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교과서포럼 "4.19는 민주혁명"

4.19단체와 갈등 일단락, 교과서에도 '혁명'으로 표기

‘4.19혁명’을 ‘4.19학생운동’으로 폄훼해 폭력사태까지 빚었던 교과서 포럼과 4.19단체들의 갈등이 4.19유족회는 폭력사태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고 교과서포럼은 4.19를 '민주혁명'으로 규정한 뒤 그 정신을 존중하는 선에서 일단락됐다.

양측은 1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교과서포럼과 4.19혁명단체는 최근에 벌어진 사태에 대해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하며 이를 치유할 방안을 진지하게 모색했다”며 “이에 4.19혁명단체는 15일로 예정된 대토론회에 교과서포럼이 참여해줄 것을 정중하게 요청했고 교과서포럼은 이 요청을 흔쾌히 받아들여 토론회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4.19단체들은 “교과서포럼에 대한 항의과정에서 물리적 충돌을 야기해 결과적으로 교과서포럼 행사가 무산된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당사자들에게 사과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정식 사과했다. 교과서포럼도 “내부적으로 충분히 검토되지 않은 시안자료 발표로 4.19혁명단체회원들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킨 데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사과하며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혁명 이념을 존중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교과서포럼측은 앞으로 만들 대안교과서에도 4.19를 '혁명'으로 기술하기로 했다.

교과서포럼과 4.19단체는 대표들이 1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공동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최병성 기자


교과서 포럼 공동대표인 박효종 서울대 교수는 기자회견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제가 된 시안은 대안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기초적인 검토시안일 뿐”이라며 “앞으로 충분하고 신중한 검토를 거쳐 최종안을 만들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박 교수는 ‘5.16 쿠데타 미화, 5.18 광주민주화 운동의 저평가’에 대한 교과서포럼의 공식입장을 묻는 질문에도 “성명서에 밝힌 우리의 입장에 많은 부분이 함축되어 있다”며 즉답을 피하고 “내일 토론회에서 문제점이 있다면 충분히 토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교과서포럼 측에서 박효종 상임공동대표와 김영호 운영위원이 참석했고 4.19단체에서는 강재식 4.19민주혁명회 회장과 4.19혁명유족회 원재만 회장, 4.19공로자회 김진태 부회장이 참석했다. 양측은 내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평동 4.19민주혁명회관에서 ‘4.19혁명 역사관 재정립을을 위한 학술토론회’를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토론회는 박효종 서울대 교수가 사회를 맡고 발제자로는 4.19단체에서 이대우 부산대 교수, 교과서포럼에서는 전상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가 참석한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