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3일, '5대 지방의 공황 전야' 현장
<현장> 철강-조선-건설 떼도산, 벌금 못내 감옥 만원, 하청기업 붕괴
지금 지방경제가 어렵다는 것은 새로운 뉴스가 못된다. 그러나 얼마나 심각한지는 절감하지 못하고 있다. 3일자 각 지역의 지방신문들은 벼랑끝에 몰린 지방의 심각한 위기상황을 전하고 있다.
철강-조선-건설업체가 연쇄도산 위기에 몰린 부산, 올 들어 현대중공업이 한척의 배도 수주하지 못하고 있는 울산, 벌금 낼 돈이 없어 노역형을 택해 감옥이 만원인 대구, 지역 중견건설체들의 연쇄도산으로 공황상태인 대전충청, 대기업 횡포로 하청기업들이 줄줄이 쓰러지고 있는 광주 등등...상황은 말 그대로 '공황 전야'였다.
<부산일보> "부산, 철강-조선-건설업체 떼도산 위기"
3일자 <부산일보>는 "지역 산업계에 부도, 화의신청, 감산 등 흉흉한 일이 줄을 잇고 있다"며 "철강업계에서는 중견업체가 잇따라 쓰러지며 이미 줄도산 사태가 빚어지고 조선과 자동차 등 주력 업종에서도 일부 부실을 안고 있는 조선소로부터 납품 대금을 사실상 떼인 기업이 속출하는 등 지역의 전 산업계가 여파에 시달리는 양상"이라고 절박한 부산지역 상황을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부산의 100여개 철강유통사들이 조선 건설 등에서 수요가 뚝 끊기면서 연쇄 도산 공포에 떨고 있다. 부산의 D철강유통사 사장은 "올초 철강 값이 뛸 때 사놓은 물량이 산더미"라며 "철강업계는 곧 연쇄 도산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철강 수입항인 부산 감천항은 물론 북항 등 부산항 곳곳에는 수입 철강이 수개월째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실정이다. 철강유통사들은 헐값에라도 물량을 떠넘기려고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수요자인 조선사나 건설사로부터 외면당하는 처지다.
중국산 철강의 경우 일반 후판이 올초 t당 1천100달러대이던 것이 최근에는 600달러대로 급락했다. 이 때문에 제강업체들의 경우 대형 제강사로부터 감산 동참 요구를 받고 있지만 매출 감소를 우려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철강업계는 중견 철강유통사인 Y사와 K사 등이 최근 잇따라 화의를 신청하는 등 위기가 빠르게 표면화되며 부실의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다. Y사와 거래를 해 온 철강업체 B사 정모 대표는 "철강사는 예금을 담보로 잡아도 돈을 못빌리는 판"이라며 "이는 시중은행이나 지역은행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중소형 조선소를 중심으로 지역 조선업계도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2011년까지 수주 물량을 확보해 놓은 부산의 한 중형 조선소는 금융권으로부터 보증을 받지 못해 쩔쩔매고 있다. 금융권의 보증을 받아야 선주로부터 선수금을 받아 생산에 나설 수 있는데 금융기관들이 중소형 조선소들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조선소 임원은 "은행들이 조선소라는 말만 해도 전화조차 받으려 하지 않는다"며 "돈이 돌지 않아 계약을 따고도 생산을 못할 판"이라고 말했다.
그 여파로 조선기자재업종도 곤란을 겪고 있다. 부산의 조선기자재업체 대부분이 이들 중소 조선소로부터 물품 납품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숨 죽인 채 진행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조선업계는 금융기관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C&중공업이 3조원 규모의 수주를 해놓고도 1천700억원의 시설자금을 빌리지 못하면서 중소 조선업계까지 자금난에 봉착한 사례를 들며 업계에서는 "금융기관의 외면이 위기 확산의 한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건설업계도 불황 여파가 본격화하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는 경기 악화로 자본금 등을 확보하지 못해 영업정지되는 업체가 예년에 비해 크게 늘어나면서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
"울산도 심각, 현대중공업 4분기 들어 배 1척도 수주 못해"
<부산일보>가 별도기사로 전한 '중공업의 메카' 울산 분위기도 간단치 않다.
