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동아>, <친일인명사전>에 알레르기
창업주 방응모-김성수 포함, "좌파가 한국 정통성 훼손"
<조선일보> "아까운 세금, 한국 정통성 갉아먹는 데 쓰여"
<조선일보>는 이날자 사설을 통해 전날 김구선생 묘소에 앞에서 있었던 <친일인명사전> 발간 국민보고대회에 대해 "묘소 입구 길바닥엔 '박정희는 친일잔당' '다카키마사오(박정희) 일본 육군 소좌를 국립현충원서 추방하라'같은 붉은색 구호들이 쓰여 있었다. '대통령선거 다시 하자' '미디어 악법' 피켓도 눈에 띄었다"며 "국민의례는 애국가 제창이나 태극기에 대한 경례 없이 '민중의례'에 따라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만으로 끝냈다. 한반도가 그려진 배지를 단 사람도 상당수 섞여 있었다"고 색깔론적 접근을 했다.
사설은 이어 "광복 직후 친일파 청산 의지가 치열했던 반민특위가 가려낸 친일인사가 688명, 항일독립운동 원로들의 모임인 광복회가 2002년 내놓은 친일인사 명단이 692명이었다"며 "그런데 조국 광복 운동에 손가락 하나 담근 적이 없는 정체불명의 인사들이 그때보다 6배나 많은 사람을 친일 인사로 사전에 실어놓은 것"이라고 비난했다.
사설은 더 나아가 "민족문제연구소는 이날 국민 성금으로 이 사전을 만들었다고 했다. 그러나 사실은 김대중 노무현 정권은 '친일인명사전' 편찬에 국민 세금을 8억원이나 지원했었다"며 "아까운 국민 세금이 또 한 번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갉아먹는 데 쓰인 꼴"이라고 분개했다.
<동아일보> "좌파세력들이 심판관처럼 행세"
<동아일보>도 같은 날 사설을 통해 "우리 사회 내부에서 친일 논란의 불씨를 다시 지피려는 저의와 이 조직의 정체가 궁금하다"며, 특히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을 정조준해 "임헌영 소장은 1974년 문인간첩단 사건, 1979년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사건으로 투옥됐던 전력이 있다. 남민전은 대법원에서 반국가단체로 확정판결을 받은 공산주의 지하조직이었다. 임 씨의 행적을 거론하는 것은 그들의 주장대로 ‘색깔론’이 아니다.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내용 중 상당 부분이 대한민국의 건국과 산업화에 이바지한 인물에 대한 상처내기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
사설은 특히 <친일인명사전>에 포함된 창업주 김성수씨 옹호에 많은 지면을 할애했다.
사설은 "인촌 김성수 전 부통령을 친일 명단에 포함시킨 뒤 일제강점 말기 전쟁 중에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매일신보 등에 인촌 이름으로 게재된 징병 권고문 등을 문제 삼았다. 당시 글들은 조선 사회의 지도적 인사들을 전쟁 동원에 앞세우기 위해 이름을 도용한 것이었다"며 "당시 매일신보의 한국인 기자들은 일제강점 말기 매일신보가 과장과 날조된 허위 기사로 민심을 현혹시킨 선전선동 매체였다고 증언했다"며 김성수 글들을 '도용' 당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설은 이어 "보성전문학교 학생들도 ‘교장으로 있던 인촌이 학병에 나가라고 한 사실이 없다’고 증언했다"며 "민족문제연구소는 인촌이 항일독립운동을 지원한 사실을 신뢰성 높은 증언들에도 불구하고 누락시켰다. 식민 통치하에서 인촌은 민족의 힘을 기르기 위해 교육 언론 산업발전에 헌신했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또 "박정희 전 대통령은 친일의 책임을 묻기가 어려운 계급인 만주국 중위인데도 명단에 올렸다"며 "건국에 이은 경제발전의 주역에 대한 모욕주기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사설은 결론적으로 "좌파사관(史觀)에 기울어진 인물들이 주류인 조직이 친일 여부를 심판하는 재판관처럼 행세하는 것부터 가당치 않다"며 "이들이 궁극적으로 노리는 것은 대한민국이 친일 청산을 못해 정통성이 북에 비해 부족하다는 좌파사관의 확산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훼손하고 사회 분열을 조장하는 세력에 단호한 대처로 맞서지 않을 수 없다"며 후속 대응을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