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분당 등 5곳 아파트값, 참여정권에 2배 올라
참여정권의 지방균형발전에도 수도권이 최대 수혜주
강남구 등 수도권 5개 지역 아파트값이 참여정권 이후 2배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참여정권의 지방균형발전 계획에도 불구하고 참여정권의 최대 수혜지역은 서울 등 수도권이 되었음을 보여주는 아이러니 지표다.
19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참여정부 출범 직전인 2003년 2월 21일부터 2007년 6월 19일까지 전국 아파트 평당 매매가를 시군구별로 조사한 결과 분당, 과천, 평촌, 용인, 강남구 등 5곳 아파트값이 2배 이상 올랐다.
참여정부 이후 아파트값이 2배 이상 오른 지역 중 분당이 117.41%로 상승폭이 가장 컸다. 2003년 2월 당시 평당 9백28만원 이었으나 현재는 2천18만원이다. 정자동 파크뷰와 동양파라곤, 미켈란쉐르빌 등 2003년~2004년 사이 입주한 주상복합 아파트가 시세 상승을 이끌고 2005년 판교신도시 분양 후폭풍이 컸기 때문이다.
과천이 상승률 110.71%를 기록했다. 2003년 2월 당시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평당 1천만원을 넘는 곳이었으며 현재는 평당 3천5백40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평촌도 판교 수혜지역으로 부각되며 범계동과 귀인동 40평형대 상승에 힘입어 7백42만원에서 1천5백48만원으로 108.55% 올랐다.
용인도 104.33%의 매매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참여정부 이전 평당가는 5백98만원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1천2백23만원이다. 죽전지구 일대 죽전동과 보정동과 동천동 중대형 평형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
서울에서는 강남구가 101.68%로 유일하게 2배 이상 올랐다. 1천7백7만원에서 3천4백43만원으로 뛰었다. 도곡렉슬과 같은 새 아파트 입주와 개포동 주공, 압구정동 구현대, 한양 등 재건축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외에도 일산(98.46%), 양천구(97.72%), 성남시(97.00%), 송파구(95.97%), 용산구(93.56%) 등 참여정부 이전보다 아파트값이 2배 가까이 올랐다.
19일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참여정부 출범 직전인 2003년 2월 21일부터 2007년 6월 19일까지 전국 아파트 평당 매매가를 시군구별로 조사한 결과 분당, 과천, 평촌, 용인, 강남구 등 5곳 아파트값이 2배 이상 올랐다.
참여정부 이후 아파트값이 2배 이상 오른 지역 중 분당이 117.41%로 상승폭이 가장 컸다. 2003년 2월 당시 평당 9백28만원 이었으나 현재는 2천18만원이다. 정자동 파크뷰와 동양파라곤, 미켈란쉐르빌 등 2003년~2004년 사이 입주한 주상복합 아파트가 시세 상승을 이끌고 2005년 판교신도시 분양 후폭풍이 컸기 때문이다.
과천이 상승률 110.71%를 기록했다. 2003년 2월 당시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평당 1천만원을 넘는 곳이었으며 현재는 평당 3천5백40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평촌도 판교 수혜지역으로 부각되며 범계동과 귀인동 40평형대 상승에 힘입어 7백42만원에서 1천5백48만원으로 108.55% 올랐다.
용인도 104.33%의 매매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참여정부 이전 평당가는 5백98만원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1천2백23만원이다. 죽전지구 일대 죽전동과 보정동과 동천동 중대형 평형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다.
서울에서는 강남구가 101.68%로 유일하게 2배 이상 올랐다. 1천7백7만원에서 3천4백43만원으로 뛰었다. 도곡렉슬과 같은 새 아파트 입주와 개포동 주공, 압구정동 구현대, 한양 등 재건축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외에도 일산(98.46%), 양천구(97.72%), 성남시(97.00%), 송파구(95.97%), 용산구(93.56%) 등 참여정부 이전보다 아파트값이 2배 가까이 올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