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한나라당, 'DJ 방북' 후폭풍 놓고 전전긍긍

남북정상회담 성사시 2007년 대선 영향 계산 분주

제18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북한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6월 방북'을 수용한 것과 관련, 한나라당이 DJ 방북이 몰고올 정치적 후폭풍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특히 DJ 방북이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간 제2차 남북정상회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게 보며, 이같은 결과가 2007년 대선에 미칠 영향까지도 계산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 'DJ 방북' 반대 못하면서도 경계

한나라당의 이방호 정책위의장은 25일 국회에서 가진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방북하면 의제가 무엇인지, 조건이 무엇인지, 또 시기도 문제가 된다"며 "개인자격이라고 하는데 자격문제도 있고, 이것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DJ 방북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이 정책위의장은 특히 "지금까지는 남북간 회담을 할 때 반드시 북측에서는 경제적 기대치를 충족하지 않으면 회담에 응하지 않았다"며 "지난번에 6.15회담을 했을 때도 우리가 북한에 5억불이라는 돈을 주고 북한에 남북정상회담을 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DJ가 방북할 때 과연 북한이 아무런 조건 없이 할 수 있겠는가. 지금까지의 경험을 봐서는 상당한 밀거래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밀거래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나라당의 이계진 대변인도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은 국민적 의혹과 오해 없이 투명하고 순수하게 추진돼야 한다"며 "민간인 자격인 만큼 정부가 너무 깊이 개입해 정치적, 정략적으로 이용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DJ방북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으면서도 공개리에 반대하지 못하는 것은 당초 한나라당은 김 전 대통령의 '4월 방북'이 거론됐을 때 지방선거를 앞둔 '시기'라는 문제를 놓고 반대의 뜻을 표명한 바 있고, 김 전대통령이 이를 수용해 방북시기를 늦췄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표는 지난 2월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이 선거를 앞두고 이뤄진다면 많은 사람들로부터 의심 받을 수 있는 문제"라고 했고, 이재오 원내대표도 "김 전 대통령이 방북을 하려면 6월도 있고 8월도 있는데 왜 하필 선거를 앞둔 4월에 갔다 와서 한 달 내내 TV와 신문을 통해 방북장면을 돌리려 하나"라며 "4월을 고집하는 것은 지방선거를 겨냥한 정치공작"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김 전대통령은 불필요한 오해를 사기 싫다며 방북시기를 6월로 늦췄다.

따라서 한나라당 입장에서는 이번 DJ 방북을 공개리에 반대하기 힘든 상황이 됐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DJ 방북이 이종석 통일부장관의 대북 접촉을 통해 성사됐다는 대목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한나라당 "DJ방북-남북정상회담-개헌으로 이어질 가능성"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노무현대통령이 정국 타개를 위해 김정일 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 적극적이라는 사실은 정치권의 공공연한 비밀"이라며 "DJ 방북도 이같은 노 대통령의 플랜의 일환이 아니냐는 게 우리 판단"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통일헌법을 명분으로 내세우며 개헌을 추진하려 할 지도 모른다"며 "상황이 이렇게 돌아갈 경우 내년 대선에 일대 혼란이 초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내선 대선에서의 승리를 위해선 호남표를 적대시할 수 없고, 같은 맥락에서 DJ 방북을 공개 반대할 수도 없는 입장이어서, 말도 못하고 속으로만 전전긍긍하는 양상이다.
이영섭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