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준 새정치연합 창당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이 23일 "당초 창당의 목적이 지방선거가 아니고 총선과 대선이었기 때문에 지방선거에서 큰 성과를 거두리라고 생각지는 않는다"고 토로했다.
윤여준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 이철희 두문정치전략연구소장이 벌인 정치토크쇼 <당신들보다>에서 새정치연합의 6.4지방선거 파괴력에 대해 "잠재적인 가능성은 많겠지만 지방선거를 계기로 파괴력을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방선거가 눈앞에 닥쳐와 피할 수는 없으니까 치르는 것"이라며 "그러나 국민에게 무엇을 하고자 하는 정당인지는 분명히 각인시킬 필요가 있고 그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이상돈 명예교수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안철수 의원이 당을 만든다고 하는데 제가 보기에는 지역에 근거가 없는 정당이기 때문에 의미있는 성공은 불가능할 것 같다"면서 "그것을 떠나 무분별하게 후보를 내서 박빙의 승부에서 판도를 바꿀 수는 있다고 본다"고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를 안겨줄 가능성을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지난 2000년 미국 대선에서 랠프 네이더가 멍청하게 나와서 플로리다에서 민주당 후보 앨 고어에게 갈 표를 잠식해 공화당 후보 조지 부시를 대통령으로 만들었다. 그 다음부터 랠프 네이더는 완전히 없어져버렸다”는 미국 예를 들어,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만 안겨줄 경우 안 의원의 정치생명에 치명타가 가해질 것으로 경고했다.
그는 더 나아가 “안 의원이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닮았다”며 “새누리당이 대선불복하냐 했더니 김 대표가 '아니다, 아니다' 했던 것처럼, 안 의원 또한 새누리당이 선거연대 하냐고 하니 '안한다, 안한다' 한다. 둘 다 새누리당 말에 놀아난 거다. 제가 볼 때는 한심하다”고 힐난했다.
이철희 소장도 안 의원에 대해 “걱정이 많다”며 “지난해 4월 보궐선거로 통해 안 의원이 등장한 이후 '안철수의 아젠다'를 잘 모르겠다. 왜 정치를 하는지, 왜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지, 왜 새정치를 내걸었는지 강렬하게 와 닿았으면 좋겠는데, 지금까지 봐서는 시대적 과제를 잘 감당하고 있는 것 같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더 나아가 “박근혜 대통령과 안 의원이 비슷한 점이 있는 원칙을 지나치게 고수한다는 것"이라며 "원칙을 종교적 교조 지키듯 하는 것은 정치인의 자세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이에 대해 “대선이 3년 남았는데 (안철수) 본인이 대한민국을 충분히 이끌어나갈 역량을 보여줘야 한다"며 "지금은 이미지 차원이다. 무거운 과제를 안고 있다”고 부분적으로 공감을 표시했다.
한편 이들은 취임 1주년을 맞이하는 박 대통령에 대해 한 목소리로 융단폭격을 퍼부었다.
윤 위원장은 "상대적으로 잘한 분야를 꼽을 수는 있겠지만 절대적으로는 잘한 분야가 생각이 나지 않는다"며 "대한민국이 민주주의가 성숙한 사회로 가야 하는 길목에 있는데 거꾸로 권위주의 시대처럼 운영하려는 것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더 나아가 "괜찮은 사람은 수첩에 없다"며 박 대통령의 인사 실정을 꼬집었다.
이 소장도 "냉정하게 현재 수준으로 따지면 선뜻 잘한 것을 찾기 어렵다"며 "이제는 박 대통령에게 소통을 얘기하는 게 무색할 정도다, 기대 안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가세했다.
이 명예교수는 "이 정권이 공무원이 행복한 나라가 되는 것은 아닌지 생각된다. 각료를 대부분 관료나 그 아류에 있던 학자를 쓰는데 변화와 개혁을 이끌 사람이 없다"며 "인사 얘기가 많은데 누가 보더라도 75세 비서실장은 동서고금에는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인제의 배반이 없었으면 김대중의 성공이 없었고, 정몽준의 배반이 없었으면 노무현의 승리가 없었다. 아이들도 아는 역사를 당신들이 모른척 하나? 안철수의 독자 출마는 새누리의 성공을 약속 한다. 김한길의 우향우는 새누리 정치의 명분을 살린다. 결국은 상대 세력을 위한 이적질인 것이다.
이제 안철수 말장난 김한길 무능을 충분히 이야기 했다. 더이상 논하지 말고 버리자. 새대안을 모색하자. 얼마남지 않은 시간이 아깝다. 안과 김과 박에게 철퇴를 가할 대안을 찾자. 안철수와 김한길을 쫓아낸 다음 연합을 만들던지, 제3당을 지지하던지, 신당을 만들던지 현상황을 심판할 대안을 찾읍시다.
안철수 현상은 오히려 나라를 망쳐놓았다. 그의 정치권등장은 이명박정권 심판론을 잠재웠으며, 그로 인한 부정정권의 기틀을 마련했다. 더군다나 그 후 새정치는 마치 새누리당이 이름만 바꿨듯이 여론과 소통하지않아 사고의 유연성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독재자들의 공통이며 정치가 더 진부해짐을 의미한다.
흥행실패에 대한 출구전략인지 표정관리인지 모르겠지만 윤여준말을 ㅋ , 정리하면 , 안철수 이름걸고 지방선거는 크게 기대안한다 안철수 이름걸고 지방선거는 반드시 나와 다자구도로 갈 것이다 , ㅆㅂ안철수가 이긴다 기대는 크게 안하지만 결과적으로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는 안겨주겠다는거 밖에 더 되냐ㅋㅋㅋㅋ
학자나 평론가 이들은 대한민국에 망국병을 잘 모른다. 일반 서민으로 살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제발 제대로 진단해라 특권과 반칙이 얼마나 난무하는지 모른다 새정치란 바로 반칙과 특권을 줄이는데서 부터 시작된다 내가 보기에는 안철수 의원은 충분히 그걸 추진할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