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유나이티드 또하나의 도전, 코스닥 상장 추진
안정적 재원조달-경영투명성 확보 기대
프로축구 인천유나이티드가 아시아 프로스포츠 구단으로는 최초로 주식시장에 상장을 추진한다.
인천은 지난 18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해 동양종합금융증권을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고 계약을 체결했다.
인천의 상장과 관련, 대표주관사로 선정된 동양증권은 2009년 상반기까지 구단의 상장에 필요한 외형요건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기업실사를 거쳐 2009년 8월께 상장심사를 청구하고 상장에 필요한 제반 여건에 대한 심사승인을 받게되면 유가증권 신고서를 제출한뒤 2009년 11월께 일반 공모를 거쳐 12월께 인천 구단의 코스닥 상장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인천은 코스닥 상장으로 경영투명성 확보는 물론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해 대규모 자금조달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연습구장, 클럽하우스 건설과 스타플레이어 영입 등으로 경기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천의 성적과 인기가 올라가 구단의 매출이 증대되고 주가가 상승되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천시민의 입장에서는 아시아 최초의 상장 프로스포츠 구단의 주인이라는 자긍심과 아울러 축구가 생활속에 자리잡은 유럽인들의 의식과 같은 '축구가 곧 생활이며 삶'이라는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는 부분도 긍정적인 기대요소다.
이렇듯 상장을 통한 기대효과가 큰 만큼 인천이 상장을 위해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우선 재정적인 면에서 보자면 인천은 코스닥 상장의 기준이 되는 자기자본순이익율(ROE) 10% 이상 또는 당기순이익 20억원 이상을 올려야 하고 창단 직후 선수 영입과정에서 발생한 이적료와 계약금 지불에 따른 현재의 자본잠식상태를 해결해야 한다.
인천은 취약한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현재 스폰서업체로부터의 광고수입과 선수이적료 수익에 편중돼있는 구단의 수익구조를 입장권 판매, 구단 캐릭터 상품 판매, 시설물 임대 등 매출이 발생할 수 있는 루트를 다각화하여 안정적이면서 장기적인 매출구조와 수익구조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자본잠식 상태의 해소를 위해서는 무상 감자 및 유상 증자 등을 통해 해결방법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시민구단인 인천의 상장추진은 그 성공여부를 떠나 구단이 축구를 통해 다양한 수익을 창출, 구단의 자립은 물론 더 나아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알 마드리드 등 유럽 명문구단들처럼 축구비즈니스를 펼치는 진정한 축구기업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실천에 옮긴 사례로서 수익창출은 고사하고 모기업의 지원으로 구단의 유지에 급급한 한국 프로스포츠계 전체의 현실을 감안할 때 큰 의미를 갖는 도전이라는 평가다.
인천은 지난 18일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해 동양종합금융증권을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고 계약을 체결했다.
인천의 상장과 관련, 대표주관사로 선정된 동양증권은 2009년 상반기까지 구단의 상장에 필요한 외형요건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기업실사를 거쳐 2009년 8월께 상장심사를 청구하고 상장에 필요한 제반 여건에 대한 심사승인을 받게되면 유가증권 신고서를 제출한뒤 2009년 11월께 일반 공모를 거쳐 12월께 인천 구단의 코스닥 상장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인천은 코스닥 상장으로 경영투명성 확보는 물론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 등을 통해 대규모 자금조달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연습구장, 클럽하우스 건설과 스타플레이어 영입 등으로 경기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인천의 성적과 인기가 올라가 구단의 매출이 증대되고 주가가 상승되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인천시민의 입장에서는 아시아 최초의 상장 프로스포츠 구단의 주인이라는 자긍심과 아울러 축구가 생활속에 자리잡은 유럽인들의 의식과 같은 '축구가 곧 생활이며 삶'이라는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는 부분도 긍정적인 기대요소다.
이렇듯 상장을 통한 기대효과가 큰 만큼 인천이 상장을 위해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우선 재정적인 면에서 보자면 인천은 코스닥 상장의 기준이 되는 자기자본순이익율(ROE) 10% 이상 또는 당기순이익 20억원 이상을 올려야 하고 창단 직후 선수 영입과정에서 발생한 이적료와 계약금 지불에 따른 현재의 자본잠식상태를 해결해야 한다.
인천은 취약한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현재 스폰서업체로부터의 광고수입과 선수이적료 수익에 편중돼있는 구단의 수익구조를 입장권 판매, 구단 캐릭터 상품 판매, 시설물 임대 등 매출이 발생할 수 있는 루트를 다각화하여 안정적이면서 장기적인 매출구조와 수익구조 확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자본잠식 상태의 해소를 위해서는 무상 감자 및 유상 증자 등을 통해 해결방법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시민구단인 인천의 상장추진은 그 성공여부를 떠나 구단이 축구를 통해 다양한 수익을 창출, 구단의 자립은 물론 더 나아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알 마드리드 등 유럽 명문구단들처럼 축구비즈니스를 펼치는 진정한 축구기업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실천에 옮긴 사례로서 수익창출은 고사하고 모기업의 지원으로 구단의 유지에 급급한 한국 프로스포츠계 전체의 현실을 감안할 때 큰 의미를 갖는 도전이라는 평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