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국무총리가 12일 대북정책 등 주요 현안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엇박자를 보여 논란을 자초했다. 주로 세종시에 체류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국정 2인자인 총리가 대통령과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통 부재 논란이 확산될 전망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 총리는 이날 세종시 총리공관에서 기자들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주먹을 쓰겠다는 사람 앞에서는 주먹이 소용없다는 것을 느끼게 해줘야 한다"며 "사과를 하든지, 사정을 하든지, 대화를 하자고 하는 것은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킨다고 생각한다"고 대북 대화 제의 반대 입장을 밝혔다.
정 총리는 "현재는 도발을 하면 엄청난 손해를 입을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전쟁 억지력을 갖추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며 "북한이 저렇게 강하게 나오는데 억지력은 무시하고 신뢰만 강조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대북 억지력을 통한 신뢰 프로세스가 대북 관계의 핵심"이라며, 다만 "북한이 대화의 자세를 보여준다면 언제든지 대화의 문도 열어놓겠다"고 덧붙였다고 <연합>은 전했다.
정 총리 발언은 전날 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의원들과의 만찬에서 "북한과 대화하겠다"며 사실상 대북 대화 제의를 하고, 통일부도 이에 이날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전날 류길재 장관 성명에 대해 "사실상 북한에 대화 제의를 한 것"이라고 수정한 것과 180도 다른 내용이다.
정 총리가 전날 밤에 급변한 정권내 기류를 감지하지 못하고 종전의 대북 강경대응 기조를 되풀이한 셈이다.
정 총리는 윤진숙 해양수산부장관 후보자 경질 논란에 대해서도 엇박자를 드러냈다.
그는 "윤 장관은 '많은 사람들 앞에서 질타를 당하다보니 너무 얼어서 충분히 이야기하지 못했다'고 한다"며 "경력을 보면 상당한 능력과 자질이 있으니 그런 점도 평가해주면 좋겠다"고 감쌌다.
하지만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미 '낙마' 당론을 정한 뒤 박 대통령에게 이를 건의했고 청와대 기류도 낙마 쪽으로 급선회한 상태다.
정 총리가 이처럼 엇박자를 낸 것은 그가 주로 세종시에 체류하면서 행정 업무를 보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북 대화 제의와 같이 중차대한 사안에서 엇박자를 내는 것은 심각한 정권내 소통 부재라는 점에서 간과할 사안이 아니다.
더욱이 박 대통령 입장이 전날 밤부터 언론을 통해 속보로 전해지고 이날 조간신문들도 1면 톱으로 대서특필한 상황에서 정 총리가 이처럼 엇박자를 낸 것은 정 총리가 최소한의 보도 체크조차 하지 않을 정도로 '정무'에 무관심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으면서 파장이 확산될 전망이다.
딱!! 유치원수준인 뇌용량의 한계 위선으로 가득찬 유신닥할매가 대텅자리에 올라간거부터가 위선이다 우리 국민들은 참으로 위대햇다 거의80%이상이 저 친일유신 닥과 주변 쓰레귀들을 반대했으니 결국 국민들이 이번 대선은 이긴것이다 저것들이 아무리 관권선거로 권력찬탈을했어도 국민들 대가수는 절대 인정하지 않는다 착각하고있는게다 국민들은 절대 놀아나지않는다
검사출신들이 대체로 전체를 보고 폭넓게 큰그림을 그리는데 서툴고(조작질에 익숙해져서) 그저 윽박지르른게 몸에배서 큰소리 내지르면서 책상 쾅 내리치면 모든게 해결되는줄 아는 애들이 많다. 정홍원이도 그런 부류의 하나가 아닐까싶다. 새누리에 있는 검사출신들을보자. 거의가 강성아닌가. 검사시절에 직속상사외에는 무서울게 없던 시절을 살아온 애들 아닌가
이참에 청와대도 세종시로 옮겨라! 국회도 세종시로 옮기고.. 국가 중요기관들이 휴전선 가까이 있으니 자칫하면 이들이 인질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 헌법재판소에서 관습헌법을 들먹이면서 수도이전에 헌법불합치판결을 내린 댓가를 지금과 같은 극한 남북대결때 절실히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