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인터넷기자협 "이형모, 모든 임원직 즉각 물러나라"

"이형모 컴백 개탄스럽다" "보유지분도 모두 내놓아야"

이형모 전 <시민의신문> 대표가 약속했던 단체 임원직 사퇴를 하지 않고 새로운 단체 이사가 된 데 대해 인터넷기자협회가 강력 비판하고 나섰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9일 성명을 통해 "인터넷기자협회 소속사인 <시민의신문>의 이형모 전 대표이사의 성추행 사건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며 "한동안 잠잠하다 싶었더니 다시 이형모가 화려한 컴백을 했다는 <뷰스앤뉴스>의 보도까지 나오고 있다. 개탄스럽지 않을 수 없다"고 탄식했다.

기자협은 또 <시민의신문> 이사회에 대해서도 "시민사회와 언론계의 유력 인사들로 구성된 시민의신문 이사회는 도덕성과 대의명분, 원칙과 상식으로 시민사회를 발전시키고, 사회를 개혁해야 하는 막중한 책무와 법을 지키고, 사회적 약자인 여성의 모성과 인권을 보호해야 할 언론인으로서의 공적 책무가 있다"며 "이사회는 그러나 이형모의 성추행 사건에 대해서 '사퇴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사표를 반려했을 뿐 아니라 이사들은 <시민의신문> 파행 책임을 노조와 직원들에 전가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본분을 망각한 행동이 아닐 수 없다"고 질타했다.

기자협은 "이사회가 제 식구 감싸기 행태를 보이는 가운데 이형모는 자신의 빚만을 상계 처리해 <시민의신문>을 훌훌 떠났고, 5억여원에 달하는 부채를 남겨놓았다고 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가"라며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기업 경영을 잘못하거나 자신의 부도덕한 비리로 인해 기업에 막대한 손실을 끼쳤을 때 해당 CEO는 사회적, 법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단죄를 받고 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시민의신문> 이사회는 이런 기본 상식마저도 저버리고 있는 셈"이라고 질타했다.

이씨와 이사회를 이렇게 신랄히 비판한 기자협은 "이형모는 자신이 관계하고 있는 시민사회와 관련된 모든 단체와 언론사의 임원직을 즉각 사퇴하고, 시민사회와 언론계에서 전면 퇴진해야 한다"고 지난 9월30일 사퇴때 공언했던 모든 임원직 사퇴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

기자협은 또 "그는 한 해에만 1억3천여만원에 달하는 급여 및 인센티브 등을 받아 갔다고 한다. 시민단체 공동신문을 표방하는 시민의신문 사주로서 취할 도리가 아니다"라며 "이형모는 도의적인 차원에서라도 자신이 소유한 <시민의신문> 지분을 전면 시민사회와 언론계 또는 시민의신문 노동자들에게 기부하거나, 매각해 <시민의신문> 정상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자협은 또 이사회에 대해서도 "이사회는 사장추천위원회 즉각 구성과 부채 해결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