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당선인이 24일 총리 후보로 그동안 거의 후보로 거론되지 않던 김용준 인수위원장을 지명하자 정치권에서 '의외의 인사'라는 반응이 줄을 잇고 있다.
새누리당의 한 재선 의원은 "발표 기자회견을 보면서 박 당선인께서 혹시 잘못 말씀하신 게 아닌가 하고 의심했다"며 "김 위원장이 그동안 당선인이 말해온 책임총리로 적임자인지 잘 모르겠다"고 당혹감을 나타냈다.
또다른 의원도 "무난하긴 하지만 초대 총리는 새 정권이 나아갈 방향을 보여주는 상징인데 무난하기만 해서는 안되는 것 아닌가? 국민들이 보기에 역동성이나 감동이 있을지 의문"이라며 "무난한 인사는 주로 임기말에나 하는 건데 마치 임기말 인사를 보는 것 같아 조금 헷갈린다"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의 박용진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김용준 지명자는 대법관과 헌법재판소장을 역임한 훌륭한 법조인이자 장애를 극복하고 다양한 사회활동을 한 사회통합적 인물"이라면서도, "선거 과정에서 박근혜 당선인이 대통령 폐해 극복을 위해 약속한 책임총리제에 걸맞는 능력과 자질을 보여줬는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김 지명자는 지금까지 소통과는 거리가 먼 행보를 보여주었다. 언론의 질문에 자신은 모르는 일이라고 회피하거나, 묵묵부답이었으며 본인의 의중이나 판단보다 박근혜 당선인의 의중을 그대로 전달하는 수준이었다"며 "또한 법관 시절 소신 있는 판결로 유명했지만, 이번 인수위원장 임명 후에 보여준 태도는 그런 평가에 회의를 품게 한다"고 꼬집었다.
이처럼 정치권에서는 박 당선인이 '책임총리'보다는 '관리형 총리'를 택한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박 당선인은 인수위 출범 직후에도 수차례 인수위에 시끄럽지 않은 행보를 당부해왔고, 김 위원장이 그런 박 당선인 지시에 가장 충실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는 언론 앞에서도 민감한 현안에 대해선 침묵을 지키며 박 당선인의 '조용한 인수위'에 틀을 맞췄다. 또한 '철통 보안'을 누누이 강조해 인수위 업무나 인사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원천봉쇄했다. 이같은 김 위원장 행보에 박 당선인이 흡족함을 나타낸 것이 아니냐는 해석인 것.
하지만 과연 책임총리로 적합한지는 의문이라는 게 지배적 관측이다. 박 당선인이 대선때 내세운 복지, 경제민주화, 일자리 등을 김 후보자가 주도할 수 있을지, 그에 걸맞는 각료 후보들을 박 당선인에게 추천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것. 한 새누리당 의원은 "이번 총리 인사를 보면 책임총리 보다는 대통령 보좌에 역점을 둔 총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같은 맥락에서 경제부총리나 미래창조과학부 등 거대 핵심부처에 박 당선인 측근들이 전진 배치되면서 박 당선인의 '친정체제'가 작동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낳고 있다. 벌써부터 몇몇 실세 의원 등이 정부 조직 개편 등에 깊숙이 관여하면서 이들이 핵심부처 수장이 되거나 그들의 인맥이 수장이 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정·관가에는 나돌고 있다. 그럴 경우 김 후보자는 더욱 관리형 총리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
또다른 일각에서는 윤창중 파동, 이동흡 파동 등 잇따른 인사 파동에 놀란 박 당선인이 인사청문회 통과를 의식해 별다른 개인적 흠결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무난한 김 후보자를 선택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야권 일각에서는 김 후보자가 대법관 퇴임후 고액을 받는 '로펌' 생활을 오래했다는 점에서 흠결 여부를 속단하기란 아직 이르다고 말하기도 한다.
한 야권 인사는 "박정희 대통령때 육사와 법대 출신들을 많이 기용해 '육법대(陸法大)'라는 말이 회자됐었다"며 "박 당선인이 아버지 인사 방식대로 법대 출신을 선호하는 게 아닌가 싶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그는 "법대 출신은 탁월한 개인적 역량이 장점이나, 엘리트 의식에 젖어 있기 쉽고 국민 실생활에 어둡거나 복잡한 현실을 조정하는 데 취약할 수 있다"고 한계점을 지적하면서 "법치를 준수하겠다고 밝힌 김 후보자가 과거정권 비리나 새 정권에서도 생겨날 수 있는 비리에 대해 법대로 엄격히 대응해주기를 기대할 뿐"이라고 주문했다.
인수위원장 초반이던 때. 인수위에 있던 사람들이 행정부로 들어간다는 생각 버리라!고 했던 것이 바로 김용준 인수위원장이다. 한데, 김용준 총리 지명자가 오늘 총리지명을 수락하는 연설에서 '법과 질서가 지배하는 사회로 가야한다'는 말을 했다. 그대는 유권자들의 '수개표 요구'에 대하여 어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 15 % 보 너 스 ♣. 미녀 딜.러와 실전 생중계 ㅋL.지노(100 %리얼) ♣. ㅂL카라, 룰.렛, 블.랙.잭, ㅂL둑이,식.보 등. ♣. 무료 가입만으로 40만원 드립니다. ♣. 주말, 휴일 보너스 머.니 증가. ♣. 간단한 무료 가입,둘러보기 환영 ★★→W W W . G M A 8 2 . C O M←★★
구시대 인물들의 재탕 삼탕 울궈먹는 정치 스토리? 이런 걸 5년 내내 구경해야 한단 말인가? 눈감고 귀막고 살아야 할듯... 어찌 하나님은 이런 암흑 비슷할 시대를 허락하시려 할까.. 에혀~, 눌린자가 비명을, 없는 자가 횡액을 .. 기득자의 회심의 미소를 하나님이 사랑한단 말인가? 대체, 하나님의 공의의 손은 어디 있단 말인가?
멋있는 포석이군 바둑을 두는데 포석이 아주 훌륭해? . 왜 대법관, 헌재소장 지낸 김용준을 총리 후보자로? . 그게 바로 포석이야 법조계에 발이 넓은 그런 총리? . 책임 총리가 아닌 관리형 총리에다 사법적인 인맥이 있는 그래서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 왜 가장 큰 현안이 전자개표 관련 사법부 판결이 박근혜 정권을 흔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