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특혜' 제2롯데월드, 친박 마침내 공론화
이혜훈 "국민안전과 국가안위 차원에서 재검토해야"
친박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에서 "전문가들 우려대로 제2롯데월드의 충돌 위험성이 높다면 이번 아이파크 헬기 충돌 사건과는 비교할 수조차도 없을 것"이라며 "이미 건축허가는 났지만 아직 완공된 상태는 아닌 만큼 제2롯데월드의 층수조정 문제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의 안위 차원에서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아이파크는 30층짜리 아파트에 불구하지만 제2 롯데월드는 123층의 어마어마한 세계 6위의 초대형 건축물일 뿐만 아니라, 하루에도 수많은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성남 공항에서 최소한의 안전거리도 확보되지 않는 인접거리에 위치한다는 사실은 충돌위험이 몇 배로 높아질 수 있는지 상상도 되지 않는다'며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제2 롯데월드가 전문가 및 공군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MB가 강행해 허가된 대표적 특혜 의혹임을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지역경제 활성화에 엄청난 파급력을 가지는 초대형 123층짜리 제2롯데월드를 희생시키는 것은 기업친화적인 국정운영 기조에 맞지 않는다며 허가를 밀어부쳐왔다"며 MB정권 논리를 거론한 뒤, "국민안전과 국가안위에 대한 전문가, 국민의 우려가 반영되지 않았다. 불과 2년 전만 해도 조종사들의 75%, 군관제사의 85%가 충돌위험이있다고 진술했지만 묵살되고 강행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뿐만 아니라 성남 활주로를 3도 변경한다고 해도 제2롯데월드와 이격거리가 최대 1천500미터 밖에 되지 않아 최소 장애물 회피기준인 1천852미터를 확보할 수 없다는 전문가 의견도 묵살할 채 동편 활주로를 2.71도 변경 하는 선에서 반영됐다"며 대형참사 위험성을 거듭 강조했다.
롯데그룹은 자신들과 밀접했던 김영삼 대통령이 1992년 집권하자마자, 제2 롯데월드 사업을 밀어부치기 시작했다. 그러나 YS도 국민적 반발과 군의 반대에 부딪쳐 이를 허가하지 못했다.
그러던 것이 역시 롯데와 밀접했던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취임 직후 국방장관에게 제2롯데월드 건설을 긍정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결국 숱한 논란 끝에 2009년 군은 보조 활주주로 방향을 3도 가량 옆으로 비트는 데 드는 공사비용을 롯데가 부담한다는 조건아래 15년간 고수했던 반대논리를 접어야 했다. 이 과정에 공군참모총장이 경질되는 등 진통이 일기도 했으며, 보수진영에서조차 MB정권에 대해 "안보까지 팔아먹냐"는 비난의 목소리가 터져나올 정도로 여론의 반발이 대단했다.
555m 높이의 123층으로 건설될 예정인 제2 롯데월드는 현재 공정률 46%, 123층 가운데 50층까지 공사가 진행된 상태로, 롯데그룹은 당초 목표보다 1년 앞당긴 2015년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롯데그룹은 MB정부 때 제2롯데월드를 비롯해 부산롯데타운 신축허가, 맥주사업 진출, AK글로벌(현 롯데DF글로벌) 면세점 지분 인수, 경남 김해관광유통단지 추가 개발 등 각종 특혜 논란속에 급성장해 각종 의혹을 낳았다.
오너 비리를 중점 조사하는 서울국세청 조사4국 직원 150명은 지난 7월16일 롯데그룹 주력인 유통부문의 지주회사격인 롯데쇼핑의 롯데백화점·롯데마트·롯데슈퍼·롯데시네마 등 4개 사업본부에 대한 전격 세무조사에 착수, MB정권 비리에 대한 조사가 시작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