에서 명백하게 공정성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야당추천 인사들은 종북발언을 한 정미홍 전 아나운서를 출연시킨 <TV조선> 사례를 들어 '이중잣대'라고 강력 반발했다.
장낙인 위원은 "TV조선 <뉴스쇼 판>에 출연한 정 전 아나운서는 박원순 서울시장 등 3인의 야권 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해 종북이라고 말하며 사실과 다른 내용을 근거로 들었다"며 "결국 법원으로부터 명예훼손 등을 이유로 손해배상을 하라는 판결을 받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 정부·여당 추천 위원들은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박경신 위원도 "정 전 아나운서가 출연한 <뉴스쇼 판> 등 종편 프로그램에 대해선 수많은 ‘문제없음’과 ‘의견제시’를 주장했으며 <김현정의 뉴스쇼>에 대해서만 법정제재를 하겠다는 게 어떻게 일관성 있는 태도인지 설명해야 한다"며 "근거를 대지 못한다면 방심위는 ‘비이성의 쇼’를 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김택곤 상임위원 역시 "TV조선 <돌아온 저격수다> 등 종편 프로그램들이 NLL과 관련해 보수 논객들을 불러 방송을 한 다섯 개 심의 안건에 대해 정부·여당 추천 위원들은 모두 ‘문제없음’ 아니면 행정지도성 조치인 ‘의견제시’, ‘권고’ 등의 (경징계) 결정을 내렸다"며 "출연자들이 사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지 않고 일방적인 주장을 토론을 이끌어 갔음에도 별 문제제기가 없었다"고 가세했다.
그러나 위원장을 포함한 정부여당 추천 인사들은 징계 강행을 시도했고 이에 반대하는 야당 추천인사들과 고성이 오가는 통에 회의는 20여분간 정회됐다. 속개 후 결국 여당 추천 심의위원 5명이 ‘주의’ 의견을 내 그대로 의결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