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제조업 비중, 사상최대로 확장
서비스업 비중은 축소, 고용없는 성장 우려
우리나라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로 커졌다.
반면 국내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세에도 서비스업 성장률은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계절조정 기준 제조업의 총생산액은 올해 2분기에 79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80조원에 육박하는 제조업 총생산액은 이 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 289조5천억원의 27.6%에 해당한다.
1970년 15.9%에 불과했던 제조업 비중은 이후 본격적인 산업화에 시동을 걸면서 1980년대 이후 꾸준히 20%대를 유지했다.
국제 금융위기의 여파로 지난해 1분기 23.3%까지 낮아졌던 제조업 비중은 이후 꾸준히 커져 지금까지 사상 최대 기록인 1988년의 27.5%를 넘었다.
서비스업도 대체로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제조업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서비스업의 GDP 대비 비중은 지난해 1분기 55.9%에서 올해 2분기 52.6%로 계속 위축됐다. 이는 2004년 4분기의 52.1%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아직 제조업을 성장과 수출 동력으로 삼고 서비스업에 대해서는 규제와 보호를 강조해 산업 불균형이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명암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제조업 성장률은 올해 1분기 20.7%로 10년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도 18.0% 성장했다.
올해 2분기 일반기계 제조업의 성장률은 53.1%로 1977년 2분기의 67.1% 이후 거의 30년만에 가장 높이 치솟았다.
금속제품 제조업(24.2%), 가구 및 기타제품 제조업(24.0%),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21.8%)도 올해 2분기에 2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대로 서비스업은 음식.숙박(0.1%), 금융.보험(0.4%), 교육서비스(0.7%), 부동산.임대(0.9%) 등 1%에도 못 미치는 업종이 수두룩했다.
이러한 현상은 국외 거래 실적에도 그대로 나타나 2008년 4분기부터 상품수지는 7개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면서 분기당 흑자액이 평균 120억달러였지만 서비스수지는 분기마다 40억달러씩 적자를 봤다.
전문가들은 서비스업의 질적 개선이 뒤따르지 않으면 `고용없는 성장' 추세를 벗어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 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이 선진국의 절반도 안 된다"며 "서비스업내 경쟁을 촉진하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면 국내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세에도 서비스업 성장률은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계절조정 기준 제조업의 총생산액은 올해 2분기에 79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80조원에 육박하는 제조업 총생산액은 이 기간 명목 국내총생산(GDP) 289조5천억원의 27.6%에 해당한다.
1970년 15.9%에 불과했던 제조업 비중은 이후 본격적인 산업화에 시동을 걸면서 1980년대 이후 꾸준히 20%대를 유지했다.
국제 금융위기의 여파로 지난해 1분기 23.3%까지 낮아졌던 제조업 비중은 이후 꾸준히 커져 지금까지 사상 최대 기록인 1988년의 27.5%를 넘었다.
서비스업도 대체로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제조업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서비스업의 GDP 대비 비중은 지난해 1분기 55.9%에서 올해 2분기 52.6%로 계속 위축됐다. 이는 2004년 4분기의 52.1%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아직 제조업을 성장과 수출 동력으로 삼고 서비스업에 대해서는 규제와 보호를 강조해 산업 불균형이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명암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제조업 성장률은 올해 1분기 20.7%로 10년만에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도 18.0% 성장했다.
올해 2분기 일반기계 제조업의 성장률은 53.1%로 1977년 2분기의 67.1% 이후 거의 30년만에 가장 높이 치솟았다.
금속제품 제조업(24.2%), 가구 및 기타제품 제조업(24.0%),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21.8%)도 올해 2분기에 2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대로 서비스업은 음식.숙박(0.1%), 금융.보험(0.4%), 교육서비스(0.7%), 부동산.임대(0.9%) 등 1%에도 못 미치는 업종이 수두룩했다.
이러한 현상은 국외 거래 실적에도 그대로 나타나 2008년 4분기부터 상품수지는 7개 분기 연속 흑자를 내면서 분기당 흑자액이 평균 120억달러였지만 서비스수지는 분기마다 40억달러씩 적자를 봤다.
전문가들은 서비스업의 질적 개선이 뒤따르지 않으면 `고용없는 성장' 추세를 벗어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 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이 선진국의 절반도 안 된다"며 "서비스업내 경쟁을 촉진하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