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한나라의 '여야정 협의체' 제안 일축
정세균 “MB악법 밀어붙이려는 호도책”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23일 한나라당이 ‘여야정 협의체’를 제안한 것과 관련, “상임위가 열리면 정당보다 국회가 먼저”라며 “여야가 만나서 법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라며 일축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경제위기 극복 및 민생 문제를 위해 필요하다면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MB악법을 밀어붙이기 위한 호도책으로 제안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 국회에서 (여야가) 각 상임위별로 다 접촉이 되고 있다”며 “만약 대표들이 만나서 좌지우지하면 국회는 왜 있느냐. 각 정당 간에 협의해서 끝내면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최대 쟁점법안인 미디어법에 대해선 “1월 6일 여야가 합의할 때 2월에 상정 안 하기로 해놓고, 왜 하려고 하느냐.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보통 여야가 합의해 놓고 약속 깨는 것이 과거에는 야당이었는데, 지금은 여당이 깨려고 하니까 국회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고흥길 문광위 위원장의 미디어법 직권상정 방침에 대해서도 “1월 6일 합의서의 약속 위반이기 때문에 한나라당이 합의를 깨는 일을 한다면 야당이 구경만 하고 있어서 되겠느냐”며 실력 저지방침을 분명히 했다.
박병석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고흥길 위원장의 미디어법 직권상정 방침과 관련, “직권상정이라는 것은 최후의 마약”이라며 "만약 강행한다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치를 위험성을 경고하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미 대표적인 보수단체인 뉴라이트전국연합 등 50여개 사회단체가 사회적 합의기구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쳐서 가는 것이 옳다고 했다”며 “한마디로 한나라당만 빼놓고 모두가 동의한 방식”이라고 한나라당에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 참여를 촉구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경제위기 극복 및 민생 문제를 위해 필요하다면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MB악법을 밀어붙이기 위한 호도책으로 제안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 국회에서 (여야가) 각 상임위별로 다 접촉이 되고 있다”며 “만약 대표들이 만나서 좌지우지하면 국회는 왜 있느냐. 각 정당 간에 협의해서 끝내면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최대 쟁점법안인 미디어법에 대해선 “1월 6일 여야가 합의할 때 2월에 상정 안 하기로 해놓고, 왜 하려고 하느냐. 약속을 지켜야 한다”며 “보통 여야가 합의해 놓고 약속 깨는 것이 과거에는 야당이었는데, 지금은 여당이 깨려고 하니까 국회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소중한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고흥길 문광위 위원장의 미디어법 직권상정 방침에 대해서도 “1월 6일 합의서의 약속 위반이기 때문에 한나라당이 합의를 깨는 일을 한다면 야당이 구경만 하고 있어서 되겠느냐”며 실력 저지방침을 분명히 했다.
박병석 민주당 정책위의장도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고흥길 위원장의 미디어법 직권상정 방침과 관련, “직권상정이라는 것은 최후의 마약”이라며 "만약 강행한다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치를 위험성을 경고하지 않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미 대표적인 보수단체인 뉴라이트전국연합 등 50여개 사회단체가 사회적 합의기구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쳐서 가는 것이 옳다고 했다”며 “한마디로 한나라당만 빼놓고 모두가 동의한 방식”이라고 한나라당에 ‘사회적 합의기구’ 구성 참여를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