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 "CIA와 확인, 북한 특이동향 없었다"
"만일 북한 공격이라면 김정일이 직접 지시했을 것"
원 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 정보위원회에 출석,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북한과의 관련성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고 한 정보위원이 회의 중간에 나와 기자들에게 전했다.
원 원장은 이어 “국정원은 북한의 정무적인 것을 보고 판단한다”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 후계구도, 화폐개혁에 따른 경제 불안 등을 감안하면 (북한과의 연계성은) 부정적이다”라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그러면서도 "모든 가능성은 다 열려 있다"고 북한 개입 가능성 여지를 남겨두었다.
그는 또 천안함 사고 당시 북한인민군 정찰국 해상처 소속 상어급 잠수함(300톤급)의 기동 의혹과 관련한 초강경파인 김격식 4군 단장의 단독 행동 가능성에 대해선 "만에 하나 천안함 사건에 북이 연루돼 있다면 정찰국장 차원에서 이뤄진다는 것은 어렵지 않겠나"라고 반문한 뒤, "북한과 관련해 물증이 없지만 만일 증거가 있다면 김정일의 지시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이 정도의 일은 김정일의 승인 없이는 할 수 없으나, 이번에는 이와 관련한 특이한 동향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밖에 "중국 당국도 천안함 침몰과 북한의 관련성에 대해 의혹을 가지기 때문에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한 정보위원의 질문에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일축했다.
그는 교신일지 공개 여부와 관련해선 "교신일지는 군사기밀이고 정보를 미국과 공유하거나 상당부분 의존하기에 (공개가 되면) 한국이 대북활동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데 어렵다"며 "예를 들어 김정일이 어느 지역, 어느 별장에 있다고 하는 식의 정보가 유출되면 언론이나 국민의 당장의 궁금증은 해결할 수 있겠지만 국익을 고려할 때 손해일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한마디로 서로가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 문제로 정보 은폐를 얘기하는데 21세기에 정보 은폐가 과연 가능하겠나"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는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 여부에 대해선 "4월 9일 이전이 아니면 4월 말경으로 또 한번의 방중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그러나 상황을 단언하기는 어렵다. 이렇게 (일정이) 알려지면 갑자기 일정이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정보위에 참석한 여당의 한 정보위원은 회의 분위기와 관련, "초계함 침몰 사건은 국정원 중심이 아니라 국방부 중심이라 가정법으로 질문하고 가정법으로 대답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며, 국정원이 북한연루설을 뒷받침할 뚜렷한 물증을 갖고 있지 않음을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