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우리-민주-국중, 한명숙 총리 지명 찬성

민노당은 찬반 양론 팽팽, 첫 여성총리 확실시

첫 여성 총리 탄생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현재까지의 분위기는 열린우리당과 국민중심당이 찬성 입장을 보이고 있고, 민주당 역시 긍정적인 표현을 하고 있어 반대쪽으로 기울고 있는 한나라당과 찬반양론이 팽팽한 민주노동당이 반대표를 던지더라도 총리인준은 무난할 전망이다.

총리 임명동의안은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에 출석의원 과반수 찬성이면 통과된다. 현재 각 정당별 의석수는 전체 2백97명 중 우리당 1백42명, 한나라당 1백25명, 민주당 11명, 민노당 9명, 국민중심당 5명, 무소속 5명이다.

이에 따라 우리당과 국민중심당, 민주당이 찬성표를 던진다면 과반을 훌쩍 넘어 가결이 가능하다.

우리당은 사상 첫 여성총리의 탄생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송영길 의원은 18일 고위정책조정회의에서 "한명숙 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큰탈없이 진행됐는데 전반적으로 무난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며 "총리 후보자가 침착한 모습으로 균형있게 잘 답변했고, 실제로 역대 7차례 국무총리 청문회를 했지만 서울지역에 한평의 땅도 갖고 있지 않은 유일한 후보"라고 강조했다.

국민중심당도 총리인준에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이규진 대변인은 이날 <뷰스앤뉴스>와의 통화에서 "총리인준에 대해 국민중심당은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는 입장"이라며 "그러나 당은 원칙만 정해놓고 의원들의 자유투표를 실시할 예정이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역시 '찬성 기류'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민주당의 이상열 대변인은 이날 <뷰스앤뉴스>와의 통화에서 "18일 저녁이나 19일 오전 중으로 총리인준에 대한 당론을 정할 것"이라며 "현재까지는 긍정적 기류가 더 많이 감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나라당과 민주노동당은 19일 의총을 통해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한나라당은 '총리 자질' 등에서 미흡한 면이 보인다며 인준반대를 시사하고 있지만 '사상 첫 여성총리'에 대한 기대도 크고, 한 후보자가 도덕적으로 큰 흠결이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반대를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이재오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어제 하루 인사청문회를 지켜본 후 총리로서의 국정수행 능력이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그러나 오늘 청문회까지 지켜본 후 최종판단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정현 부대변인도 이날 국회 브리핑을 통해 "인사청문회에서는 국가보안법폐지 주장이나 반국가활동에 대한 모호한 해명, 양극화나 비정규직 문제, 한미 FTA문제, 교육정책 등 국가현안에 대한 무소신, 아들 군 보직변경 청탁 의혹이나 건강보험료 부당혜택 의혹 등 주변 관리에도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고 총리로서의 자질을 의심케 하는 미흡하고 우려스러운 점들이 상당히 드러났다"며 "한나라당은 선입견 없이 청문회 내용에 따라 인준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동당의 경우도 애매한 상태에 있다. '사상 첫 여성총리'에 대한 환영의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민주노동당이 강조하는 비정규직법안과 한미 FTA 문제 등에 한 후보자가 갖고 있는 입장을 수용하기 힘들다는 반론도 크다.

심상정 수석부대표는 이날 의총결과 브리핑에서 "의총에서는 한명숙 총리 후보자는 최초의 여성총리라는 의미가 있고, 인물에 있어서 인정할만한 분이라는 점은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정책을 중심으로 볼 때, 한미 FTA, 비정규직에 대한 총리 후보자의 입장은 수용하기 힘들다는 지적 역시 제기됐다"며 "당과 시민사회의 의견을 최종 수렴해 내일(19일) 오후 1시 의총에서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성희 부대변인은 <뷰스앤뉴스>와의 통화에서 "민주노동당은 기본적으로 이 같은 사안은 당론투표를 원칙으로 했다"며 "이번 총리 인준에 대해 당론투표로 할지 자유투표로 할지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당론투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총리 임명동의안은 오는 19일 국회 본회의에서 표결처리될 예정이다.
이영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