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셰 "중국 경제보복, 중국보다 일본에 큰 타격"
"중일 분쟁으로 세계경제에 또다른 충격 주고 있어"
앤디 셰(謝國忠) 전 모건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7일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일 영유권 분쟁이 세계 경제에 또다른 충격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줄어드는 정도의 희생을 치를 것"이라며 "그러나 일본은 자동차산업에 희망을 걸고 있어 충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인 중국에서 독일과 미국, 한국의 자동차 판매량이 지난달 10% 이상 늘어난 것과는 반대로 일본 브랜드의 승용차 판매량은 감소세를 보였다.
또 일본의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열도) 국유화에 항의하는 반일 시위가 격화하면서 중국에 진출한 현지 일본 기업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 칭다오(靑島)의 도요타자동차 대리점과 파나소닉 공장이 불 타는 등 일본계 기업들이 중국 시위대의 습격을 받게 되자 임시 휴업에 들어가고 있다.
일본 자동차를 판매하는 중국 대리점들도 시위대 공격으로 일부 영업점들이 파손되자 아예 문을 닫았다고 뤄레이(羅磊) 중국자동차유통업협회 부비서장이 밝혔다.
협회에서 10년간 일한 뤄 부비서장은 인터뷰에서 대다수 중국 시민들이 일본 상품 불매운동은 물론 안전상의 이유로 일본 자동차를 사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뤄 부비서장은 "자연재해로 촉발된 충격은 빨리 치유되지만 일본 자동차에 대한 적대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본 전자그룹인 파나소닉도 칭다오 공장이 중국인 노동자들에 의해 화염에 휩싸여 9.18 만주사변 51주년 이후인 오는 20일까지 임시 휴업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미국 AP통신은 중국이 영유권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일본 상품 불매운동 등 일본에 경제적 타격을 가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중국 국가관광총국은 지난주 전국 여행사들에 대해 오는 10월 초 국경절 연휴 때 일본 관광상품을 취소하라고 지시하고 손해는 보상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중국 공산당의 방침을 선전하는 관영 언론도 일본 상품 불매운동에 가담했다.
중국 중앙(CC)TV는 지난 주말 2개 주요 채널에서 일본 상품 광고를 중단했으며 한 지방 신문은 일본 브랜드 명단을 게재하고 불매운동을 벌일 것을 촉구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해외판은 1면 사설에서 만약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중일간 영유권 분쟁이 악화화면 중국이 경제 보복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상하이 소재 소니 노트북 판매대리점 관계자는 "지난달 한 달간 100대 이상 팔았는데 이달 들어 13일간 10대밖에 못 팔았다"면서 "손님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2010년 일본 당국이 자국 해안경비대 선박과 충돌한 중국 어선 선장을 체포하자 첨단제품 생산에 사용하는 희귀 금속 수출을 잠정 중단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아시아 최대 경제대국인 양대 강대국의 영유권 분쟁으로 한국의 전략적 가치도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홍 연구위원은 "우리가 양국 중 어느 한 쪽 편을 든다면 반대편은 치명타를 입는다"면서 "한국이 동북아 평화의 중재자로서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