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감' 드러낸 김무성, 친박주류 '머쓱'
'당내 위상' 공고해져, 당청관계 변화 가능성도 주목
이 과정에 김한길 민주당 대표 최측근인 박기춘 사무총장의 역할이 컸다. 민주당에 피신온 철도노조 간부 등과 밀접 대화 끝에 국회 철도소위 구성시 파업을 철회하겠다는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문제는 새누리당과의 대화.
'직급'으로 따지면 홍문종 새누리당 사무총장이 박 총장의 파트너가 돼야 했다. 박 총장은 그러나 홍 총장을 제외했다. 홍 총장은 청와대의 '전위'로 협상이 힘들다는 판단에서였다. 박 총장이 선택한 파트너는 김무성 의원이었다.
박 총장은 30일 기자들과 만나 "국회 국토위 중진인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이 당과 청와대를 설득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 연락했더니 공감했다. 그래서 새누리당에 만나자고 해서 어제 밤 9시에 만나서 논의했고, 황우여 대표가 OK했다"며 "김무성 의원이 김명환 철도노조위원장의 사인을 받기 원해서 연락했더니 김무성 의원과 내가 직접 오면 (사인을) 하겠다고 해서, 밤 11시 반에 출발해 김 위원장을 만났다. 합의서를 보여주면서 사인을 받았다"고 경과를 밝혔다.
새누리당 의원들 가운데 김 의원만이 청와대와 새누리당 설득이 가능한 적임자라고 판단했다는 것. 실제로 김 의원은 김명환 철도노조위원장을 만나 담판을 지을 때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최경환 원내대표 등과 수시로 통화해 설득하면서 합의안 도출을 성사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30일 협상타결뒤 박 총장과 함께 한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양당의 철도파업과 관련된 모든 분들께 다 상의해서 모두 허락받았다"고 밝혔고, 청와대·정부와의 사전협의 여부에 대해서도 "다 했다. 모든 과정 다 밟았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이렇게 어려운 일이 원만히 합의를 보게 된 것은 전적으로 박기춘 총장의 역할이 컸다는 것을 제가 말씀드린다"며 박 총장에게 모든 공을 돌렸다. 김 의원은 기자회견후 박 총장의 어깨를 두드리며 격려했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때 선거총괄본부장을 맡았던 박근혜 정권 탄생의 1등공신이다. 그러나 그가 MB정권때 MB와 친밀했던 까닭에 박근혜 대통령은 일정 거리를 두고 있는듯한 인상이다. 특히 친박원로 서청원 의원이 재보선을 통해 컴백해 당권 도전 의지를 밝히면서 당권을 겨냥해온 김 의원은 더욱 어려운 처지에 몰리는 형국이었다.
하지만 청와대와 정부, 새누리당 수뇌부 누구도 풀지 못한 철도파업을 그가 나서 타결지으면서 여권내 그의 '존재감'은 더없이 뚜렷해졌다. 특히 철도파업이 장기화하면서 TK 친박 좌장격인 유승민 의원이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의 부당성을 질타하고, 이재오·정몽준 의원 등 비주류 중진들이 박근혜 정부를 공개리에 비판하기 시작한 민감한 시점에 김 의원이 철도파업을 종식시키면서 그의 당내 위상은 더없이 강고해진 양상이다.
이는 향후 새누리당 내부 역학관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인 동시에, 청와대에 일방 종속적이던 당청 관계의 변화까지도 점쳐지는 대목이기도 해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