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야당 등원 거듭 촉구
홍준표 "등원 거부, 절차적 민주주의 위반"
한나라당은 15일 통합민주당 등 야당의 국회 등원 거부를 '절차적 민주주의 위반'이라고 규정하고 조속한 국회 복귀를 촉구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회의 헌법 정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데 이것은 옳지 않다"며 "민주당에서는 쇠고기 대책에 대해 가축전염병예방법 통과를 보장하면 (국회에)들어오겠다는데 이것은 절차적 민주주의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 의원은 이어 "쇠고기문제도 (국회의)광범위한 논의를 거칠 때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데 이런 식으로 밀실에서 원내대표들끼리 (가축법 등)관련 법안을 합의해버리면 그 다음부터 국회가 쇠고기 대책으로서 할 일이 뭐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특히 "야당이 당리당략으로 국정과 서민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촛불 집회의 성격이 조금 전환이 되고 있다. 대운하, KBS 문제 등 정치투쟁의 장으로 변질돼 가고 있다. 집회가 상시화 돼서 프로들을 중심으로 정권퇴진의 장으로 변해서는 국민적 호응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더 이상 야당은 헌법정지 사태를 계속 유지해서는 안된다. 정치권이 모여 촛불집회에서의 민의를 들어줘야 한다"며 야당의 등원을 거듭 촉구했다.
그는 아울러 "정부에도 인적, 국정 쇄신으로 국민을 안심시키도록 요구하겠다"며 "국민들은 변화된 청와대와 정부를 보고 싶어 한다. 이번을 기회삼아 거듭 태어나는 청와대와 정부가 돼서 국민들에게 새롭게 다가갈 수 있도록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조윤선 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촛불을 든 국민들조차 국회로 돌아가라고 외치고 있다. 국민의 요구가 이러할진대, 진정 공당의 대표라면 책임 있는 자세를 갖고, 당내 강경한 소속 의원들을 설득시켜서라도 국회에 들어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대변인은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이날 국회 등원을 시사한 것과 관련 "말로는 등원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정국상황을 살피는 것도 옳지 못한 일"이라며 "국회의원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국회에서 주어진 일과 할 일을 찾아 역할을 하는 것이 지극히 당연한 자세다. 당장 조건 없이 국회에 등원해 본분을 되찾고 산적한 민생현안을 처리하는데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회의 헌법 정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데 이것은 옳지 않다"며 "민주당에서는 쇠고기 대책에 대해 가축전염병예방법 통과를 보장하면 (국회에)들어오겠다는데 이것은 절차적 민주주의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 의원은 이어 "쇠고기문제도 (국회의)광범위한 논의를 거칠 때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데 이런 식으로 밀실에서 원내대표들끼리 (가축법 등)관련 법안을 합의해버리면 그 다음부터 국회가 쇠고기 대책으로서 할 일이 뭐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특히 "야당이 당리당략으로 국정과 서민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촛불 집회의 성격이 조금 전환이 되고 있다. 대운하, KBS 문제 등 정치투쟁의 장으로 변질돼 가고 있다. 집회가 상시화 돼서 프로들을 중심으로 정권퇴진의 장으로 변해서는 국민적 호응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더 이상 야당은 헌법정지 사태를 계속 유지해서는 안된다. 정치권이 모여 촛불집회에서의 민의를 들어줘야 한다"며 야당의 등원을 거듭 촉구했다.
그는 아울러 "정부에도 인적, 국정 쇄신으로 국민을 안심시키도록 요구하겠다"며 "국민들은 변화된 청와대와 정부를 보고 싶어 한다. 이번을 기회삼아 거듭 태어나는 청와대와 정부가 돼서 국민들에게 새롭게 다가갈 수 있도록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조윤선 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촛불을 든 국민들조차 국회로 돌아가라고 외치고 있다. 국민의 요구가 이러할진대, 진정 공당의 대표라면 책임 있는 자세를 갖고, 당내 강경한 소속 의원들을 설득시켜서라도 국회에 들어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대변인은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이날 국회 등원을 시사한 것과 관련 "말로는 등원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정국상황을 살피는 것도 옳지 못한 일"이라며 "국회의원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국회에서 주어진 일과 할 일을 찾아 역할을 하는 것이 지극히 당연한 자세다. 당장 조건 없이 국회에 등원해 본분을 되찾고 산적한 민생현안을 처리하는데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