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교과서포럼 “4.19유족회에 사법책임 묻겠다”

“학문의 자유 방해이자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한국판 새역모’ 사건으로 불리며 역사 왜곡 파문을 일으킨 ‘교과서 포럼’(공동대표 박효종)이 지난 달 30일 심포지엄을 방해한 4ㆍ19유족회 등 관련 단체에 사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아직 자신의 행위에 대한 성찰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심포지엄 폭력사태,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도전"

‘교과서 포럼’은 4일 오전 ‘폭력행위에 의한 학술 심포지엄 무산 사태(2006.11.30) 에 대한 교과서포럼의 입장’이라는 공식 성명을 통해 관련자 처벌 및 피해보상 청구를 공식 제기했다.

‘교과서포럼’은 성명을 통해 “이번 사태의 핵심적 본질은 순수 학술행사에 대해 가해진 불법적, 폭력적 방해 행위로서 결코 이해할 수도, 납득할 수도, 용서할 수도 없는 일”이라며 “ 이는 학문 및 사상의 자유에 대한 엄중한 방해이자 우리 사회가 근간으로 삼고 있는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고 주장했다.

‘교과서 포럼’은 이에 “일차적으로 해당 단체에 대해 응분의 사과 및 피해 보상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동시에 ‘교과서포럼’은 이번의 폭력사태를 조사하여 응분의 사법적 책임을 물을 것을 치안당국에 요구하는 바”라고 밝혔다.

‘교과서 포럼’은 또 “대낮에 대학구내에서 열린 순수 학술행사가 조직화된 폭력에 의해 무참히 좌절될 정도로 위험 수위에 오른 우리 사회의 반(反)지성적 경향과 반(反)이성적 추세에 대해 이참에 사회 각계각층, 특히 지식인 사회가 충분한 관심과 경계를 기울여 줄 것을 널리 호소하는 바”라며 “이는 생각과 뜻의 차이를 넘어 우리나라 지식인 사회의 존립 자체에 관련된 매우 중대한 사안이라고 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소위 '한국판 새역모' 파문을 일으킨 '교과서 포럼'(공동대표 박효종ㆍ사진)이 파문 직후 처음으로 공식 반응을 나타냈다. '교과서 포럼'은 지난 달 30일 세미나 폭력사태를 일으킨 4.19유족회 등 관련 단체에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김동현 기자


교과서 포럼 "역편향? 사실과 달라", 자유주의연대 사과에도 반발

그러면서도 ‘교과서포럼’은 “출범당시부터 헌법적 가치와 헌법정신을 존중해왔다. 따라서 현행헌법전문에 나오는바 ‘불의에 항거한 4ㆍ19민주이념’에 대하여 항상 존중해왔고, 이러한 입장은 앞으로도 계속 견지해 나갈 것임을 이번 기회에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특히 ‘교과서 포럼’은 “이번 심포지엄 행사에서 사용된 ‘발표 자료집’ 일부 내용을 문제 삼아 소위 ‘교과서포럼’의 이념적 ‘역(逆)편향’을 주장하는 것은 사실과도 다르고 사리에도 맞지 않다”며 자매 단체인 ‘자유주의연대’가 대국민 사과 입장을 밝힌 내용을 정면 반박했다.

‘교과서 포럼’은 이어 “자료집에도 충분히 적시되었고 행사장에서도 거듭 안내가 되었거니와, 그것은 어디까지나 토론을 유도하고 비판을 수렴하려는 목적을 위한 시안(試案) 내지 초안(草案)에 불과하였다”며 “그런 만큼 발표 자료집의 내용은‘교과서포럼’의 통일된 견해도 아니고 최종적 입장도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교과서 포럼’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날의 발표 자료집을 ‘교과서포럼’의 공식적 결론인 것처럼 ‘속단’하거나 ‘단정’한 일은 ‘교과서포럼’의 본의와 전혀 다른 것으로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초벌구이’ 발표자료를 놓고 토론과 비판을 거친 다음 최종 결과물을 생산하는 것은 학계의 오랜 전통이자 당연한 관행”이라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포럼’은 “향후 치열한 내부토론과 외부비판을 수차례 거친 다음, 누구에게도 당당하고 떳떳한 한국 근현대사 대안교과서를 출간하게 될 것이다. 사관(史觀)의 설정, 개념의 규정, 용어의 선택 등, 내용에 관련한 제반 모든 사항은 충분한 토론과 비판절차를 거쳐 최종 출판물을 통해 답하고 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