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귀환, 새누리 판도 요동
"김무성, 朴대통령 보필보다는 마이웨이 정치할 것"
김무성 전 새누리당 의원이 4.24 재보궐 선거에서 예상대로 당선되며 1년만에 국회와 당에 공식 복귀할 전망이다.
김 후보는 이날 밤 투표 종료 직후 개표 과정에서 상대 후보를 여유있게 앞서나가자 캠프에 들러 관계자들을 격려하는 등 사실상의 축포를 터뜨렸다. 그는 "승자의 과실이 골고루, 골고루 국민들이 그 과실을 먹을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을 만드는 데 제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전 의원의 귀환으로 벌써부터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당내 급속한 권력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는 이명박 정권 도중 박근혜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도 불구하고 친이계와 손을 잡고 원내대표 선거에 나서면서, 특히 박 대통령이 정치 생명을 걸었던 세종시를 무력화하는 데 앞장섰다. 또 친박 대다수가 우려를 표시했던 MB의 최대숙원사업인 4대강 공사 밀어부치기에 총대를 매면서 박 대통령과 사실상 결별했다.
박 대통령의 최대 지지모임인 박사모는 그에게 "배신자"라는 낙인까지 찍으며 향후 낙선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 대선 과정에서 포용정치라는 명분과 실질적인 선거 조직의 한계를 느끼며 김 전 의원에게 화애를 요청했고, 공천 낙마 후 정치적 돌파구가 마땅찮았던 김 전 의원도 이를 뿌리치지 않으며 두 사람의 관계는 일단 봉합됐다.
그러나 두 사람이 완전 화해했다고 보는 이들은 당내에서 드물다.
핵심 친박이자 김 전 의원과 가까운 모 의원은 "김무성 의원이 과거 YS를 모시듯 박근혜 대통령을 보필하겠는가? 아니면 정권 성공의 명분을 내세우며 할 말은 하는 자기 정치를 할까? 나는 후자라고 본다"며 김 전 의원이 향후 '마이웨이' 정치를 선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친박 내부가 뚜렷한 구심점이 없다는 것도 김 전 의원에게 힘이 쏠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가 '원조' 친박 좌장이었다는 점에서 친박 내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차기 원내대표에 출마한 최경환 의원이 부산까지 내려가 수차례 김 후보의 막후 지원을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다 잔류 친이계 조차도 김무성 역할론에 정치적 돌파구를 찾고있다. 핵심 친이계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실패한 것은 소통의 문제였는데 박근혜 정부 역시 소통의 문제를 겪고있다"며 "이에 제동을 걸고 쓴소리를 해 줄 수 있는 사람은 김무성 의원 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비박계에서 정몽준, 이재오 의원이 박 대통령을 겨냥해 연일 포문을 열고있지만 돌아온 김 전 의원이 친박계에다 대고 행하는 언행과는 중량감 자체가 다르다는 설명이다. 물론 친박 내에서는 이같은 비박계의 의도에 대해 "김무성을 이용해 친이계가 적전분열이라는 또다른 노림수를 꿈꾸고 있다"며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벌써부터 당내에서는 김무성 차기 당권론 소리가 나오고 있다. 오는 10월 재보선을 기점으로 황우여 체제가 무너지고 전대를 다시열어 '김무성 체제'가 들어설 것이라는 앞선 시나리오가 벌써부터 횡행하고 있다.
물론 목표는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에 대한 헤게모니 싸움이다.
한 친박 인사는 이에대해 "아무리 정권이 힘이 없더라도 이제 고작 1년차인데 그렇게 허무하게 당권을 내주겠는가?"라며 "또 설사 김 의원의 힘이 쎄서 나선다고 하더라도 당내 친박 대다수가 쉽게 동조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무엇보다 과거 정치사를 보면 2인자가 일찍 나서면 나설수록 그 2인자는 1인자가 되기보다는 새로운 2인자에게 자리를 내주는 불쏘시개 역할 밖에 못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며 "김 의원이 먼저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정치생명을 단축시키는 길"이라고 단언했다.
