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 "오거돈 성추행, '충동적 실수' 아닌 '계획적 범행' 가능성"
부산시 공무원 "오거돈 성문제, 내부에서 종종 제기돼왔다"
<부산일보>는 27일 "오 전 시장은 업무 겸 사적 공간으로도 활용되는 시장실로 피해자를 비밀리에 호출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시장실 내부에는 CCTV도 없을 뿐더러 다른 직원의 접근이 제한돼 오 전 시장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행위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부산일보>에 따르면, 업무적으로 시장실을 출입하는 직원은 간부급 이상으로 제한돼 있다. 주로 업무상 결재를 위해 본청 과장급(서기관·4급) 이상 간부급 직원이 출입한다.
시장실은 침실, 화장실, 원탁, 집무 책상 등이 마련돼 있어 업무 겸 시장의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과장급 이하 직원과의 회의나 면담은 주로 회의실, 영상회의실, 시장실 옆에 마련된 접견실에서 이뤄지는 것이 관례다.
오 전 시장이 피해자를 남들이 모르게 비밀리에 호출한 정황도 포착됐다. 오 전 시장은 성추행 당일 피해자를 ‘시장의 그림자’라 할 수 있는 수행비서를 통해 호출했다. 시장이 업무상 목적 등으로 직원을 호출할 경우 비서실 직원들이 담당한다. 시장실 바로 옆에 위치한 비서실에는 6명이 근무한다.
익명을 요청한 시청의 한 고위 공무원은 “오 전 시장의 성 관련 문제가 내부에서 종종 제기됐다. 해당인이 ‘시장’이기 때문에 말이 나와도 조직 특성상 쉬쉬하는 분위기가 컸다”며 “특히 오 전 시장이 사퇴 회견에서 밝힌 ‘사태 이후에야 강제추행임을 깨달았다’는 대목이 그의 왜곡된 성인식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예”라고 말했다.
특히 오 전 시장 측은 피해자 측과 성추행 사건에서는 전례가 거의 없는 공증이라는 법률적 절차를 밟았다. 오 전 시장은 사건 이후 정무라인뿐 아니라 기업을 운영하는 가족을 통해 사건 무마를 지속적으로 시도한 것으로 알려진다. 오 전 시장 측이 사건 무마와 합의를 집요하게 시도하자 피해자 측에서 ‘시장직 사퇴’를 확정하기 위해 공증을 요구했다는 것.
또 23일 오 전 시장이 사퇴 이전에 시정 공백을 막기 위한 준비를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사퇴 기자회견까지 정무라인 소수를 빼고는 시청 실·국장급 이상조차 그 사실을 알지 못했다. 오 전 시장이 사퇴하기 바로 직전까지도 ‘사퇴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믿은 것으로 해석된다.
다른 고위 공무원은 “오 전 시장이 사건 직후에도 외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각종 회의를 주도하는 등 시정 활동에 열의를 보였다. 다만 총선 바로 직전인 14일 연차를 냈고 15일 이후 출근 뒤 외부 활동을 자제했다”면서 “14일 이전에는 사건이 그대로 묻힐 것으로 판단했던 것 같고, 공증 이후 외부 활동을 자제하면서 합의를 계속 시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고 <부산>은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