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일본 '고래사냥' 재개 위해 빈곤국들 매수

환경연합 "일본, 바다없는 내륙국가에까지 로비"

카리브해의 세이트 키츠 네비스에서 16일부터 5일간 개최되는 제58차 국제포경위원회(IWC) 총회를 앞두고 일본의 집요한 로비로 지난 1986년부터 전면 금지된 상업 목적의 고래잡이 방침이 허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와, 국제환경단체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일본, 바다없는 내륙국가에까지 로비"

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신인령)은 15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항의기자회견을 갖고, 상업 목적의 고래사냥 움직임 중단을 요구했다.

환경단체들이 하필 일본대사관 앞에서 항의하는 까닭은, 일본이 이번 IWC에서 상업적 고래잡이 허용 투표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 상업적 고래잡이가 재개되기 위해서는 국제포경위원회 소속 회원단체국의 3/4인 75%의 찬성이 있어야만 가능하다.

일본은 이를 위해 지난 90년대 후반부터 상업적 고래잡이를 찬성하는 국가와 중도적 입장을 나타내고 있는 국가들에 대한 로비를 시도했다. 일본은 아프리카 서.북단에 위치한 빈국들과 카리브해 연안, 태평양 일부 빈국들에게 경제원조 목적의 자금을 주고 IWC에 가입할 것을 회유하기도 했다.

심지어 일본은 말리, 몽골, 체코, 룩셈부르크와 같이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에까지 IWC 가입을 위한 전면적인 로비 공세를 펼쳤다. 이렇게 해서, 1999년 39개국이던 IWC 회원국 수가, 이번 2006년 IWC 총회에 참석하는 회원국 수만 70여개국으로 대폭 늘어나게 됐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러한 일본의 행태를 놓고 "상업적인 고래잡이를 재개하려는 일본의 비이성적인 시도"라며 강력히 항의했다.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일본이 주도하는 상업포경 재개는 고래 멸종은 물론 바다생태계를 해치는 행위라고 경고하고 있다 ⓒ김동현


'고래 연구'한다면서 고래사냥 나서는 일본

일본의 이같은 태도는 이미 국제사회에서 고래에 대한 무분별한 남획과 상업포경을 금지하기로 합의한 1982년서부터 나타났다.

1982년 IWC에서 상업포경 금지를 합의한 직후, 1986년부터는 전세계 바다에서 상업포경 금지가 전면 시행됐다. 그러나 일본은 이듬해인 1987년부터 남극에 포경선을 보내기 시작했다. 일본이 남극에 포경선을 보낸 명분은 고래의 이동경로와 생태를 연구한다는 연구목적의 포경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이 학술목적으로 고래를 잡는다고 하면서도, 이렇게 잡힌 고래들이 일본 내 암시장을 통해 유통되는 등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고래잡이가 성행하게 된 셈이다.

이와 관련 마용운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많은 과학자들이 고래생태연구를 위해 고래를 살상할 필요는 없다는데도 일본만 여전히 남극해에서 고래를 살상하고 있다"고 일본의 행태를 비난했다.

또 마 사무국장은 "그렇다면 새를 연구하려면 새를 죽여야 하냐"면서 "고래연구를 위해 고래를 살상한다는 논리는 억측"이라고 지적했다.

75% 찬성얻기는 힘들어. 50% 넘어면 고래보호 의무 없어져

그러나 이번 IWC 총회에서 일본이 자신들의 의도대로 75%이상의 찬성을 이끌어내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지난 해 우리나라 울산에서 열린 제57차 IWC 총회에서도 일본의 지원을 받던 일부 국가들이 총회에 끝내 불참해 일본의 계획이 무산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총회에서는 적어도 과반수가 넘는 회원국들이 상업포경 허용에 찬성표를 던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만약 IWC 총회에서 회원국 50%의 찬성이 나오면 고래에 대한 국제적 보호 임무가 폐지되게 되고 고래의 생명 존엄성에 대한 국제토론도 중단되게 되는 등 상업포경이 힘을 얻게 된다.

일본이 지난 1987년 이후 연구목적으로 포획한 고래만해도 지금까지 5천마리에 달한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