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버맨 美하원 외교위원장 "오바마, 북한과 대화 원해"

[김동석의 뉴욕통신] "한미FTA, 앞으론 긍정적 분위기로 갈 것"

연방의회 110회기 초반인 지난 2007년 봄, 어느 날 하원 외교위원회의 '탐 랜토스(Tom Lantos)' 위원장은 외교위내 서열 2위인 ‘하워드 버맨’ 의원을 자신의 사무실로 불렀다. 버맨 의원은 같은 유태계이며 지역구도 같은 캘리포니아 출신이다. 랜토스 위원장이 12살이 많지만 연방의회 진출은 랜토스가 1980년에, 버맨이 1982년에 진출해서 거의 함께 의정활동을 해 왔다.

‘탐 랜토스’의원이 외교위에서 잔뼈가 굵은 것은 바로 이스라엘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건강이 예전만 못하다는 것을 의식해서 자신을 대신해서 외교위를 대신 맡아줄 사람으로 ‘하워드 버맨’을 꼽은 것이다. 그러나 법사위 부위원장이었던 버맨 의원은 외교위원장보다 법사위원장에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그날 ‘탐 랜토스’위원장은 아주 각별하게 ‘하워드 버맨’에게 이스라엘을 부탁했다.

이로부터 1년 뒤인 2008년 2월11일, 미국 연방의회에 "인권을 우선하는 정치적 어젠다는 없다"란 불문율을 만들었고 인권위원회(Human Right Caucus)를 조직한 의회내의 유일한 홀로코스트 생존자이며 인권챔피언인 탐 랜토스 위원장이 사망했다.

전 세계의 유태계가 그야말로 애통해 하면서 조의를 표했다. 미국내 유태인 사회는 그 주간을 랜토스 추모의 주간으로 정하기도 했다. 전.현직 대통령들이 유가족을 위로하며 애도를 표했고 상.하원에서 특별히 추모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 2007년 하원에서 일본군위안부결의안을 주도하여 통과시킨 인연으로 인해, 한인사회도 그의 장례식에 참가하여 추모의 마음을 전했다.

외교위 서열 2위인 하워드 버맨은 25년이상 법사위원장을 꿈꾸어 왔지만 랜토스의 간곡한 유언에 따라 결국 외교위원장직에 올랐다. 이처럼 랜토스의 미 의회내 위상은 후임자를 결정할 정도로 높았다. 특히 랜토스의 권위가 얼마나 묵직했는가에 대해선 일화가 많지만, 45년간 상원의원을 해온 일본계 다니엘 이노우에의 일본군위안부결의안 반대의사를 묵살시킨 것은 두고두고 이야기거리가 됐다.

최근 필자는 미국의 전 세계 외교정책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버맨 하원외교위원장을 만났다. 그가 지난 만 3년 동안 한국과 관련한 일에 많은 노력을 해 준 것에 대한 한국계 풀뿌리 단체가 감사의 뜻을 전하는 자리였다.

지난 2007년 초, 필자가 그를 유태계 풀뿌리 로비단체인 미국이스라엘공공정책위원회(AIPAC) 행사장에서 만나 위안부결의안에 동의해 줄 것을 부탁했을 때에 그는 “ 내 지역구(캘리포니아28지역)에 정말로 많은 한국계들이 살고 있지만 나는 한 번도 한국인들을 만나지 못했다 ”라고 말한 바 있다. 그것은 틀린 지적이 아니었다. 유태계 미국인들이 이스라엘을 위해서 시민로비를 하는 막강한 조직의 핵심으로 있는 그가 한국계의 정치참여 저조를 지적한 것은 한국계의 시민로비 활동을 촉구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 발언이었다.

그러던 그가 지금 연방 하원외교위원장이 됐다. 지금 한미관계에 있어서 그를 거치지 않을 문제는 하나도 없다. 군사문제만이 아니고 한미간 자유무역협정(FTA)를 포함한 모든 문제에서, 그리고 북한의 핵문제에 이르기까지 그가 알지 못하는 일은 하나도 없다.