신문에 따르면, 경기불황 여파로 울산의 패션 1번지인 중구 성남동 상가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시계탑사거리에서 울산초등학교 인근 200∼300m 거리에는 10여곳의 점포가 텅 빈 채 '점포임대' 팻말을 내걸고 있다.
또 최근 한 달 사이 울산에서 20개 이상의 슈퍼가 문을 닫았으며, 폐점 또는 개점휴업 상태인 음식점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유화학과 조선, 자동차 등 울산지역 주력 업종들도 세계의 경제위기로 감산과 수주 부진 등 어려움에 처했다.
SK에너지㈜ 울산콤플렉스는 중국과 동남아 시장에 대한 화학제품 수출이 감소하면서 사내에 재고품을 쌓아둘 장소가 없어 사상 처음으로 지난달 27일부터 20일간 나프타분해(NCC) 1공장의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의 경우 3년 6개월∼3년치 수주물량을 확보해 놓고 있긴 하지만, 4/4분기 들어서는 1척의 배도 수주하지 못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도 환율 상승 영향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하긴 했으나 3/4분기 내수판매가 지난해보다 3.4%나 감소하는 등 경기침체 국면을 맞고 있다.
<영남일보> "벌금 내지 못해 감옥 가는 이들로 감옥 만원"
3일자 <영남일보>는 경기불황으로 잇따라 개인파산을 하고 심지어는 벌금을 내지 못해 노역형을 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있음을 상세히 전했다.
신문은 우선 두 건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으로 사태의 심각성을 전했다.
#사례1 주부 강모씨(40)는 지난달 어렵사리 법원을 찾아 개인파산 신청을 냈다. 백혈병을 앓고 있는 초등학생 딸 아이(9)의 병원비를 마련하느라 돌려막기를 거듭했던 신용카드 연체가 원금만 1천500만원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사채도 끌어다 쓸만큼 썼다. 강씨는 그동안 조그만 김밥 집을 운영하며 근근이 버텨왔으나 장사가 안 돼 이마저도 정리한 후 경제적 압박이 가중되자 마지막 선택을 했다.
#사례2 회사원 김모씨(48)는 얼마 전 TV에서나 봐 왔던 '빨간 딱지'가 자신의 집 가재도구에 붙는 장면을 봐야했다. 무역업을 하던 처남의 사업자금 마련에 보증을 선 게 화근이었다. 처남은 사업실패로 종적을 감췄고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김씨는 "회사도 그만둬야 할 처지에 놓였다. 아이들이 걱정…"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신문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지역 개인파산 접수건수는 2005년 3천63건에서 2007년 1만3천350건으로 2년 새 무려 340%(1만287건)가량 늘어났다. 올해 들어서도 9월말 현재 6천741건에 이르렀다.
파탄에 직면했으나 향후 채무를 갚을 의사와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신청하는 개인회생 역시 2005년 6천674건, 2007년 9천114건, 올 9월 현재 6천903건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2천만원 이하 소액재판 및 부동산 강제집행 사건도 증가추세다. 소액재판사건은 2007년 4만2천655건에서 10월말 현재 4만3천267건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건수를 넘어섰다.
빚으로 집이 넘어가는 부동산 경매건수도 작년 5천687건, 올 10월 현재 4천310건 등으로 예사롭지 않다.
벌금을 내지 못해 철창행을 택한 생계형 노역자 증가 속도는 올 들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벌금형을 노역형으로 대신한 사람은 2006년과 2007년 각각 4천345명, 3천831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는 상반기(1~7월)에만 3천347명을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올해 사상 최고인 7천명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납벌금의 증가폭은 더 놀랍다. 2006년 83억6천400만원, 2007년 152억8천500만원이었던 미납금액은 올 7월까지 1천66억1천500만원으로 폭증했다.
