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김무성 제동에 전략공천안 '반쪽 통과'

비주류 실력행사. 그러나 텃밭 물갈이 어려워졌다는 지적도...

새누리당 친박 주류가 25일 전략공천안을 사실상 부활하는 안을 관철시키려다가 김무성 의원 등 비주류의 제동에 조건부 전략공천안으로 후퇴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후 국회 도서관에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상향식 공천'을 원칙으로 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당초 새누리당은 황우여 대표 주도로 기초단체장은 물론 국회의원들까지 예외없이 경선을 통한 상향식 공천제를 하기로 했으나, 최경환 원내대표, 홍문종 사무총장 등 친박 주류에서 전략공천 필요성을 강력 제기하며 나흘만에 '없던 일'이 됐다. 특히 수정안에는 "공천 신청자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거나 신청자가 없는 지역에 한해 전략공천이 가능하다"고 명기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김무성 의원 등 비주류가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는 판단은 자의적일 수 있다"고 제동을 걸었고, 주류는 이에 밀려 전략 공천 가능 문구에 "여론조사 등을 참조한다"는 기준선을 추가했다.

이번 논란은 비주류의 의구심 때문에 빚어졌다. 비주류는 전략공천안이 사실상 주류쪽에서 공천 농간을 부릴 수 있는 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실제로 이명박 정권 초기 18대 총선때 친이계가 친박계를 학살하는 도구로 전략공천이 사용됐고, 19대 총선에서는 친박이 친이 일부 인사를 교체하는 카드로 활용된 바 있다.

그러나 전략공천 무력화가 당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영남권과 강남3구의 경우, 전략공천을 통해서만 물갈이가 가능해왔다. 그러나 전략공천안에 "여론조사를 참조한다"는 문구가 들어감으로써 인지도가 높은 현역 의원들에게 유리해진 게 사실이다.

이밖에 지역구 의원들이 여론조사 결과를 앞세워 전략공천 선정에 반발할 가능성도 커, 향후 공천 과정에 또다른 불씨가 됐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김동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2 0
    나는 댓통년이다..

    그래.. 누가 말리리.. 느들의.. 부정한 짓거리들을... ㅆㅂ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