오바마 정부가 출범해서 미국의 한반도 정책은 아직도 검토와 구상중이다. 단지 하원외교위내 아태소위원회에서 단 한번 청문회를 개최했으며 오바마 대통령의 대북특사가 정해졌고 6자회담 책임자가 바뀐 것이 전부이다. 그럼에도 워싱턴발 한국관련 뉴스는 왜 그런지 몰라도 하늘과 땅을 오르내리고 있다.

버맨 위원장은 북한 핵보유국 인정 보도에 관해 펄펄 뛰었다. “외교위원장인 내가 모르는 그러한 일이 있을 수 있겠는가? ‘북한의 핵폐기 요구’에 대한 미국의 입장엔 변함이 없다” 라고 단언했다.

한미FTA와 관련해서도 그는 “지금은 미국이 부정적이지만 그러한 요소를 줄여 나가고 있고 긍정적인 분위기로 가는 속도가 점점 빨라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특사 방북과 관련해선 “지금 그것이 정책상 유익한 일인가를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다만 분명한 것은 오바마 정부는 북한과 대화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의 대북정책에 관해서는 “한국은 미국과 가장 가까운 나라이고, 북한문제에 있어서는 한국이 가장 정통하다고 생각한다. 미국은 한국의 이익을 우선하며, 그것이 한국계 미국인들의 뜻이 아니겠는가?”라고 했다.

한국계 미국인들의 풀뿌리 운동이 인상적이라 한 그는 “한국계 미국인들의 뜻이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정치인들이 유권자의 뜻을 거스르지는 못한다. 나는 외교위에 있지만 이민법에 관심을 집중시키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풀뿌리(Grass Root)정치를 강조한다. 이는 시민참여를 뜻한다. 시민참여 정치는 곧 의회정치를 뜻하고, 인구비례로 지역을 대표하는 하원의 비중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대통령이 하원중심의 정치를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과 관련해서는 하원외교위원장 역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과연 한국은 이같은 외교적 경험을 교훈 삼아 새로운 외교적 네트워크 만들기를 제대로 하고 있는가 반문해본다.

필자는 최근 미국의 전 세계 외교정책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버맨 하원외교위원장을 의회에서 만나 한미친선의 의미로 한국의 풍경이 담긴 그림을 선물하고, 한미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 미 뉴욕.뉴저지 한인유권자센터

필자

김동석 미 뉴욕.뉴저지 한인유권자센터 소장 겸 본지 편집위원은 1985년 미국으로 건너간 뒤 한인들의 정치 참여를 통한 권리 찾기와 한인들의 정치적 위상 높이기를 목표로 93년 뉴욕 등 미 동부 대도시에 ‘한인유권자센터’를 만들어 15년째 활동해온 대표적인 정치 비정부기구(NGO) 운동가다.

한인들의 정치력을 높여온 그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93년 당시 7%에 불과하던 한인들의 평균 투표율은 2004년 25%로 뛰어올랐다. 최근에는 미하원의 '종군위안부 결의안' 통과와 한국국민 비자면제프로그램(VWP) 성사에 주도적 역할을 하면서, 워싱턴 정가에서 미국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한국인 출신 시민운동가로 꼽히고 있다. 미국의 대선과 총선 및 워싱턴과 지역 정치권 현장에서 시민들의 정치력과 권리신장 운동에 나서면서, 이를 한국과 한인들의 미국내 정치력을 높일 기회로 만들기 위해 노력중이다.
김동석 미 뉴욕.뉴저지 한인유권자센터 소장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32 14
    아사달

    이스라엘이 북한제 핵 맞을거여
    북한이 중동에 돈 받고 판.

  • 13 8
    111

    허구헌날 침략당한 한반도
    미국이나 일본이나 중국 때문에 당연히 준비해야 하는 거야.
    적으로 부터 한반도 지켜내기.
    대한제국시대 힘이 너무 약했다.
    조선시대 힘이 너무 약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