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전 대학, 내년 3월까지 논술예시문항 공개”
2008년도 입시, 교원 정책 관련 계획 발표
교육인적자원부는 2008학년도 대학입시에서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대학들에 한해 각 대학별로 내년 3월까지 논술 예시문항을 공개할 것을 강제했다. 아울러 교육부는 “각 대학의 논술문제에 있어 학교교육으로 준비할 수 있는 수준의 난이도와 유형으로 논술고사를 실시토록하라”고 다시한번 전국 대학에 통보했다.
김신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일 오후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08학년도 대입제도 안정적 정착 방안 및 교원정책 개선방안 실행계획’을 보고했다.
내년 3월까지 전 대학 논술 예시문항 공개, 학교 논술 교육 강화
교육부는 우선 2008학년도 서울대 입시에서 논술비중 강화로 사실상 본교육에 가깝다는 지적과 관련,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전국 대학에 내년 3월까지 논술 예시문항을 공개하도록 강제했다.
또 교육부는 해당 논술 문제에 있어 “학교교육으로 준비할 수 있는 수준의 난이도와 유형으로 논술고사를 실시할 것”을 대학에 주문했다.
교육부는 논술 비중 확대로 인한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 가중과 관련, 학교 현장의 논술교육을 강화하기로 하고 ▲논술지도 교사 연수확대 ▲논술교육팀 지원사업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논술 연수를 받은 교사는 총5천6백명으로 학교당 4명 꼴로 논술 연수를 받았다. 그러나 내년까지 학교당 10명, 총 1만4천여명의 교사들을 상대로 논술연수를 실시한다는 것이 교육부의 계획이다.
또 교육부는 연간 5만편 가량 실시되고 있는 EBS 논술첨삭 지도를 확대, 앞으로는 연 1만편 이상의 논술첨삭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내년 9월부터 교장공모제 시범실시, 15년 경력 교원 및 교육공무원
한편 김 교육부총리는 이 날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교장공모제 시범실시를 골자로 한 ‘교원정책 개선방안 실행계획’도 발표했다.
교육부는 ‘교원정책 개선방안 5대 과제’로 ▲승진평정시 근무성적 평정 강화 ▲2007년 9월부터 자율학교를 대상으로 한 교장공모제 시범운영 ▲2007년 9월부터 수석교사제 도입 ▲교원양성ㆍ연수기관 평가인정제 도입 ▲교원자격 취득기준 강화 등을 제시했다.
교장공모제의 경우 초ㆍ중등학교 교육경력 15년 이상의 교원이나 교육공무원은 교장공모제에 응모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교장공모제 지정 실시학교는 교육감이 해당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 신청없이 일방적으로 지정가능하며, 학운위 내에서 의사수렴 후 지정을 신청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장공모제 지정 최종 권한은 교육감에게 있다. 단계별 심사를 통해 공모교장으로 선임된 교장은 해당학교 교원의 최고 30%까지 교사를 초빙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또 교육부는 우수교원 확보 차원에서 오는 2008년 2월까지 교원자격검정령을 비롯한 7개 관련 법 개정을 통해 신규교사 공개전형방식의 내실화 등 교원자격 취득요건을 강화할 방침이다.
2009년 영어교사 임용대상자, 영어논술 시험 도입
교육부는 ‘영어교육 혁신 방안’과 관련해 내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매년 1천명씩 약 1만명에 이르는 영어교사들을 상대로 집중 심화연수를 실시해 영어구사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제적인 방안으로 모든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사이버연수 등 단기 직무연수를 매 3년마다 최소 한 차례이상 실시토록 하고, 영어교사의 영어능력을 진단해 맞춤형 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오는 2009년 임용대상자부터는 영어교사 임용시험에서 영어논술, 영어듣기평가,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 실기시험을 도입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수도 오는 2010년까지 2천9백명 선으로 대폭 늘릴 방침이다. 특히 우수한 영어교사 확보 차원에서 내국인이라고 하더라도 영어를 유창하게 할 경우 방과 후 영어교사로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초ㆍ중ㆍ고교생에 ‘영어능력 인증제’ 도입
한편 교육부는 오는 2009년까지 전국 초ㆍ중ㆍ고교생에 학년별 성취수준에 따른 ‘영어능력 인증제’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영어능력인증제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말하기, 듣기, 쓰기 등 실용영어능력 시험을 개발하여 희망하는 초ㆍ중ㆍ고교생을 대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전담부서를 설치해 오는 2007~2008년 두 해 동안 시범운영하고 2009년부터 본격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사교육비 경감대책 차원에서 범부처 차원의 ‘사교육대책 추진단’을 운영해 내년 2월까지 관련 방안을 수립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김신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일 오후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08학년도 대입제도 안정적 정착 방안 및 교원정책 개선방안 실행계획’을 보고했다.
