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도 한국 신용등급 한단계 상향
3대 국제신용평가사 모두 한달새 신용등급 상향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피치에 이어 또다른 국제신용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14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올렸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이날 한국의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높이고 등급전망은 `안정적(stable)'을 부여했다.
S&P의 상향 조정은 2005년 7월 `A-'에서 `A'로 올린 지 7년여 만이다.
그러나 S&P 기준으로 우리의 외환위기 전 등급(AA-)이나 현재 일본과 중국의 등급(AA-)보다 한 단계 밑이고, `AA'급인 무디스나 피치 등급보다도 한 등급 아래다.
S&P는 상향 조정 이유로 북한 리스크 축소, 우호적인 정책환경, 재정 건전성 강화, 양호한 순대외부채 수준 등을 들었다.
S&P는 "앞으로 몇 년간 지속가능하고 강한 성장을 통해 1인당 GDP가 제고되거나 단기 차입 축소로 은행 시스템이 강화되면 추가로 상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의 정정 불안이 북한 체제 붕괴나 안보 불안을 유발하거나 자산 건전성이 나빠져 금융시스템이 크게 저해되면 하향 조정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이날 한국의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높이고 등급전망은 `안정적(stable)'을 부여했다.
S&P의 상향 조정은 2005년 7월 `A-'에서 `A'로 올린 지 7년여 만이다.
그러나 S&P 기준으로 우리의 외환위기 전 등급(AA-)이나 현재 일본과 중국의 등급(AA-)보다 한 단계 밑이고, `AA'급인 무디스나 피치 등급보다도 한 등급 아래다.
S&P는 상향 조정 이유로 북한 리스크 축소, 우호적인 정책환경, 재정 건전성 강화, 양호한 순대외부채 수준 등을 들었다.
S&P는 "앞으로 몇 년간 지속가능하고 강한 성장을 통해 1인당 GDP가 제고되거나 단기 차입 축소로 은행 시스템이 강화되면 추가로 상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의 정정 불안이 북한 체제 붕괴나 안보 불안을 유발하거나 자산 건전성이 나빠져 금융시스템이 크게 저해되면 하향 조정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