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방겸영 놓고 <연합><YTN> '극과 극'
<연합> "문제 안돼" vs <YTN> "일당독재에 결정적 역할"
하나의 동일한 사안을 놓고서도 이해관계 또는 시각에 따라 얼마나 상반된 평가가 가능한가를 보여주는 생생한 증거다.
<연합뉴스> "日신방겸영,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 안돼"
일본은 지난 1950년대부터 신방 겸염을 허용, 일본내 최다부수를 찍는 요미우리(讀賣)신문이 니혼TV와, 마이니치(每日)신문은 TBS, 산케이(産經)신문은 후지TV, 아사히(朝日)신문은 TV아사히,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TV도쿄를 겸영하고 있다.
<연합뉴스>는 22일 미디어법 통과직후 이같은 일본내 신방겸영 사례를 열거한 뒤, "그럼에도 일본내에서는 신문과 방송의 겸영 문제가 커다란 이슈로 부각되지 않고 있다"고 단언했다.
<연합>은 "물론 언론학자들 사이에서는 '여론의 다양성이 사라졌다'면서 비판론도 나오고 있지만 크게 사회적으로 문제화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일각에서는 다수의 민영방송이 치열한 생존 경쟁을 벌이는 만큼 오히려 상호 비판과 견제라는 순기능도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며 거듭 긍정평가에 방점을 찍었다.
<YTN> "자민당 1당체제 위해 신방겸영 허용"
반면에 23일 <YTN>은 일본특파원발 기사를 통해 "일본의 경우를 보면 이번 미디어법의 통과가 우려되는 면이 많다"며 "보수 자민당이 반세기 집권을 이어온 데는 신문과 방송의 겸영이 결정적 역할을 해왔다는 분석이 많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YTN>은 "지난 93년 한 때 정권을 내주긴 했지만, 재계와 유착된 보수 자민당 1당 체제는 1955년부터 사실상 계속되어 왔다"며 "그 원동력의 하나는 1950년대부터 신문이 방송을 지배하는 체제를 유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고 전했다.
<YTN>은 구체적으로 "일본에서는 1957년 다나카 가쿠에이 당시 우정상이 신문사에 텔레비전 방송 사업을 허가해주면서 공영방송 NHK와 민영방송 5개사 체제가 굳어졌다"며 "장기집권 체제를 구상하던 정치권과의 이해관계와도 맞아 떨어져 요미우리의 니혼TV, 산케이의 후지TV, 니혼게이자이의 TV도쿄 등 신문과 방송의 겸영의 길이 열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YTN>은 이어 "이들 신문사 일부는 자사만의 보도 색깔을 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5개 민방의 경우 보도를 포함해 프로그램이 시청률 경쟁 등으로 대체적으로 선정적이고 오락적이며 보수적"이라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후계자로 거론되는 3남 정운의 가짜 사진 특종 사건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YTN>은 더 나아가 "일본 정계에서는 이른 바 '자민당 55년 체제'가 무너지더라도 몇 개월 뒤 다시 정권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며 "자민당을 지지하는 언론사가 여론을 과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신방겸영 폐해에 방점을 찍었다.
아사노 겐이치 도시샤대학 교수는 <YTN>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과 비슷한 법률을 한국이 만들었다는 것은 한국으로서는 불행한 것으로, 점점 (언론사 여론이) 과점화되면 다양한 의견이 보이지 않게 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