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세븐 시가총액 올해 6조1천억원 증발
양천구 1조9천억원, 송파구 1조7천억원 감소
올해 들어 서울 강남.서초.송파구 등 소위 '버블세븐' 지역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이며 시가총액(매매값 총액)이 6조1천억원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정도 하락세는 지난 5년간 폭등기때와 비교할 때는 극히 미미한 수치에 불과해 추가하락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27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최근 버블세븐 지역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용인시, 분당신도시, 평촌신도시의 아파트 53만2천9백93가구를 대상으로 아파트값 총액을 조사한 결과, 연초대비 6조1천7백12억원이 하락했다.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하락한 곳은 양천구로 연초 39조1천6백71억원에서 37조2천7백53억원으로 1조8천9백18억원이 급락했다. 이어 송파구가 58조5천9백17억원에서 56조8천2백71억원으로 1조7천6백46억원(-3.01%) 하락했다.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강남구는 연초 1백2조2천9백74억원에서 최근 1백1조5천5백28억원으로 7천4백45억원(-0.73%) 하락했고, 서초구는 58조5천8백74억원에서 57조7천1백63억원으로 8천7백10억원 떨어졌다.
또 용인시(-0.12%)는 올 들어 시가총액이 64조1천9백49억원에서 64조1천1백57억원으로 7백92억원이 하락했고, 분당(-1.03%)이 5천6백4억원(54조2천8백97억원→53조7천2백92억원), 평촌(-1.42%)은 2천5백93억원(18조3천12억원→18조4백18억원)이 각각 감소했다.
양천구의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떨어진 것은 학군 수요가 감소하며 목동 신시가지내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였기 때문으로, 올 들어 신시가지 아파트중 중소형은 1억~2억원, 중대형은 최고 3억원 가량 하락했다.
송파구는 잠실 주공5단지, 가락 시영 등 재건축 아파트 약세로 내림세를 주도했고, 분당과 평촌 역시 대형 아파트 위주로 약세를 보였다.
27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최근 버블세븐 지역인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용인시, 분당신도시, 평촌신도시의 아파트 53만2천9백93가구를 대상으로 아파트값 총액을 조사한 결과, 연초대비 6조1천7백12억원이 하락했다.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하락한 곳은 양천구로 연초 39조1천6백71억원에서 37조2천7백53억원으로 1조8천9백18억원이 급락했다. 이어 송파구가 58조5천9백17억원에서 56조8천2백71억원으로 1조7천6백46억원(-3.01%) 하락했다.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강남구는 연초 1백2조2천9백74억원에서 최근 1백1조5천5백28억원으로 7천4백45억원(-0.73%) 하락했고, 서초구는 58조5천8백74억원에서 57조7천1백63억원으로 8천7백10억원 떨어졌다.
또 용인시(-0.12%)는 올 들어 시가총액이 64조1천9백49억원에서 64조1천1백57억원으로 7백92억원이 하락했고, 분당(-1.03%)이 5천6백4억원(54조2천8백97억원→53조7천2백92억원), 평촌(-1.42%)은 2천5백93억원(18조3천12억원→18조4백18억원)이 각각 감소했다.
양천구의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떨어진 것은 학군 수요가 감소하며 목동 신시가지내 아파트값이 약세를 보였기 때문으로, 올 들어 신시가지 아파트중 중소형은 1억~2억원, 중대형은 최고 3억원 가량 하락했다.
송파구는 잠실 주공5단지, 가락 시영 등 재건축 아파트 약세로 내림세를 주도했고, 분당과 평촌 역시 대형 아파트 위주로 약세를 보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