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硏, 올 성장률 4.9%에서 4.6%로 낮춰
고유가 및 환율하락 영향. 다른 기관들도 뒤 따를듯
한국경제연구원(원장 노성태)이 고유가와 미국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 하락 등을 감안해 올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4.6%로 낮췄다. 이는 지난 3월 발표한 전망치 4.9%보다 0.3%포인트가 낮춘 것으로 다른 경제기관들도 그 뒤를 이을 전망이다.
“1.4분기 6.2%에서 4.4분기 3.3%로 연말로 갈수록 낮아질 것”
한경연은 15일 고유가 및 환율 하락 등에 영향을 받아 분기별 GDP 증가율이 1.4분기 6.2%, 2.4분기 5.1%, 3.4분기 4.2%, 4.4분기 3.3% 등으로 갈수록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유가와 환율의 영향으로 경상수지의 경우 1.4분기 10억6천만달러 적자에 이어 2.4분기 10억9천만달러로 적자 폭이 더욱 커지고 3.4분기까지 2억5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연은 그러나 4.4분기에는 25억3천만달러의 흑자로 돌아서 연간으로는 1억4천만달러 흑자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전망은 달러당 환율이 1.4분기 9백76.5원, 2.4분기 9백30.7원, 3.4분기 9백25.9원, 4.4분기 9백20.3원 등으로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가 1.4분기 배럴당 59.2달러, 연말까지 나머지 3개 분기에는 배럴당 65달러 선을 기록할 것이라는 기본 가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경연은 1.4분기와 2.4분기 환율은 이 가정과 같지만 3.4분기에는 달러당 9백20원, 4.4분기에는 달러당 9백원으로 하락폭이 더욱 커지고, 2.4분기부터 연말까지 유가가 배럴당 75달러로 대폭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할 경우 성장률은 4.3%로 낮아지고 경상수지는 59억달러의 적자가 날 것으로 예상했다.
한경연은 소비자물가는 유가상승에 의한 상승압력이 환율 하락에 의해 상쇄될 것이라면서 기존의 상승률 전망치(2.9%)를 유지했다.
한경연은 “특히 기업대출 우대금리 적용과 융자규모 확대 등 기업지원책과 외환거래 자유화, 해외투자 확대 등 거시적 대응을 병행함으로써 1980년대 중반과 90년대 초의 엔고(高)를 극복한 일본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주 올해 성장률 5% 달성이 힘들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한경연이 최초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춤에 따라 다른 경제전문기관들도 잇따라 경쟁률을 낮출 전망이어서, 경제심리 위축이 한층 심화될 전망이다.
“1.4분기 6.2%에서 4.4분기 3.3%로 연말로 갈수록 낮아질 것”
한경연은 15일 고유가 및 환율 하락 등에 영향을 받아 분기별 GDP 증가율이 1.4분기 6.2%, 2.4분기 5.1%, 3.4분기 4.2%, 4.4분기 3.3% 등으로 갈수록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연은 유가와 환율의 영향으로 경상수지의 경우 1.4분기 10억6천만달러 적자에 이어 2.4분기 10억9천만달러로 적자 폭이 더욱 커지고 3.4분기까지 2억5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경연은 그러나 4.4분기에는 25억3천만달러의 흑자로 돌아서 연간으로는 1억4천만달러 흑자를 나타낼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전망은 달러당 환율이 1.4분기 9백76.5원, 2.4분기 9백30.7원, 3.4분기 9백25.9원, 4.4분기 9백20.3원 등으로 연말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가 1.4분기 배럴당 59.2달러, 연말까지 나머지 3개 분기에는 배럴당 65달러 선을 기록할 것이라는 기본 가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한경연은 1.4분기와 2.4분기 환율은 이 가정과 같지만 3.4분기에는 달러당 9백20원, 4.4분기에는 달러당 9백원으로 하락폭이 더욱 커지고, 2.4분기부터 연말까지 유가가 배럴당 75달러로 대폭 상승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할 경우 성장률은 4.3%로 낮아지고 경상수지는 59억달러의 적자가 날 것으로 예상했다.
한경연은 소비자물가는 유가상승에 의한 상승압력이 환율 하락에 의해 상쇄될 것이라면서 기존의 상승률 전망치(2.9%)를 유지했다.
한경연은 “특히 기업대출 우대금리 적용과 융자규모 확대 등 기업지원책과 외환거래 자유화, 해외투자 확대 등 거시적 대응을 병행함으로써 1980년대 중반과 90년대 초의 엔고(高)를 극복한 일본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주 올해 성장률 5% 달성이 힘들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한경연이 최초로 성장률 전망치를 낮춤에 따라 다른 경제전문기관들도 잇따라 경쟁률을 낮출 전망이어서, 경제심리 위축이 한층 심화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