벌금을 못낸 노역장 유치자들까지 수감되면서 교정시설은 수용률을 크게 초과했다. 9월 현재 대구구치소의 정원은 750명이지만 현원은 956명으로 27.5% 초과 수용되고 있다.
<대전일보> "동산-구성건설 1차부도로 지역건설업계 연쇄도산 위기"
<대전일보>는 대전충남지역의 중견건설업체 2곳이 1차 부도처리되며 지역건설업계가 떼도산 위기에 몰린 소식을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충남 홍성 소재 동산건설(대표 유응조)과 계열사인 구성건설(대표 심홍택·대전 소재)이 지난달 31일 은행에 돌아온 어음 30억원을 결제하지 못해 1차 부도처리됐다.
동산건설은 이날 우리은행 대전지점에 돌아온 어음 8억원과 제일은행 둔산지점의 9억원을 결제하지 못했다. 구성건설도 우리은행 대전지점 2억원, 제일은행 2억1000만원의 어음을 결제하지 못했다. 또 국민은행의 어음 8억9000만원도 결제하지 못했다.
이에따라 이들 회사들은 3일 은행마감시간까지 어음을 결제하지 못하면 최종 부도처리된다.
이 두 회사가 부도처리될 경우 지역에서는 IMF이후 건설업계의 최대규모 부도로 지역건설업계에 일파만파의 파장이 예상된다.
동산건설(2등급)은 충남지역 시공능력 평가액 11위 업체로 2007년 기성액은 598억이며, 계약액은 714억원이다. 구성건설은 대전지역 9위 업체로 2007년 기성액은 163억원, 계약액은 94억원이다. 또 계열사인 조흥토건, 청호건설도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연쇄도산이 우려된다.
문제는 동산건설과 구성건설의 하도급 업체가 70-80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이들 업체들까지 부도가 발생할 경우 지역경제에 심각한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동산건설은 부여-논산간 도로 확포장 공사, 장항선 홍성역 등 2개역 신축공사를 비롯 16곳의 현장이 있으며, 구성건설도 BTL 등 다수의 공사 현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남일보> "대기업 횡포로 하청업체 연쇄도산"
<전남일보>는 3일 지역 경제난을 다루지 않았으나 앞서 31일 대기업 횡포로 부도난 하청업체 르포를 실었다.
신문은 30일 오후 광주 하남공단 8번로의, 지난 16일 영업을 중단한 전자부품 제조업체 중앙티엔씨를 찾았다. 20년된 이 기업은 이자 1천300만원을 막지 못해 힘없이 무너졌다.
중앙티엔씨는 모 대기업에 고무 부품을 납품해왔다. 이른바 1차 벤더(하청업체)이다. 올해 70여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순이익은 오히려 매달 2000만~3000만원의 적자로 돌아왔다.
이 회사의 이 모 대표는 "지난 3월 1억4500만원에 들여온 원자재값이 10월에는 무려 2억1700만원으로 40% 뛰었다"며 "원자재가 급등과 고금리가 유동성에 직격탄을 날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처럼 원자재 가격이 높은 상황에서도 대기업들은 원가 절감을 위해 협력사에 납품 단가 하향 조정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업체는 이달 초 '200여 개 아이템의 납품단가를 내려달라'는 인하 요구서를 대기업으로부터 전달받은 바 있다.
