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들, "일본기업보다 한국기업 신뢰"
[에델만 연례조사] 세계 오피니언리더들의 인터넷매체 신뢰도 급상승
중국인들은 일본기업보다 한국기업을 크게 신뢰하는 것으로 드러나, 중국의 뿌리깊은 일본 불신이 우리 기업들의 중국진출에 반사이익을 안겨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인들, 일본기업보다 한국기업 크게 신뢰"
19일 일본 경제지 <후지산케이비즈니스>에 따르면, 세계 최대의 비상장 홍보컨설팅사인 에델만사가 최근 11개국의 오피니언 리더 1천9백50명에 대해 ‘에델만 신뢰도 지표조사(Edelman Trust Barometer)’를 실시했다.
한.미.일.중 4개국의 기업 신뢰도 비교조사 결과, 한국기업의 신뢰도는 일본에서 30%, 미국에서 40%에 그친 반면, 중국에서는 68%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 기업들은 한국인에게 61%, 미국인에게 62%의 신뢰도를 기록했으나 중국인들에게는 35%의 신뢰밖에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지산케이비즈니스>는 이와 관련, "일본이 중국인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이처럼 낮은 기업신뢰도를 기록한 것은 20세기초 일본의 침공을 받았던 중국인들의 뿌리깊은 혐오의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기업에 대해선 일본인들이 16%로 가장 낮은 신뢰도를 보였고, 한국인은 20%, 미국인은 31%의 신뢰도를 나타내 아직 국제사회에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기업들은 일본에서 80%의 신뢰도를 획득해 최근 미일동맹으로 더욱 친근해진 관계를 과시한 반면, 한국 69%, 중국 68% 등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본보다 낮았다.
한국인은 기업 불만 시 인터넷에 글 가장 많이 올려
한편 ‘다른 나라의 기업을 불신을 할 경우 인터넷에 이같은 불신의견과 경험담을 인터넷에 올렸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인은 61%가 ‘그렇다’고 답변, 한국의 인터넷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독일(10%), 프랑스(22%) 등 유럽 국가들은 인터넷을 통한 의견 표출에 부정적이었으며 일본은 34%, 미국은 36%였다.
‘다른 기업을 불신할 경우 함께 일하기를 거부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한국은 27%만이 ‘거부했다’고 밝혀 상대를 불신함에도 함께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64%, 중국 61%, 프랑스 51%, 미국-독일 49%, 영국 41%의 순으로 불신하는 상대와 일하는 데 거부감을 나타내, 이들은 파트너를 결정할 때 '신뢰'를 대단히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또한 한국은 ‘불신하는 상대 기업에 투자하기를 거부했는가’라는 질문에 50%만이 ‘거부했다’고 밝혀 상대를 불신함에도 불구하고 절반이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본은 84%가 거부의사를 나타냈고 프랑스 74%, 미국 74%, 영국 70%, 독일 67%, 중국 60%의 순으로 불신하는 기업에 투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신뢰도 두배 넘게 상승. 한국인 신문 불신률 높아
신뢰하는 정보를 얻는 매체의 경우 인터넷이 2005년 7%에서 2006년 15%로 두배 이상 신뢰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습득한 정보에 대한 신뢰도 역시 인터넷은 2005년 16%에서 2006년 43%로 급상승했다.
반면 신뢰하는 정보를 얻는 매체에서 신문과 방송은 각각 2005년 50%와 32%에서 2006년 39%와 22%로 급속히 하락했다.
기존 신문매체에 대한 신뢰도는 한국이 77%로 나타나 중국(72%)과 함께 가장 신문에 대한 불신이 심한 국가로 나타났다. 일본은 98%로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절대적이었고 이탈리아(97%), 독일(96%), 프랑스(94%), 캐나다(93%), 미국(87%) 등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한편 비정부기구(NGO)에 대한 신뢰도는 2005년보다 2006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야생동물기금(WEF)의 경우 2005년 40%에서 2006년 51%로 높아졌고, 환경단체인 그린피스와 인권단체 앰네스티인터내셔널은 각각 2005년 27%와 18%였던 신뢰도가 34%와 29%로 높아졌다.
