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유엔수장 구테헤스는 세계적 '난민 전문가'
30여년 중도좌파 사회당서 활동…UNHCR 대표로 난민문제 선진국 기여 촉구
유엔의 새 사무총장으로 5일(현지시간) 사실상 확정된 안토니우 구테헤스는 포르투갈 정치인 출신이지만, 국제무대에서는 '난민 전문가'로 통하고 있다.
국제사회가 시리아 난민 사태에 직면한 시점이어서 2017년 1월 사무총장으로 취임하면 우선 이 난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05∼2015년 유엔난민기구(UNHCR) 최고대표를 지냈다. 선진국들이 난민을 돕기 위해 더 많은 기여를 해야 한다는 게 그의 일관된 주장이었다.
특히 시리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를 탈출한 난민들이 먼저 도착하는 터키와 요르단이 선진국으로부터 더 많은 지원을 받지 않는다면, 수백만 명의 난민은 결국 유럽으로 향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부유한 선진국이 이들에게 더 국경을 열고, 재정 지원을 해야 한다는 요지였다. 2013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에는 탈북자들이 북한에 강제 송환돼서는 안 된다고 강력히 반대하기도 했다.
이들의 경우 정치적 박해보다는 일거리가 없거나, 배고픔 때문에 도망친 경우가 많지만, 북송될 경우 처벌이나 박해를 받을 위험이 크다며 '현장 난민(refugee sur place)'으로 명명하기도 했다.
10년 동안 UNHCR을 이끌면서 사무국 규모를 3분의 1 줄였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인력을 난민구호 현장에 배치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지난 4월 발표된 유엔의 내부감사 결과에서는 그의 재임 때 UNHCR이 규정을 벗어난 자산 배분을 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1949년 4월 30일 포르투갈 수도 리스본에서 국영 전기회사 직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리스본대학에 속한 '고등기술연구소(IST)'에서 물리학과 전기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 출신이다.
물리학 박사가 돼 학생들을 가르치는게 꿈이었으나, 대학 시절 빈민가에서 봉사활동을 했던 경험이 그의 진로를 완전히 바꿨다.
졸업 3년 뒤인 1974년 사회당에 입당하며 정치인으로 변신했고, 포르투갈의 50년 군부독재를 종식한 '카네이션 혁명' 후의 사회당에서 핵심 멤버로 활동했다.
1976년 초선 의원이 됐으며 1992년 사회당 당 대표에 올랐다.
1995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승리하면서 포르투갈 총리에 됐다가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2002년 사임했다.
1999∼2005년 160여 개국 사회·노동계 정당 협의체인 사회주의인터내셔널(SI)의 의장을 지내며 국제적 지명도를 쌓았다.
타고난 웅변가라는 칭송을 듣는 그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다.
포르투갈에서 잠재적 대권 후보로 자주 입에 오르내렸으나, 그는 "나는 심판이라기보다는 선수"라며 출마하지 않았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지난 1월 언론 인터뷰에서도 "나는 행동하는 것, 운동장에서 뛰는 것, 나를 개입하도록 움직이는 것들을 좋아한다'며 자신의 '행동가' 면모를 부각시켰다.
포르투갈 정치권을 떠난 후에는 국외에서 외교 분야로 무대를 옮겼고 2005년 UNHCR 최고대표로 선출됐다.
정신과 의사였던 부인 루이자 아멜리아와의 사이에서 두 자녀를 뒀으나 1998년 아내와 사별했다. 3년 뒤 현재의 부인인 카타리나 마르케스 핀토와 재혼했다.
국제사회가 시리아 난민 사태에 직면한 시점이어서 2017년 1월 사무총장으로 취임하면 우선 이 난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05∼2015년 유엔난민기구(UNHCR) 최고대표를 지냈다. 선진국들이 난민을 돕기 위해 더 많은 기여를 해야 한다는 게 그의 일관된 주장이었다.
특히 시리아,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를 탈출한 난민들이 먼저 도착하는 터키와 요르단이 선진국으로부터 더 많은 지원을 받지 않는다면, 수백만 명의 난민은 결국 유럽으로 향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부유한 선진국이 이들에게 더 국경을 열고, 재정 지원을 해야 한다는 요지였다. 2013년 한국을 방문했을 때에는 탈북자들이 북한에 강제 송환돼서는 안 된다고 강력히 반대하기도 했다.
이들의 경우 정치적 박해보다는 일거리가 없거나, 배고픔 때문에 도망친 경우가 많지만, 북송될 경우 처벌이나 박해를 받을 위험이 크다며 '현장 난민(refugee sur place)'으로 명명하기도 했다.
10년 동안 UNHCR을 이끌면서 사무국 규모를 3분의 1 줄였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인력을 난민구호 현장에 배치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지난 4월 발표된 유엔의 내부감사 결과에서는 그의 재임 때 UNHCR이 규정을 벗어난 자산 배분을 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1949년 4월 30일 포르투갈 수도 리스본에서 국영 전기회사 직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리스본대학에 속한 '고등기술연구소(IST)'에서 물리학과 전기공학을 전공한 엔지니어 출신이다.
물리학 박사가 돼 학생들을 가르치는게 꿈이었으나, 대학 시절 빈민가에서 봉사활동을 했던 경험이 그의 진로를 완전히 바꿨다.
졸업 3년 뒤인 1974년 사회당에 입당하며 정치인으로 변신했고, 포르투갈의 50년 군부독재를 종식한 '카네이션 혁명' 후의 사회당에서 핵심 멤버로 활동했다.
1976년 초선 의원이 됐으며 1992년 사회당 당 대표에 올랐다.
1995년 총선에서 사회당이 승리하면서 포르투갈 총리에 됐다가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2002년 사임했다.
1999∼2005년 160여 개국 사회·노동계 정당 협의체인 사회주의인터내셔널(SI)의 의장을 지내며 국제적 지명도를 쌓았다.
타고난 웅변가라는 칭송을 듣는 그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다.
포르투갈에서 잠재적 대권 후보로 자주 입에 오르내렸으나, 그는 "나는 심판이라기보다는 선수"라며 출마하지 않았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지난 1월 언론 인터뷰에서도 "나는 행동하는 것, 운동장에서 뛰는 것, 나를 개입하도록 움직이는 것들을 좋아한다'며 자신의 '행동가' 면모를 부각시켰다.
포르투갈 정치권을 떠난 후에는 국외에서 외교 분야로 무대를 옮겼고 2005년 UNHCR 최고대표로 선출됐다.
정신과 의사였던 부인 루이자 아멜리아와의 사이에서 두 자녀를 뒀으나 1998년 아내와 사별했다. 3년 뒤 현재의 부인인 카타리나 마르케스 핀토와 재혼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