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국정을 주도하는 집권여당 만들겠다"
"靑, 청문회 대상 인사는 여당 뜻 반영돼야"
최경환 새누리당 신임 원내대표는 15일 "청와대, 정부와도 소통을 강화하고 야당과도 동반자적인 관계로 소통해서 국정을 주도하는 집권여당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라고 말했다.
최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원내대표 선출 뒤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금 집권 여당으로써의 존재감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는 이런 상황이다. 그래서 저희들이 합심하고 단합해서 당내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병헌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에 대해선 "야당에서도 전병헌 대표께서도 민생을 위해서, 또 국민을 위해서 생산적인 성과를 내는 국회 운영을 다짐했기 때문에 잘 협의해서 국민께서 걱정하지 않는 국회, 또 어려운 민생 현안을 손에 손을 잡고 해결하는 그런 관계로 발전을 시키도록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주영 의원과 불과 8표 차 접전을 벌인 데 대해선 "저는 선거과정에서 늘 '박심, 박심' 그런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 선거 결과를 봤을 때도 그런 부분은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싶다"며 "아무래도 이번 표심의 결과는 결국 집권 여당답게 일을, 국정 뒷받침을 제대로 해 성과를 내라는 목소리와 함께 청와대와 정부가 민심과 어긋날 때 견제도 잘 하라는 그런 의미가 담긴 표심이 아닌가 생각한다. 또 당내 민주화가 활성화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의 '윤창중 성추행 청문회' 요구에 대해선 "지금 한창 조사가 정부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어 조사결과가 안 나온 상황인데 운영위를 열어야 하는지는 야당과도 협의해볼 상황이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정부에서) 엄정한 조사를 한다고 했다"며 "조사결과를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불통 논란을 빚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인사와 관련해선 "인사검증 시스템 보강을 하고 주변 평가를 받는다던지 의사추천 채널을 좀 더 다양화 한다던지 하는 개선의 필요성이 늘 제기돼왔고, 그런 부분은 개선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인사 청문대상이 되는 인사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당의 의견이 반영되는 구조가 바람직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민주화 속도조절론에 대해선 "경제민주화와 관련해서는 지난 대선때 공약했던 것, 이런 부분들은 준비된 스케줄에 따라서 차질없이 진행중에 있다"면서도 "다만 법안의 범위나 내용에 대해서는 다소간 여야간에 정부와 견해차가 조금 있을수 있어 그런 부분들은 원만히 조정해 처리해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원내대표 선출 뒤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금 집권 여당으로써의 존재감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는 이런 상황이다. 그래서 저희들이 합심하고 단합해서 당내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병헌 민주당 신임 원내대표에 대해선 "야당에서도 전병헌 대표께서도 민생을 위해서, 또 국민을 위해서 생산적인 성과를 내는 국회 운영을 다짐했기 때문에 잘 협의해서 국민께서 걱정하지 않는 국회, 또 어려운 민생 현안을 손에 손을 잡고 해결하는 그런 관계로 발전을 시키도록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주영 의원과 불과 8표 차 접전을 벌인 데 대해선 "저는 선거과정에서 늘 '박심, 박심' 그런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 선거 결과를 봤을 때도 그런 부분은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하고 싶다"며 "아무래도 이번 표심의 결과는 결국 집권 여당답게 일을, 국정 뒷받침을 제대로 해 성과를 내라는 목소리와 함께 청와대와 정부가 민심과 어긋날 때 견제도 잘 하라는 그런 의미가 담긴 표심이 아닌가 생각한다. 또 당내 민주화가 활성화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의 '윤창중 성추행 청문회' 요구에 대해선 "지금 한창 조사가 정부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어 조사결과가 안 나온 상황인데 운영위를 열어야 하는지는 야당과도 협의해볼 상황이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정부에서) 엄정한 조사를 한다고 했다"며 "조사결과를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불통 논란을 빚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 인사와 관련해선 "인사검증 시스템 보강을 하고 주변 평가를 받는다던지 의사추천 채널을 좀 더 다양화 한다던지 하는 개선의 필요성이 늘 제기돼왔고, 그런 부분은 개선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인사 청문대상이 되는 인사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당의 의견이 반영되는 구조가 바람직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민주화 속도조절론에 대해선 "경제민주화와 관련해서는 지난 대선때 공약했던 것, 이런 부분들은 준비된 스케줄에 따라서 차질없이 진행중에 있다"면서도 "다만 법안의 범위나 내용에 대해서는 다소간 여야간에 정부와 견해차가 조금 있을수 있어 그런 부분들은 원만히 조정해 처리해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