이 대표는 "대기업 납품에 의존해 운영해야 하는 하청업체는 원자재값 상승과 납품단가 인하 요구가 존립을 위협하는 요인"이라며 "원청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투자를 하게 해놓고 업체간에 최저가 입찰을 요구하는 이른바 '비딩'으로 업체간 출혈경쟁도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사정은 다른 하청업체들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광주 하남산단의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첩첩산중의 악재에 빠져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청업체들이 납품단가 인상분을 제대로 반영받지 못해 경영난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가는 협력업체의 20~30%가 줄도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올해들어 하남공단의 대기업 하청업체 3~4곳이 잇따라 부도로 쓰러지거나 조업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1차벤더의 어려움은 2ㆍ3차 벤더로 전가되고 있다. 이 대표는 "폐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하지만 2차 벤더에게 납품대금을 지불하지 못할 경우 연쇄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철강-조선-건설업체가 연쇄도산 위기에 몰린 부산, 올 들어 현대중공업이 한척의 배도 수주하지 못하고 있는 울산, 벌금 낼 돈이 없어 노역형을 택해 감옥이 만원인 대구, 지역 중견건설체들의 연쇄도산으로 공황상태인 대전충청, 대기업 횡포로 하청기업들이 줄줄이 쓰러지고 있는 광주 등등...상황은 말 그대로 '공황 전야'였다.
<부산일보> "부산, 철강-조선-건설업체 떼도산 위기"
3일자 <부산일보>는 "지역 산업계에 부도, 화의신청, 감산 등 흉흉한 일이 줄을 잇고 있다"며 "철강업계에서는 중견업체가 잇따라 쓰러지며 이미 줄도산 사태가 빚어지고 조선과 자동차 등 주력 업종에서도 일부 부실을 안고 있는 조선소로부터 납품 대금을 사실상 떼인 기업이 속출하는 등 지역의 전 산업계가 여파에 시달리는 양상"이라고 절박한 부산지역 상황을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부산의 100여개 철강유통사들이 조선 건설 등에서 수요가 뚝 끊기면서 연쇄 도산 공포에 떨고 있다. 부산의 D철강유통사 사장은 "올초 철강 값이 뛸 때 사놓은 물량이 산더미"라며 "철강업계는 곧 연쇄 도산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철강 수입항인 부산 감천항은 물론 북항 등 부산항 곳곳에는 수입 철강이 수개월째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실정이다. 철강유통사들은 헐값에라도 물량을 떠넘기려고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수요자인 조선사나 건설사로부터 외면당하는 처지다.
중국산 철강의 경우 일반 후판이 올초 t당 1천100달러대이던 것이 최근에는 600달러대로 급락했다. 이 때문에 제강업체들의 경우 대형 제강사로부터 감산 동참 요구를 받고 있지만 매출 감소를 우려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철강업계는 중견 철강유통사인 Y사와 K사 등이 최근 잇따라 화의를 신청하는 등 위기가 빠르게 표면화되며 부실의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다. Y사와 거래를 해 온 철강업체 B사 정모 대표는 "철강사는 예금을 담보로 잡아도 돈을 못빌리는 판"이라며 "이는 시중은행이나 지역은행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중소형 조선소를 중심으로 지역 조선업계도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2011년까지 수주 물량을 확보해 놓은 부산의 한 중형 조선소는 금융권으로부터 보증을 받지 못해 쩔쩔매고 있다. 금융권의 보증을 받아야 선주로부터 선수금을 받아 생산에 나설 수 있는데 금융기관들이 중소형 조선소들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조선소 임원은 "은행들이 조선소라는 말만 해도 전화조차 받으려 하지 않는다"며 "돈이 돌지 않아 계약을 따고도 생산을 못할 판"이라고 말했다.
그 여파로 조선기자재업종도 곤란을 겪고 있다. 부산의 조선기자재업체 대부분이 이들 중소 조선소로부터 물품 납품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숨 죽인 채 진행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조선업계는 금융기관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C&중공업이 3조원 규모의 수주를 해놓고도 1천700억원의 시설자금을 빌리지 못하면서 중소 조선업계까지 자금난에 봉착한 사례를 들며 업계에서는 "금융기관의 외면이 위기 확산의 한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건설업계도 불황 여파가 본격화하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는 경기 악화로 자본금 등을 확보하지 못해 영업정지되는 업체가 예년에 비해 크게 늘어나면서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
"울산도 심각, 현대중공업 4분기 들어 배 1척도 수주 못해"
<부산일보>가 별도기사로 전한 '중공업의 메카' 울산 분위기도 간단치 않다.
