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방위비 증액 등은 한미정상회담서 논의될듯"
"한미 정상회담, 2주내로 구체적 날짜-방식 결정될 것"
대통령실은 31일 미국의 방위비 대폭증액, 고정밀 지도정보 반출 요구 등 안보분야와 관련, "한미정상회담에서 논의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용범 대통령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통상분야 중심으로 협상이 이뤄졌고 별개 이슈로 같이 다뤄지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해선 "구체적 날짜는 아마 곧이어 한미 외교라인을 통해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루비오 국무장관에게 다음주라도 날짜를 잡으라고 했다는데, 그쪽도 대통령 일정이 있을 것 아니냐. 2주내로 될 거고 외교라인에서 구체적 날짜와 방식을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가 자동차와 농산물을 포함해 미국과의 교역에 완전 개방하기로 했다고 밝힌 데 대해선 "정치지도자의 표현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결국 중요한 건 각각의 협상을 책임진 각료들과 나눈 대화인데, 농축산물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었고 합의된 바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농업 분야가 99.7% 개방돼 있다. 다만 0.3% 10개 내외 종목만 유보돼 있다"며 "(우리가) '미국 소고기의 제1수입국이다' 이런 얘기를 (미국 측이) 상당히 많이 공감해줘서 그쪽 분야에 대해서는 우리가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을 딜을 요구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3천500억달러의 대미투자펀드에 대해선 "2천억달러 중 투자도 일부 있겠지만 비율이 높지 않을 것이고, 전액 직접 투자라기보다는 대출, 보증을 포함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투자를 얼마나 하고, 얼마나 구매할 수 있다는 방식으로 최초에는 협의를 했지만 갑자기 일본식 펀드가 등장하면서 일본과 비슷한 펀드를 하자고 했지만 우리 쪽에서 조선업이라는 구체적 특화 펀드를 제시했다"며 "그런 방식으로 하다가 3천500억달러가 나왔고, 투자 분야는 정상회담 때 더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범 대통령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통상분야 중심으로 협상이 이뤄졌고 별개 이슈로 같이 다뤄지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미 정상회담 개최 시기에 대해선 "구체적 날짜는 아마 곧이어 한미 외교라인을 통해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루비오 국무장관에게 다음주라도 날짜를 잡으라고 했다는데, 그쪽도 대통령 일정이 있을 것 아니냐. 2주내로 될 거고 외교라인에서 구체적 날짜와 방식을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나라가 자동차와 농산물을 포함해 미국과의 교역에 완전 개방하기로 했다고 밝힌 데 대해선 "정치지도자의 표현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결국 중요한 건 각각의 협상을 책임진 각료들과 나눈 대화인데, 농축산물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었고 합의된 바도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농업 분야가 99.7% 개방돼 있다. 다만 0.3% 10개 내외 종목만 유보돼 있다"며 "(우리가) '미국 소고기의 제1수입국이다' 이런 얘기를 (미국 측이) 상당히 많이 공감해줘서 그쪽 분야에 대해서는 우리가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을 딜을 요구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3천500억달러의 대미투자펀드에 대해선 "2천억달러 중 투자도 일부 있겠지만 비율이 높지 않을 것이고, 전액 직접 투자라기보다는 대출, 보증을 포함한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투자를 얼마나 하고, 얼마나 구매할 수 있다는 방식으로 최초에는 협의를 했지만 갑자기 일본식 펀드가 등장하면서 일본과 비슷한 펀드를 하자고 했지만 우리 쪽에서 조선업이라는 구체적 특화 펀드를 제시했다"며 "그런 방식으로 하다가 3천500억달러가 나왔고, 투자 분야는 정상회담 때 더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