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올해성장률 -1.5%...국가신용등급 유지"
"북한정권 붕괴할 경우 막대한 통일비용 감당해야 할 것"
국제신용평가사 S&P는 22일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5%로 또다시 낮췄다. 지난달 23일 -0.6%로 낮춘 데 이어 한달만에 또다시 하향조정한 것. 코로나19 사태후 네번째 하향조정이다.
그러나 ‘AA/A-1+’ 장/단기 원화 및 외화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고 등급전망도 안정적으로 매겼다.
S&P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 경제가 약 20년만에 처음으로 연간 기준 -1.5% 역성장 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실업률도 5.2%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S&P는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충격은 일시적이라고 판단하며, 2021년에는 억눌린 소비수요 반등과 정부의 부양책에 힘입어 GDP 성장률이 5% 수준으로 강하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에는 3.9%, 2013년에는 2.5%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한국의 수출경쟁력은 매우 높은 수준이며 지난 10년 동안 교역관련 산업이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 왔다고 판단한다"며 "장기적으로 한국의 대외 경쟁력과 견조한 GDP 성장률 지속은 인구의 평균연령 상승을 상쇄할 수 있는 생산성 개선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S&P는 그러면서도 "한국의 주요 신용등급 평가항목 중 가장 취약한 요소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우발채무"라며 "한국은 북한정권이 붕괴할 경우 막대한 통일 비용을 감당해야 할지도 모르는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 최소한 국가채무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국가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건강 이상설이 나돌고 있는 데 대한 우려 표명인 셈.
이밖에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가 통화정책 유연성을 제약할 수 있는 요소라고 판단한다"며 "하지만 감독당국은 지난 몇 년 동안 변동금리부 만기일시상환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고정금리부 분할상환 상품으로 전환토록 유도해 가계부채 관련 리스크를 다소 경감시켜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AA/A-1+’ 장/단기 원화 및 외화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고 등급전망도 안정적으로 매겼다.
S&P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 경제가 약 20년만에 처음으로 연간 기준 -1.5% 역성장 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실업률도 5.2%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S&P는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충격은 일시적이라고 판단하며, 2021년에는 억눌린 소비수요 반등과 정부의 부양책에 힘입어 GDP 성장률이 5% 수준으로 강하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에는 3.9%, 2013년에는 2.5%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한국의 수출경쟁력은 매우 높은 수준이며 지난 10년 동안 교역관련 산업이 더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 왔다고 판단한다"며 "장기적으로 한국의 대외 경쟁력과 견조한 GDP 성장률 지속은 인구의 평균연령 상승을 상쇄할 수 있는 생산성 개선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S&P는 그러면서도 "한국의 주요 신용등급 평가항목 중 가장 취약한 요소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우발채무"라며 "한국은 북한정권이 붕괴할 경우 막대한 통일 비용을 감당해야 할지도 모르는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 최소한 국가채무가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국가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건강 이상설이 나돌고 있는 데 대한 우려 표명인 셈.
이밖에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가 통화정책 유연성을 제약할 수 있는 요소라고 판단한다"며 "하지만 감독당국은 지난 몇 년 동안 변동금리부 만기일시상환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고정금리부 분할상환 상품으로 전환토록 유도해 가계부채 관련 리스크를 다소 경감시켜왔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