신문에 따르면, 경기불황 여파로 울산의 패션 1번지인 중구 성남동 상가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시계탑사거리에서 울산초등학교 인근 200∼300m 거리에는 10여곳의 점포가 텅 빈 채 '점포임대' 팻말을 내걸고 있다.
또 최근 한 달 사이 울산에서 20개 이상의 슈퍼가 문을 닫았으며, 폐점 또는 개점휴업 상태인 음식점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석유화학과 조선, 자동차 등 울산지역 주력 업종들도 세계의 경제위기로 감산과 수주 부진 등 어려움에 처했다.
SK에너지㈜ 울산콤플렉스는 중국과 동남아 시장에 대한 화학제품 수출이 감소하면서 사내에 재고품을 쌓아둘 장소가 없어 사상 처음으로 지난달 27일부터 20일간 나프타분해(NCC) 1공장의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의 경우 3년 6개월∼3년치 수주물량을 확보해 놓고 있긴 하지만, 4/4분기 들어서는 1척의 배도 수주하지 못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도 환율 상승 영향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하긴 했으나 3/4분기 내수판매가 지난해보다 3.4%나 감소하는 등 경기침체 국면을 맞고 있다.
<영남일보> "벌금 내지 못해 감옥 가는 이들로 감옥 만원"
3일자 <영남일보>는 경기불황으로 잇따라 개인파산을 하고 심지어는 벌금을 내지 못해 노역형을 하는 이들이 급증하고 있음을 상세히 전했다.
신문은 우선 두 건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으로 사태의 심각성을 전했다.
#사례1 주부 강모씨(40)는 지난달 어렵사리 법원을 찾아 개인파산 신청을 냈다. 백혈병을 앓고 있는 초등학생 딸 아이(9)의 병원비를 마련하느라 돌려막기를 거듭했던 신용카드 연체가 원금만 1천500만원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사채도 끌어다 쓸만큼 썼다. 강씨는 그동안 조그만 김밥 집을 운영하며 근근이 버텨왔으나 장사가 안 돼 이마저도 정리한 후 경제적 압박이 가중되자 마지막 선택을 했다.
#사례2 회사원 김모씨(48)는 얼마 전 TV에서나 봐 왔던 '빨간 딱지'가 자신의 집 가재도구에 붙는 장면을 봐야했다. 무역업을 하던 처남의 사업자금 마련에 보증을 선 게 화근이었다. 처남은 사업실패로 종적을 감췄고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김씨는 "회사도 그만둬야 할 처지에 놓였다. 아이들이 걱정…"이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신문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지역 개인파산 접수건수는 2005년 3천63건에서 2007년 1만3천350건으로 2년 새 무려 340%(1만287건)가량 늘어났다. 올해 들어서도 9월말 현재 6천741건에 이르렀다.
파탄에 직면했으나 향후 채무를 갚을 의사와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신청하는 개인회생 역시 2005년 6천674건, 2007년 9천114건, 올 9월 현재 6천903건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2천만원 이하 소액재판 및 부동산 강제집행 사건도 증가추세다. 소액재판사건은 2007년 4만2천655건에서 10월말 현재 4만3천267건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건수를 넘어섰다.
빚으로 집이 넘어가는 부동산 경매건수도 작년 5천687건, 올 10월 현재 4천310건 등으로 예사롭지 않다.
벌금을 내지 못해 철창행을 택한 생계형 노역자 증가 속도는 올 들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벌금형을 노역형으로 대신한 사람은 2006년과 2007년 각각 4천345명, 3천831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는 상반기(1~7월)에만 3천347명을 기록했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올해 사상 최고인 7천명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납벌금의 증가폭은 더 놀랍다. 2006년 83억6천400만원, 2007년 152억8천500만원이었던 미납금액은 올 7월까지 1천66억1천500만원으로 폭증했다.
벌금을 못낸 노역장 유치자들까지 수감되면서 교정시설은 수용률을 크게 초과했다. 9월 현재 대구구치소의 정원은 750명이지만 현원은 956명으로 27.5% 초과 수용되고 있다.
