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단 "이진숙 논문, 수작업 정밀검증 결과도 표절"
"논문이 아니라 복제물 수준. 이진숙 자진사퇴해야"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20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 "이 후보자의 주요 논문에 대해 1대1 원문 대조 방식으로 수작업 정밀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복붙(복사-붙여넣기) 수준'의 심각한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된 검증단은 이날 이같이 말하며 "논문이 아니라 복제물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 후보자가 "2007년부터 총장 임용 직전까지 거의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에서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해서 모두 10% 미만 판정을 받았다"며 "논문이 쌓이면 자료도 겹치고 유사자료가 겹칠 때마다 카피킬러상 유사도도 높아진다"며 탐지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부인하자, 탐지 프로그램이 아닌 수작업 검증을 통해 표절 결론을 재확인한 것.
검증단은 구체적으로 이 후보자가 2018년 충남대 교수 시절 집필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와 제자 A씨의 박사학위 논문 '시스템 조명의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설계 지표 연구' 등과 비교해 검증했다.
그 결과 이 후보자가 같은 실험 설계와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제목만 바꿔 중복 발표했으며 문단 구조와 결론과 해석이 모두 유사하며 표현만 일부 수정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복수 논문 간 중복 게재 및 제자 논문의 반복 활용 정황도 드러났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이 후보자의 논문은 제자 논문과 평가 방법에서 "피험자는 평가 시 a에 위치하였으며, 총 4번의 시점을 변경하여, 조명 환경을 인지하였다"거나 결론에서 "배경 휘도와 광원 휘도 간 휘도비가 낮거나 고면 적·저조도의 연출에서 대부분 허용 범위로 나타났다"고 적는 등 사실상 동일했다.
검증단은 "단순한 문장 일치율을 검토하는 표절 탐지 프로그램만으로 포착할 수 없는 실험 설계, 문단 구조, 결론 해석 등 본질적 유사성에 대해 직접 원문을 비교하고 대조함으로써, 학술적 부정의 정황을 명확히 밝혀냈다"면서 "단순한 중복게재나 유사성의 문제가 아니라, 학술적 진실성과 연구 윤리를 정면으로 훼손한 중대한 사안임이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검증단은 "학계 기준으로 볼 때 이 후보자의 논문은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에 해당하며, 이는 장관 후보 자격 박탈 사유로도 충분하다"며 "이 후보자는 자진 사퇴해야 하고 대통령실은 즉각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된 검증단은 이날 이같이 말하며 "논문이 아니라 복제물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 후보자가 "2007년부터 총장 임용 직전까지 거의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에서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해서 모두 10% 미만 판정을 받았다"며 "논문이 쌓이면 자료도 겹치고 유사자료가 겹칠 때마다 카피킬러상 유사도도 높아진다"며 탐지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부인하자, 탐지 프로그램이 아닌 수작업 검증을 통해 표절 결론을 재확인한 것.
검증단은 구체적으로 이 후보자가 2018년 충남대 교수 시절 집필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와 제자 A씨의 박사학위 논문 '시스템 조명의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설계 지표 연구' 등과 비교해 검증했다.
그 결과 이 후보자가 같은 실험 설계와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제목만 바꿔 중복 발표했으며 문단 구조와 결론과 해석이 모두 유사하며 표현만 일부 수정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복수 논문 간 중복 게재 및 제자 논문의 반복 활용 정황도 드러났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이 후보자의 논문은 제자 논문과 평가 방법에서 "피험자는 평가 시 a에 위치하였으며, 총 4번의 시점을 변경하여, 조명 환경을 인지하였다"거나 결론에서 "배경 휘도와 광원 휘도 간 휘도비가 낮거나 고면 적·저조도의 연출에서 대부분 허용 범위로 나타났다"고 적는 등 사실상 동일했다.
검증단은 "단순한 문장 일치율을 검토하는 표절 탐지 프로그램만으로 포착할 수 없는 실험 설계, 문단 구조, 결론 해석 등 본질적 유사성에 대해 직접 원문을 비교하고 대조함으로써, 학술적 부정의 정황을 명확히 밝혀냈다"면서 "단순한 중복게재나 유사성의 문제가 아니라, 학술적 진실성과 연구 윤리를 정면으로 훼손한 중대한 사안임이 명백하다"고 주장했다.
검증단은 "학계 기준으로 볼 때 이 후보자의 논문은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에 해당하며, 이는 장관 후보 자격 박탈 사유로도 충분하다"며 "이 후보자는 자진 사퇴해야 하고 대통령실은 즉각 지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