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2015년 위안부 합의는 공식합의...해법 협의해나가야"
"강제징용 판결, 현금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아"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한일 관계와 관련, "모든 문제를 서로 연계시켜서, 이런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다른 분야의 협력도 멈춘다든지, 이런 태도는 결코 해명하지 못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온-오프라인 복합방식으로 진행된 신년기자회견에서 일본 과거사 관련 질문에 대해 "과거사 문제들도 사안별로 분리해서 서로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수출규제 문제, 강제징용 판결 문제들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양국이 여러 차원의 대화를 하고 있다. 그런 노력을 하는 중에 위안부 판결문제가 더해져서 솔직히 조금 곤혹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최근 법원의 위안부 배상 판결에 대해 곤혹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2015년도에 양국 정부 간에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가 있었다. 한국 정부는 그 합의가 양국정부 간의 공식적인 합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며 "그런 토대 위에서 이번 판결을 받은 피해자 할머니들도 동의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 나갈 수 있도록 한일 간에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공 판결에 대해서도 "강제집행의 방식으로 현금화된다든지, 판결이 실현되는 방식은 한일 양국 간의 관계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런 단계가 되기 전에 양국 간에 외교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그 외교적 해법은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며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는 방법을 양국 정부가 합의하고, 한국 정부가 그 방안을 가지고 원고들을 최대한 설득해 내고,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차근차근 해결해 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온-오프라인 복합방식으로 진행된 신년기자회견에서 일본 과거사 관련 질문에 대해 "과거사 문제들도 사안별로 분리해서 서로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수출규제 문제, 강제징용 판결 문제들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양국이 여러 차원의 대화를 하고 있다. 그런 노력을 하는 중에 위안부 판결문제가 더해져서 솔직히 조금 곤혹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최근 법원의 위안부 배상 판결에 대해 곤혹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2015년도에 양국 정부 간에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가 있었다. 한국 정부는 그 합의가 양국정부 간의 공식적인 합의였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며 "그런 토대 위에서 이번 판결을 받은 피해자 할머니들도 동의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 나갈 수 있도록 한일 간에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공 판결에 대해서도 "강제집행의 방식으로 현금화된다든지, 판결이 실현되는 방식은 한일 양국 간의 관계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런 단계가 되기 전에 양국 간에 외교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그 외교적 해법은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며 "원고들이 동의할 수 있는 방법을 양국 정부가 합의하고, 한국 정부가 그 방안을 가지고 원고들을 최대한 설득해 내고,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차근차근 해결해 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