<대전일보> "동산-구성건설 1차부도로 지역건설업계 연쇄도산 위기"
<대전일보>는 대전충남지역의 중견건설업체 2곳이 1차 부도처리되며 지역건설업계가 떼도산 위기에 몰린 소식을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충남 홍성 소재 동산건설(대표 유응조)과 계열사인 구성건설(대표 심홍택·대전 소재)이 지난달 31일 은행에 돌아온 어음 30억원을 결제하지 못해 1차 부도처리됐다.
동산건설은 이날 우리은행 대전지점에 돌아온 어음 8억원과 제일은행 둔산지점의 9억원을 결제하지 못했다. 구성건설도 우리은행 대전지점 2억원, 제일은행 2억1000만원의 어음을 결제하지 못했다. 또 국민은행의 어음 8억9000만원도 결제하지 못했다.
이에따라 이들 회사들은 3일 은행마감시간까지 어음을 결제하지 못하면 최종 부도처리된다.
이 두 회사가 부도처리될 경우 지역에서는 IMF이후 건설업계의 최대규모 부도로 지역건설업계에 일파만파의 파장이 예상된다.
동산건설(2등급)은 충남지역 시공능력 평가액 11위 업체로 2007년 기성액은 598억이며, 계약액은 714억원이다. 구성건설은 대전지역 9위 업체로 2007년 기성액은 163억원, 계약액은 94억원이다. 또 계열사인 조흥토건, 청호건설도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연쇄도산이 우려된다.
문제는 동산건설과 구성건설의 하도급 업체가 70-80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이들 업체들까지 부도가 발생할 경우 지역경제에 심각한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동산건설은 부여-논산간 도로 확포장 공사, 장항선 홍성역 등 2개역 신축공사를 비롯 16곳의 현장이 있으며, 구성건설도 BTL 등 다수의 공사 현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남일보> "대기업 횡포로 하청업체 연쇄도산"
<전남일보>는 3일 지역 경제난을 다루지 않았으나 앞서 31일 대기업 횡포로 부도난 하청업체 르포를 실었다.
신문은 30일 오후 광주 하남공단 8번로의, 지난 16일 영업을 중단한 전자부품 제조업체 중앙티엔씨를 찾았다. 20년된 이 기업은 이자 1천300만원을 막지 못해 힘없이 무너졌다.
중앙티엔씨는 모 대기업에 고무 부품을 납품해왔다. 이른바 1차 벤더(하청업체)이다. 올해 70여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순이익은 오히려 매달 2000만~3000만원의 적자로 돌아왔다.
이 회사의 이 모 대표는 "지난 3월 1억4500만원에 들여온 원자재값이 10월에는 무려 2억1700만원으로 40% 뛰었다"며 "원자재가 급등과 고금리가 유동성에 직격탄을 날렸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처럼 원자재 가격이 높은 상황에서도 대기업들은 원가 절감을 위해 협력사에 납품 단가 하향 조정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업체는 이달 초 '200여 개 아이템의 납품단가를 내려달라'는 인하 요구서를 대기업으로부터 전달받은 바 있다.
이 대표는 "대기업 납품에 의존해 운영해야 하는 하청업체는 원자재값 상승과 납품단가 인하 요구가 존립을 위협하는 요인"이라며 "원청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투자를 하게 해놓고 업체간에 최저가 입찰을 요구하는 이른바 '비딩'으로 업체간 출혈경쟁도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사정은 다른 하청업체들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광주 하남산단의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첩첩산중의 악재에 빠져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청업체들이 납품단가 인상분을 제대로 반영받지 못해 경영난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가는 협력업체의 20~30%가 줄도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 올해들어 하남공단의 대기업 하청업체 3~4곳이 잇따라 부도로 쓰러지거나 조업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1차벤더의 어려움은 2ㆍ3차 벤더로 전가되고 있다. 이 대표는 "폐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하지만 2차 벤더에게 납품대금을 지불하지 못할 경우 연쇄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