내년 3월까지 전 대학 논술 예시문항 공개, 학교 논술 교육 강화
교육부는 우선 2008학년도 서울대 입시에서 논술비중 강화로 사실상 본교육에 가깝다는 지적과 관련, 논술고사를 실시하는 전국 대학에 내년 3월까지 논술 예시문항을 공개하도록 강제했다.
또 교육부는 해당 논술 문제에 있어 “학교교육으로 준비할 수 있는 수준의 난이도와 유형으로 논술고사를 실시할 것”을 대학에 주문했다.
교육부는 논술 비중 확대로 인한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 가중과 관련, 학교 현장의 논술교육을 강화하기로 하고 ▲논술지도 교사 연수확대 ▲논술교육팀 지원사업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논술 연수를 받은 교사는 총5천6백명으로 학교당 4명 꼴로 논술 연수를 받았다. 그러나 내년까지 학교당 10명, 총 1만4천여명의 교사들을 상대로 논술연수를 실시한다는 것이 교육부의 계획이다.
또 교육부는 연간 5만편 가량 실시되고 있는 EBS 논술첨삭 지도를 확대, 앞으로는 연 1만편 이상의 논술첨삭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내년 9월부터 교장공모제 시범실시, 15년 경력 교원 및 교육공무원
한편 김 교육부총리는 이 날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교장공모제 시범실시를 골자로 한 ‘교원정책 개선방안 실행계획’도 발표했다.
교육부는 ‘교원정책 개선방안 5대 과제’로 ▲승진평정시 근무성적 평정 강화 ▲2007년 9월부터 자율학교를 대상으로 한 교장공모제 시범운영 ▲2007년 9월부터 수석교사제 도입 ▲교원양성ㆍ연수기관 평가인정제 도입 ▲교원자격 취득기준 강화 등을 제시했다.
교장공모제의 경우 초ㆍ중등학교 교육경력 15년 이상의 교원이나 교육공무원은 교장공모제에 응모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교장공모제 지정 실시학교는 교육감이 해당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 신청없이 일방적으로 지정가능하며, 학운위 내에서 의사수렴 후 지정을 신청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장공모제 지정 최종 권한은 교육감에게 있다. 단계별 심사를 통해 공모교장으로 선임된 교장은 해당학교 교원의 최고 30%까지 교사를 초빙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또 교육부는 우수교원 확보 차원에서 오는 2008년 2월까지 교원자격검정령을 비롯한 7개 관련 법 개정을 통해 신규교사 공개전형방식의 내실화 등 교원자격 취득요건을 강화할 방침이다.
2009년 영어교사 임용대상자, 영어논술 시험 도입
교육부는 ‘영어교육 혁신 방안’과 관련해 내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매년 1천명씩 약 1만명에 이르는 영어교사들을 상대로 집중 심화연수를 실시해 영어구사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제적인 방안으로 모든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사이버연수 등 단기 직무연수를 매 3년마다 최소 한 차례이상 실시토록 하고, 영어교사의 영어능력을 진단해 맞춤형 연수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오는 2009년 임용대상자부터는 영어교사 임용시험에서 영어논술, 영어듣기평가,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 실기시험을 도입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수도 오는 2010년까지 2천9백명 선으로 대폭 늘릴 방침이다. 특히 우수한 영어교사 확보 차원에서 내국인이라고 하더라도 영어를 유창하게 할 경우 방과 후 영어교사로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초ㆍ중ㆍ고교생에 ‘영어능력 인증제’ 도입
한편 교육부는 오는 2009년까지 전국 초ㆍ중ㆍ고교생에 학년별 성취수준에 따른 ‘영어능력 인증제’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영어능력인증제는 교육과정과 연계한 말하기, 듣기, 쓰기 등 실용영어능력 시험을 개발하여 희망하는 초ㆍ중ㆍ고교생을 대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전담부서를 설치해 오는 2007~2008년 두 해 동안 시범운영하고 2009년부터 본격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사교육비 경감대책 차원에서 범부처 차원의 ‘사교육대책 추진단’을 운영해 내년 2월까지 관련 방안을 수립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