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반발 "검찰 수사, 또 부실·과장 가능성 높아"
"100여만건은 단순히 양만 늘어난 것"
국정원은 이날 해명자료를 통해 이같이 비난한 뒤, "100여만건의 글은 봇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자동으로 리트윗된 것을 집계한 것으로 단순히 양만 늘어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국정원은 이어 "특히 이 과정에서 검찰은 국정원 직원이 관여하지 않은 계정까지 포함시켜 연관계정을 추출해 모두 국정원 직원의 트위터 글로 간주, 1차 공소장 변경 때처럼 부실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공소장에 추가된 트위터 계정과 글을 확보하는 대로 면밀한 검증을 거쳐 사실관계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정원은 "2010년 이후 북한의 트위터를 이용한 대남심리전 공세가 강화됨에 따라 방어심리전 일환으로 트위터상의 北 선동과 국내 종북활동에 대응해 왔다"며 "북한의 선동은 자신들의 핵실험ㆍ장거리미사일 발사ㆍ체제 선전부터 한미 FTA, 4대강 사업 등 국정 비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전개됐으며,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국내 현안 관련 내용이 포함될 수 밖에 없었다"며 MB의 4대강사업 등을 감싼 것도 방어심리전의 일환이었다고 주장했다.
국정원은 "검찰은 이같은 정보기관 심리전 특성에 대한 이해없이 NLL·천안함 폭침 등 특정 단어만 들어가도 정치 편향 글이라고 해석해 왔다"며 "국정원은 이같은 검찰의 무리한 수사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모든 것은 재판 과정에서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