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앤디 시에 "곧 세계재앙, 부동산값 반토막날 것"

"기대치 낮춰서라도 부동산 매각하라"

지난 2006년 가을, 미국의 부동산거품 파열을 가장 먼저 정확히 예견했던 앤디 시에 전 모건스탠리 아시아-태평양 수석이코노미스트가 홍콩을 비롯해 뉴욕, 런던, 뭄바이 등 세계 주요도시의 부동산 가격이 대폭락하며 세계 경제재앙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시에는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기고한 '곧 세계재앙(Apocalypse soon)'이라는 섬뜩한 제목의 글을 통해 "세계의 부동산 시장은 일부 석유 수출국가를 제외하고는 어느 곳에서든 약세장으로 진입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예측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양대 모기지 업체 패니매와 프레디맥이 5조4천억달러라는 천문학적 모기지 담보로 심각한 부실화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지적한 뒤, 이같은 부동산버블 파열이 미국뿐 아니라 세계 전역으로 확산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인플레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지만 현재의 부동산 가격은 지나치게 올라 인플레 상황에서도 거품이 꺼질 것"이라며, 부동산값 낙폭과 관련해선 "세계 주요 도시의 부동산 가격은 고점 대비 3분의 2 수준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고 부동산시장이 과열됐던 일부 도시의 경우 절반 수준까지 폭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그는 "홍콩의 한 부동산 재벌은 나에게 '부는 부를 낳는다. 주식시장에서 돈을 번 사람은 부동산을 매입한다. 부동산시장에서 돈을 번 사람은 주식을 산다. 이러한 행복한 얘기는 지속될 것이다'고 말했다"면서 "그러나 공짜 점심은 환상이었다"고 꼬집었다.그는 홍콩의 경우 " 2003년 이후 3배 가량 오른 고가 부동산이 폭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 홍콩의 호화 부동산은 향후 고점 대비 50% 가량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따라서 부동산 보유자들에게 "기대하는 것보다 매도가를 상당히 낮춰서라도 부동산을 매도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그는 글에서 한국의 경우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한국의 경우도 다른 어느 지역보다 부동산거품이 잔뜩 끼어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여서,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부동산 버블이 터지면서 가계-금융 부실화 및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20 9
    111

    2006년
    DTI,LTV 이전에 3년만기로 주택담보 대출받은 사람들있을텐데..
    DTI 40%,LTV 60% 요즘 보험사를 통하면 90% 주택담보
    대출이

  • 24 15
    막심고리끼

    다른 나라 집값 상승률과 아이엠에프로 인한 그동안의 집값하락을 고려해야.
    외국의 집값상승률을 한번 보시길. 전세계적으로 저금리구조여서 그런지 자산가격이 무지 폭등하는 시기였네여. 단 일본만 과거 부동산버블의 교훈의 영향인지 마이너스
    입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지난 10년간 주택가격상승률을 볼까여?
    미국 전역은 120%, 10대 도시는 171% 상승했으며, 영국 213%, 프랑스 144%, 이태리 102%, 스페인 190%, 호주 159%, 스웨덴 149%, 일본 -32%였다. 장기디플레이션을 경험한 일본 이외에는 대개의 국가가 우리 못지않게 주택가격이 상승한 것이지요.(Financial Times, 2007. 12. 31)
    그런데 우리는 실제 주택가격상승률은 전국적으로 50프로 수도권 70프로정도 수준이었습니다. 물론 아파트의 경우는 이것보다 좀더 높습니다.
    그런데 어떤 분이 아래 적으셨듯이 우리는 아이엠에프라는 것이 있었거든요. 아이엠에프때 아마 기존집값이 상당히 떨어졌서 반토막정도 났을 겁니다.(실제 김영삼집권시 주택가격상승률을 보면 마이너스였는데 이것은 김영삼집권 초중반기에 오른 집값이 임기말 아이엠에프로 모두 사라지고 오히려 마이너스가 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그 이후 주택값상승에는 이에 대한 보상심리가 들어가 있는거죠) 따라서 지난 정부 10년간의 집값상승률은 그 반토막난 집값이 회복되는 부분도 포함되어 있지요. 그것을 가만한다면 우리나라의 주택가격상승률은 지난 10년간 전국 25프로 수도권 35프로 수준입니다.(연평균 전국2.5/수도권3.5)
    통계적으로 볼때 지난 10년간 주택가격상승률은 솔직히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는 상당히 양호한 수준이었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그럼에도 수도권중심으로 아파트가격(주택전체가 아니고 주택중 아파트만)이 상당부분 상승하고 참여정부때 대대적으로 집값을 잡겠다고 공헌했음에도 그러지 못한 것은 비판받을 수 있는 대목이라고 봅니다.
    문제는 2mb정권에서는 지난 정부보다 오히려 더 못할 거라는 것이죠. 얼마전 2mb정권이 내놓은 부동산규제완화조치 보셨을 겁니다. 거기 보면 부동산상한제 폐지하고 임대주택비율과 소형주택의무비율 축소한다고 나옵디다. 이건 머 대놓고 강남부자들 위한 정책 하겠다고 말하는것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 아이고 두야

  • 16 29
    111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
    미국은 끝났쇼~~~~~~
    항상 전쟁으로 망하던 경제 부활을 했던 미국은 이제 끝났쇼

  • 19 37
    로즈밸트

    그럼또 전쟁 일으키면 돼
    전쟁이 살길이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