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저축은행, 해외에 '수백억 비자금' 조성해 정-관계 로비?
해외건설에 투자한다면서 페이퍼컴퍼니 만들어 돈 빼내
부산저축은행그룹이 해외에 수백억 비자금을 조성해 정·관계 로비를 펼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 파문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9일 <동아일보> 단독보도에 따르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김홍일 검사장)는 8일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 등에 5천억 원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를 하는 과정에서 투자금의 일부가 해외의 ‘페이퍼컴퍼니’(서류로만 존재하는 회사)로 흘러들어간 단서를 잡고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이 돈이 국내 투자 명목으로 다시 들어와 대주주의 정관계 로비자금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부산저축은행그룹 계열 5개 은행은 대주주들의 지시로 캄보디아 신도시와 공항, 고속도로 등의 건설사업에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5천227억 원을 투자해 왔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투자금 수백억 원이 사업컨설팅비나 검수료 명목으로 조세피난처 등에 세워진 페이퍼컴퍼니 5, 6곳에 흘러들어간 단서를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현재로선 빼돌려진 자금을 수백억 원 규모로 보고 있지만 수사 진행상황에 따라 대주주들이 해외에 은닉한 비자금 규모는 더 불어날 수도 있다.
특히 검찰은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캄보디아 프놈펜 ‘캄코시티’ 개발사업을 위해 특수목적법인(SPC) 4곳에 2천984억 원을 투자한 과정이 의심스럽다고 보고 있다. 대주주들은 L사에 765억 원, M사에 216억 원, 또 다른 M사에 1186억 원, C사에 817억 원을 각각 빌려줬으며 이 돈의 대부분이 다시 L사로 모아졌다가 캄보디아 현지법인인 W사와 또 다른 L사로 나가는 등 복잡한 경로를 거쳤다는 것. 이 과정에서 페이퍼컴퍼니로 일부 자금을 빼돌리거나 대규모 부동산을 샀다가 되파는 방법으로 자금세탁을 거쳤다는 게 검찰의 시각이다. 검찰은 해외 공조수사 등을 통해 이 자금의 흐름을 추적할 방침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9일 <동아일보> 단독보도에 따르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김홍일 검사장)는 8일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 등에 5천억 원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를 하는 과정에서 투자금의 일부가 해외의 ‘페이퍼컴퍼니’(서류로만 존재하는 회사)로 흘러들어간 단서를 잡고 수사하고 있다.
검찰은 이 돈이 국내 투자 명목으로 다시 들어와 대주주의 정관계 로비자금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부산저축은행그룹 계열 5개 은행은 대주주들의 지시로 캄보디아 신도시와 공항, 고속도로 등의 건설사업에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5천227억 원을 투자해 왔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투자금 수백억 원이 사업컨설팅비나 검수료 명목으로 조세피난처 등에 세워진 페이퍼컴퍼니 5, 6곳에 흘러들어간 단서를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현재로선 빼돌려진 자금을 수백억 원 규모로 보고 있지만 수사 진행상황에 따라 대주주들이 해외에 은닉한 비자금 규모는 더 불어날 수도 있다.
특히 검찰은 부산저축은행그룹이 캄보디아 프놈펜 ‘캄코시티’ 개발사업을 위해 특수목적법인(SPC) 4곳에 2천984억 원을 투자한 과정이 의심스럽다고 보고 있다. 대주주들은 L사에 765억 원, M사에 216억 원, 또 다른 M사에 1186억 원, C사에 817억 원을 각각 빌려줬으며 이 돈의 대부분이 다시 L사로 모아졌다가 캄보디아 현지법인인 W사와 또 다른 L사로 나가는 등 복잡한 경로를 거쳤다는 것. 이 과정에서 페이퍼컴퍼니로 일부 자금을 빼돌리거나 대규모 부동산을 샀다가 되파는 방법으로 자금세탁을 거쳤다는 게 검찰의 시각이다. 검찰은 해외 공조수사 등을 통해 이 자금의 흐름을 추적할 방침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