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민간주택 발주, 무려 80%나 급감
수도권 대형 주택단지 건설 급감, 부동산불황 심화
지난 7월 민간 신규 주택과 재개발 공사 발주가 전월에 비해 무려 80%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7월 건설공사계약액 현황에 따르면 민간 부문 신규 주택과 재개발 공사 발주액은 전달인 6월의 6조7천2백57억원에 비해 80.2%나 급감한 1조3천3백37억원에 그쳤다.
신규 주택은 4조4천3백39억원에서 8천6백97억원으로 80.4% 감소했고, 재개발은 2조2천9백18억원에서 4천6백40억원으로 79.8% 줄었다.
특히 발주금액 1천억원 이상 신규 주택은 3조2천6백58억원에서 1천1백7억원으로 96.6%나 줄어들었고, 재개발도 2조4백6억원에서 1천6백50억원으로 91.9% 감소했다. 이같은 대형발주 급감은 주로 수도권의 발주 급감에 따른 것으로, 수도권 신규 주택도 2조4천8백60억원에서 3천3백9억원으로 86.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설경기 선행 지표인 전년 동기 대비 건축허가면적도 지난 6월 -33.0%에서 7월에는 -42.9%로 감소폭이 커졌고 올 들어 7월까지의 누계치 역시 11.7% 감소해, 부동산 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7월 건설공사계약액 현황에 따르면 민간 부문 신규 주택과 재개발 공사 발주액은 전달인 6월의 6조7천2백57억원에 비해 80.2%나 급감한 1조3천3백37억원에 그쳤다.
신규 주택은 4조4천3백39억원에서 8천6백97억원으로 80.4% 감소했고, 재개발은 2조2천9백18억원에서 4천6백40억원으로 79.8% 줄었다.
특히 발주금액 1천억원 이상 신규 주택은 3조2천6백58억원에서 1천1백7억원으로 96.6%나 줄어들었고, 재개발도 2조4백6억원에서 1천6백50억원으로 91.9% 감소했다. 이같은 대형발주 급감은 주로 수도권의 발주 급감에 따른 것으로, 수도권 신규 주택도 2조4천8백60억원에서 3천3백9억원으로 86.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건설경기 선행 지표인 전년 동기 대비 건축허가면적도 지난 6월 -33.0%에서 7월에는 -42.9%로 감소폭이 커졌고 올 들어 7월까지의 누계치 역시 11.7% 감소해, 부동산 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