이런 관측에도 불구하고 김 전 의원의 머릿속엔 자신이 이루지 못했던 당 대표의 열망이 가득한 듯 보인다. 그는 이미 선거운동 과정에 한 인터뷰에서 "누가 국회의장 한다고 했냐? 당 대표야 얼마든지 다시 나올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자신의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
김 후보는 이날 밤 투표 종료 직후 개표 과정에서 상대 후보를 여유있게 앞서나가자 캠프에 들러 관계자들을 격려하는 등 사실상의 축포를 터뜨렸다. 그는 "승자의 과실이 골고루, 골고루 국민들이 그 과실을 먹을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을 만드는 데 제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 전 의원의 귀환으로 벌써부터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당내 급속한 권력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는 이명박 정권 도중 박근혜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도 불구하고 친이계와 손을 잡고 원내대표 선거에 나서면서, 특히 박 대통령이 정치 생명을 걸었던 세종시를 무력화하는 데 앞장섰다. 또 친박 대다수가 우려를 표시했던 MB의 최대숙원사업인 4대강 공사 밀어부치기에 총대를 매면서 박 대통령과 사실상 결별했다.
박 대통령의 최대 지지모임인 박사모는 그에게 "배신자"라는 낙인까지 찍으며 향후 낙선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지난 대선 과정에서 포용정치라는 명분과 실질적인 선거 조직의 한계를 느끼며 김 전 의원에게 화애를 요청했고, 공천 낙마 후 정치적 돌파구가 마땅찮았던 김 전 의원도 이를 뿌리치지 않으며 두 사람의 관계는 일단 봉합됐다.
그러나 두 사람이 완전 화해했다고 보는 이들은 당내에서 드물다.
핵심 친박이자 김 전 의원과 가까운 모 의원은 "김무성 의원이 과거 YS를 모시듯 박근혜 대통령을 보필하겠는가? 아니면 정권 성공의 명분을 내세우며 할 말은 하는 자기 정치를 할까? 나는 후자라고 본다"며 김 전 의원이 향후 '마이웨이' 정치를 선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친박 내부가 뚜렷한 구심점이 없다는 것도 김 전 의원에게 힘이 쏠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그가 '원조' 친박 좌장이었다는 점에서 친박 내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차기 원내대표에 출마한 최경환 의원이 부산까지 내려가 수차례 김 후보의 막후 지원을 요청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다 잔류 친이계 조차도 김무성 역할론에 정치적 돌파구를 찾고있다. 핵심 친이계 의원은 "이명박 정부가 실패한 것은 소통의 문제였는데 박근혜 정부 역시 소통의 문제를 겪고있다"며 "이에 제동을 걸고 쓴소리를 해 줄 수 있는 사람은 김무성 의원 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비박계에서 정몽준, 이재오 의원이 박 대통령을 겨냥해 연일 포문을 열고있지만 돌아온 김 전 의원이 친박계에다 대고 행하는 언행과는 중량감 자체가 다르다는 설명이다. 물론 친박 내에서는 이같은 비박계의 의도에 대해 "김무성을 이용해 친이계가 적전분열이라는 또다른 노림수를 꿈꾸고 있다"며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벌써부터 당내에서는 김무성 차기 당권론 소리가 나오고 있다. 오는 10월 재보선을 기점으로 황우여 체제가 무너지고 전대를 다시열어 '김무성 체제'가 들어설 것이라는 앞선 시나리오가 벌써부터 횡행하고 있다.
물론 목표는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에 대한 헤게모니 싸움이다.
한 친박 인사는 이에대해 "아무리 정권이 힘이 없더라도 이제 고작 1년차인데 그렇게 허무하게 당권을 내주겠는가?"라며 "또 설사 김 의원의 힘이 쎄서 나선다고 하더라도 당내 친박 대다수가 쉽게 동조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무엇보다 과거 정치사를 보면 2인자가 일찍 나서면 나설수록 그 2인자는 1인자가 되기보다는 새로운 2인자에게 자리를 내주는 불쏘시개 역할 밖에 못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며 "김 의원이 먼저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정치생명을 단축시키는 길"이라고 단언했다.
이런 관측에도 불구하고 김 전 의원의 머릿속엔 자신이 이루지 못했던 당 대표의 열망이 가득한 듯 보인다. 그는 이미 선거운동 과정에 한 인터뷰에서 "누가 국회의장 한다고 했냐? 당 대표야 얼마든지 다시 나올 수 있는 것 아니냐?"며 자신의 속내를 숨기지 않았다.
"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