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홍문종 현금재산 증가 수상쩍다"
"대선후 2년간 증가한 예금 8억중 2~3억 출처 불분명"
27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2012년 18대 대선 당시 새누리당 조직총괄본부장을 맡았던 홍문종 의원의 현금성 자산이 대선후인 2012년 3억원, 2013년 5억원 등 2년에 걸쳐 8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의원세비 등 공식 수입을 뺀 2억~3억원 가량은 출처가 불분명하다.
홍 의원의 재산신고 내역을 확인한 결과, 2012년 6~12월 홍 의원의 예금은 3억2천여만원이 늘었다가 그 가운데 2천500여만원이 줄었다. 의원 임기를 시작한지 7개월 만에 약 3억원이 순수하게 증가한 것.
홍 의원은 1억2천281만원의 정치후원금 계좌를 반영하고 의원세비(세전 8천47만원) 일부를 저축한 것이라고 소명하고 있으나, 이를 감안해도 나머지 1억여원의 출처는 계속해 의문이 남는다. 홍 의원은 당시 부친이 설립한 경민대 총장직에서 내려와 학교에서 별도의 급여를 받지 않았다.
더욱이 당시 홍 의원은 포천 아프리카예술박물관 구입 등으로 100억원이 넘는 빚을 져 연간 수억원에 달하는 이자도 부담해야 하는 처지였다.
홍 의원은 이듬해인 2013년에도 예금이 5억여원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정치후원금(1억2천967만원)과 그 해 6월 취임한 국기원 이사장 활동비(3천여만원), 1년치 세비(세전 1억3천796만원), 건물 매도금(70억원) 일부 등을 저축한 것이라고 설명했으나 이 소명도 명확하지가 않다.
홍 의원은 2013년 7월 자신 소유였던 의정부시 의정부동 신도아크라티움 5ㆍ6ㆍ7층 3개 층을 충남 아산에 본사를 둔 J사에 판 뒤 20억원은 채권으로 남겨두고 50억원만 받았다. 그는 이 돈으로 해당 건물에 대한 담보대출금(채권최고액 30억 원) 등 채무 37억여원을 변제하고 남은 돈을 예금에 반영시켰다고 했다.
홍 의원 설명대로라면 건물 매도금 가운데 남은 약 13억원은 예금증가나 채무감소로 반영돼 있어야 하지만, 재산신고 목록에는 이런 흐름이 전혀 기재돼 있지 않았다. 결국 홍 의원의 2013년 예금증가분(5억원)에서 문제의 건물매도금을 반영하지 않으면 출처가 불분명한 돈은 2억원에 달하고, 반영하면 되레 10억원 이상을 재산신고에서 누락한 것이 된다.
더욱 의심이 가는 것은 문제의 부동산을 사고파는 과정이다. 홍 의원은 2010년 12월 워크아웃 중이던 신도건설로부터 신도아크라티움 3개 층을 70억원에 사들였는데, 신도 측은 불과 1개월 전에 이를 20억원에 매입했다. 홍 의원이 무슨 이유에선지 한달 만에 매입가의 2.5배를 주고 산 것이다. 더구나 매입자금 70억원 중 담보대출금(채권최고액 30억 원)을 뺀 40여억원의 출처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런 이상한 거래는 당시 부도 위기에 몰린 신도건설이 같은 해 3월 같은 건물 3층 지분 80%(666㎡)와 4층(831㎡) 전부를 경민학원에 무상 증여한 지 9개월여 만에 벌어진 일이었다. 경민대의 한 교수는 “신도건설은 경민학원이 발주하는 공사를 여러 차례 수주한 곳”이라고 전했다.
<한국일보>는 증가한 예금의 출처와 건물 매도금 사용처 등을 묻기 위해 홍 의원에게 수 차례 전화를 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고 밝혔다. 홍 의원 측 관계자는 “의원님에게 이 문제를 직접 말씀 드렸는데 아무런 답변이 없다”고 말했다.
<한국일보>는 "지난 대선에서 조직을 관리했던 그가 늘어난 현금성 자산을 제대로 소명하지 못한다면 의심은 대선자금으로 갈 수밖에 없다"면서 "더구나 성완종 전 회장은 죽기 직전 홍 의원에게 대선 당시 2억원을 현금으로 전달했다고 밝힌 상태"라면서 의혹의 눈길을 보냈다.
보도후 홍문종 의원 이름이 포털 검색어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간의 바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어 홍 의원의 해명이 주목된다.
홍 의원측은 <한국일보> 보도와 관련한 본지의 확인 전화에 "홍 의원이 회의중이어서 언론 응대가 힘들다"며 "오늘 중으로 공식 해명자료를 낼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