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죽음의 페놀' 유출 방치. 주민 피해 확산
지하수에서 기준치 1만5천배 페놀 검출, 주민 오염도
23일 JTBC <뉴스룸>에 따르면, 지난해 6월,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공장 인근 다리 공사 현장에서 터파기 공사를 하던 중 다량의 오염물질이 발견됐다. 포스코 공장에서 유출된 페놀 27톤에 발암성 물질인 석유계 화학물질 267톤이었다. 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를 훌쩍 뛰어넘는 규모였다.
하지만 포스코는 당시 강 주변에만 오염 방지 차단벽을 세웠고 1년 뒤에야 공장 주변을 두르는 차단벽을 설치했고, 이 사이 오염은 계속 확대돼 일부 지역에선 지하수 기준치의 1만 5천배가 넘는 페놀이 검출됐다.
주민 피해도 확인됐다. 사고 현장에서 200m도 떨어지지 않은 주변 밭에서 농사를 지어온 58살 김옥선 씨가 최근 페놀 중독진단을 받은 것. 이곳은 오염 차단벽의 바깥쪽 즉, 포스코가 오염이 안 됐다고 판단한 지역이다.
김 씨에게서 검출된 페놀은 85.87mg/gCr으로 일상 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최대치의 4배 이상 높았다. 페놀은 인체에 흡수되면 신경계와 소화기에 심각한 장애를 유발하고 자칫 죽음까지 불러오는 유독성 물질이다.
김씨는 "몸이 계속 아팠어요. 속이 막 메스껍다든지. 계속 눈이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처럼 아프더라고요"라면서 "(땅을) 파서 물이 나오면 그 물이 냄새가 나는 거예요. 농약 같은 지독한 냄새"라고 말했다.
하지만 포스코 측은 그동안 주민을 대상으로 한 검진을 한 차례도 실시하지 않았다.
포스코 측은 정밀조사를 하느라 대처가 늦었다고 군색한 해명을 했다.
박성길 포스코 환경에너지실 팀리더는 "토양 정밀조사를 근간으로 해서 차수막(차단벽)을 설치했습니다. 그래서 기간이 많이 소요된 부분이 있고요"라고 말했다.
그러나 1년이 넘도록 오염이 방치돼 있었고 인체 노출도 학계에도 알려지지 않았을 정도의 고농도여서 포스코 측의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져 보인다고 JTBC는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