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경 "올겨울이 최대고비. 최대 1천명 발생할 수도"
"지난 11개월간 노력과 희생, 물거품 될 수도"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청장)은 30일 코로나19 신규 확진과 관련, "1∼2주 뒤 감염자는 많게는 700∼1천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날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지난주 감염 재생산지수는 1.43으로 분석됐다. 이는 '1명이 1.5명을 계속 감염시킨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1 이하로 유지되지 않는 한 유행의 크기가 계속 커지게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난주부터 수도권은 2단계로 격상됐고, 나머지 지역도 내일부터는 1.5단계로 강화되는 만큼 사람 간 접촉이 줄어들고 마스크 착용으로 감염을 차단하면 감염 재생산지수를 더 떨어뜨리고 감염자 수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 1월부터 11개월간 코로나19 대응을 해오면서 많은 위기를 겪어 왔지만 올겨울이 최대 고비라고 생각한다"면서 "춥고 건조한 동절기에 환경 여건은 더욱 나빠지고 지역사회에 잠복한 무증상 ·경증 감염자는 증가해 그 어느 때보다 전파 위험이 높은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국민들도 지쳐있고, 의료인과 역학조사관을 포함한 지자체 공무원들도 번아웃돼 있다"며 "현재 위기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면 지난 11개월간의 모든 노력과 희생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며 연말까지 모든 모임을 중단해줄 것을 당부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이날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지난주 감염 재생산지수는 1.43으로 분석됐다. 이는 '1명이 1.5명을 계속 감염시킨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1 이하로 유지되지 않는 한 유행의 크기가 계속 커지게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난주부터 수도권은 2단계로 격상됐고, 나머지 지역도 내일부터는 1.5단계로 강화되는 만큼 사람 간 접촉이 줄어들고 마스크 착용으로 감염을 차단하면 감염 재생산지수를 더 떨어뜨리고 감염자 수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 1월부터 11개월간 코로나19 대응을 해오면서 많은 위기를 겪어 왔지만 올겨울이 최대 고비라고 생각한다"면서 "춥고 건조한 동절기에 환경 여건은 더욱 나빠지고 지역사회에 잠복한 무증상 ·경증 감염자는 증가해 그 어느 때보다 전파 위험이 높은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국민들도 지쳐있고, 의료인과 역학조사관을 포함한 지자체 공무원들도 번아웃돼 있다"며 "현재 위기 상황을 극복하지 못하면 지난 11개월간의 모든 노력과 희생이 물거품이 될 수 있다"며 연말까지 모든 모임을 중단해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