‘에델만 신뢰도 지표조사’는 세계 11개국(브라질,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스페인, 영국, 미국)의 오피니언 리더와 재계, 정부 및 비정부기구(NGO)간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조사로 매년 35~60세의 대졸자로 연 7만5천달러(한화 7천만원 상당)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언론.경제.정치.정책 종사자 가운데 국제사회 현안에 관심이 높은 오피니언 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중국인들, 일본기업보다 한국기업 크게 신뢰"
19일 일본 경제지 <후지산케이비즈니스>에 따르면, 세계 최대의 비상장 홍보컨설팅사인 에델만사가 최근 11개국의 오피니언 리더 1천9백50명에 대해 ‘에델만 신뢰도 지표조사(Edelman Trust Barometer)’를 실시했다.
한.미.일.중 4개국의 기업 신뢰도 비교조사 결과, 한국기업의 신뢰도는 일본에서 30%, 미국에서 40%에 그친 반면, 중국에서는 68%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 기업들은 한국인에게 61%, 미국인에게 62%의 신뢰도를 기록했으나 중국인들에게는 35%의 신뢰밖에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지산케이비즈니스>는 이와 관련, "일본이 중국인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이처럼 낮은 기업신뢰도를 기록한 것은 20세기초 일본의 침공을 받았던 중국인들의 뿌리깊은 혐오의식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기업에 대해선 일본인들이 16%로 가장 낮은 신뢰도를 보였고, 한국인은 20%, 미국인은 31%의 신뢰도를 나타내 아직 국제사회에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기업들은 일본에서 80%의 신뢰도를 획득해 최근 미일동맹으로 더욱 친근해진 관계를 과시한 반면, 한국 69%, 중국 68% 등 한국과 중국에서는 일본보다 낮았다.
한국인은 기업 불만 시 인터넷에 글 가장 많이 올려
한편 ‘다른 나라의 기업을 불신을 할 경우 인터넷에 이같은 불신의견과 경험담을 인터넷에 올렸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인은 61%가 ‘그렇다’고 답변, 한국의 인터넷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독일(10%), 프랑스(22%) 등 유럽 국가들은 인터넷을 통한 의견 표출에 부정적이었으며 일본은 34%, 미국은 36%였다.
‘다른 기업을 불신할 경우 함께 일하기를 거부했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한국은 27%만이 ‘거부했다’고 밝혀 상대를 불신함에도 함께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은 64%, 중국 61%, 프랑스 51%, 미국-독일 49%, 영국 41%의 순으로 불신하는 상대와 일하는 데 거부감을 나타내, 이들은 파트너를 결정할 때 '신뢰'를 대단히 중시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또한 한국은 ‘불신하는 상대 기업에 투자하기를 거부했는가’라는 질문에 50%만이 ‘거부했다’고 밝혀 상대를 불신함에도 불구하고 절반이 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본은 84%가 거부의사를 나타냈고 프랑스 74%, 미국 74%, 영국 70%, 독일 67%, 중국 60%의 순으로 불신하는 기업에 투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신뢰도 두배 넘게 상승. 한국인 신문 불신률 높아
신뢰하는 정보를 얻는 매체의 경우 인터넷이 2005년 7%에서 2006년 15%로 두배 이상 신뢰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습득한 정보에 대한 신뢰도 역시 인터넷은 2005년 16%에서 2006년 43%로 급상승했다.
반면 신뢰하는 정보를 얻는 매체에서 신문과 방송은 각각 2005년 50%와 32%에서 2006년 39%와 22%로 급속히 하락했다.
기존 신문매체에 대한 신뢰도는 한국이 77%로 나타나 중국(72%)과 함께 가장 신문에 대한 불신이 심한 국가로 나타났다. 일본은 98%로 신문에 대한 신뢰도가 절대적이었고 이탈리아(97%), 독일(96%), 프랑스(94%), 캐나다(93%), 미국(87%) 등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한편 비정부기구(NGO)에 대한 신뢰도는 2005년보다 2006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야생동물기금(WEF)의 경우 2005년 40%에서 2006년 51%로 높아졌고, 환경단체인 그린피스와 인권단체 앰네스티인터내셔널은 각각 2005년 27%와 18%였던 신뢰도가 34%와 29%로 높아졌다.
‘에델만 신뢰도 지표조사’는 세계 11개국(브라질,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스페인, 영국, 미국)의 오피니언 리더와 재계, 정부 및 비정부기구(NGO)간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조사로 매년 35~60세의 대졸자로 연 7만5천달러(한화 7천만원 상당)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언론.경제.정치.정책 종사자 가운데 국제사회 현안에 관심이 높은 오피니언 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