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색 위기의 양산 통도사 벽화를 구하자”
한.일.대만 3개국 통도사 견보탑품변상도 공동 복원 나서
최근 일본의 독도 도발 및 역사교과서 왜곡 등으로 동북아 역내국가들의 대 일본 갈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이 일본.대만과 공동으로 2백70년 된 한국 통도사 벽화의 복원에 나설 예정이다.
과거 한일 양국이 일부 유물 복원 시 상호 협력한 적은 있으나 아시아의 인근 3개국이 문화유산 복원 과정에서 공동으로 대규모 복원 및 수리 작업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월부터 조선 영조 때 제작된 벽화 복원 및 수리작업 개시
8일 일본 <요미우리(読売)신문>에 따르면, 이들 3개국의 문화재 복원전문가들은 한국의 대표적인 고찰로 1천3백년 전인 646년에 건축된 경남 양산 통도사의 벽화 복원를 목표로 보존수리 및 연구를 위한 프로젝트에 나서게 된다.
이번 합동작업에는 일본 나라(奈良)의 강고지문화재연구소(元興寺文化財研究所) 연구인력 등을 포함, 일본 교토예술대학과 한국의 동국대학, 대만의 퉁하이대학의 불교회화 전문가 25명으로 구성된 합동 팀들이 참여해 연구 및 복원에 나서게 된다.
국보 제 2백90호인 통도사는 신라시대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율사가 지은 절로 법보(法寶) 해인사, 승보(僧寶) 송광사와 함께 불보(佛寶)로 삼보사찰(三寶寺刹)로 꼽히는 명찰이다.
통도사는 승려가 되려는 출가자들이 모두 금강계단에서 득도하거나 모든 법을 깨달아 일체중생을 제도한다는 뜻, 또는 산의 형세가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한다는 뜻에서 비롯됐으며, 국장생석표(보물 제74호)·은입사동제향로(보물 제334호)·봉발탑(보물 제471호) 등 중요문화재가 다수 소장돼 있다.
이번에 복원에 나서게 되는 벽화는 영조 10년(1734) 당시 그려진 벽화로 그 중 법화경(法華經)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는 국내에서 유일한 것으로 기교가 특이하고 우수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높이 4m, 폭 2.3m 크기의 이 벽화는 부처, 보살과 탑 등이 있는 화엄 세계를 묘사한 벽화로 한국에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벽화로는 유일하다.
이 벽화는 통도사 영산전 내에 1775년 작품으로 부처의 일생을 담은 팔상도와 함께 귀중한 당시 불교회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불교벽화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적인 불교벽화 유산. 색 바래고 점토 갈라져 복원 시급
그러나 이 벽화는 최근 채색이 바래고 있는 데다 10cm 두께로 칠해진 점토가 갈라지고 부스러지는 상황이어서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특히 강고지 문화유산연구소를 포함한 연구진들은 1734년 제작된 벽화의 조각 및 구성요소들을 세밀하게 분석할 예정이다.
강고지 문화유산연구소는 지난 2년 전 다른 복원 분석작업을 위해 통도사를 방문했다가 벽화가 퇴색하고 있는 상황을 발견하고 보전작업을 추진해왔으며, 이번 작업이 통도사 벽화를 복원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벽화를 보전하는 다양한 기법과 지식을 젊은 연구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기업의 후원을 받는 이번 복원작업에서는 연구원들이 점토의 상태를 강화시켜 벽화로부터 떨어져 나오지 않도록 접착제를 사용하는 한편 복원작업의 일환으로 벽화의 디자인 및 각 조각들의 상태를 전문가들이 분석하게 된다.
과거 한일 양국이 일부 유물 복원 시 상호 협력한 적은 있으나 아시아의 인근 3개국이 문화유산 복원 과정에서 공동으로 대규모 복원 및 수리 작업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월부터 조선 영조 때 제작된 벽화 복원 및 수리작업 개시
8일 일본 <요미우리(読売)신문>에 따르면, 이들 3개국의 문화재 복원전문가들은 한국의 대표적인 고찰로 1천3백년 전인 646년에 건축된 경남 양산 통도사의 벽화 복원를 목표로 보존수리 및 연구를 위한 프로젝트에 나서게 된다.
이번 합동작업에는 일본 나라(奈良)의 강고지문화재연구소(元興寺文化財研究所) 연구인력 등을 포함, 일본 교토예술대학과 한국의 동국대학, 대만의 퉁하이대학의 불교회화 전문가 25명으로 구성된 합동 팀들이 참여해 연구 및 복원에 나서게 된다.
국보 제 2백90호인 통도사는 신라시대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율사가 지은 절로 법보(法寶) 해인사, 승보(僧寶) 송광사와 함께 불보(佛寶)로 삼보사찰(三寶寺刹)로 꼽히는 명찰이다.
통도사는 승려가 되려는 출가자들이 모두 금강계단에서 득도하거나 모든 법을 깨달아 일체중생을 제도한다는 뜻, 또는 산의 형세가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한다는 뜻에서 비롯됐으며, 국장생석표(보물 제74호)·은입사동제향로(보물 제334호)·봉발탑(보물 제471호) 등 중요문화재가 다수 소장돼 있다.
이번에 복원에 나서게 되는 벽화는 영조 10년(1734) 당시 그려진 벽화로 그 중 법화경(法華經) 견보탑품변상도(見寶塔品變相圖)는 국내에서 유일한 것으로 기교가 특이하고 우수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높이 4m, 폭 2.3m 크기의 이 벽화는 부처, 보살과 탑 등이 있는 화엄 세계를 묘사한 벽화로 한국에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벽화로는 유일하다.
이 벽화는 통도사 영산전 내에 1775년 작품으로 부처의 일생을 담은 팔상도와 함께 귀중한 당시 불교회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불교벽화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적인 불교벽화 유산. 색 바래고 점토 갈라져 복원 시급
그러나 이 벽화는 최근 채색이 바래고 있는 데다 10cm 두께로 칠해진 점토가 갈라지고 부스러지는 상황이어서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특히 강고지 문화유산연구소를 포함한 연구진들은 1734년 제작된 벽화의 조각 및 구성요소들을 세밀하게 분석할 예정이다.
강고지 문화유산연구소는 지난 2년 전 다른 복원 분석작업을 위해 통도사를 방문했다가 벽화가 퇴색하고 있는 상황을 발견하고 보전작업을 추진해왔으며, 이번 작업이 통도사 벽화를 복원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벽화를 보전하는 다양한 기법과 지식을 젊은 연구자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기업의 후원을 받는 이번 복원작업에서는 연구원들이 점토의 상태를 강화시켜 벽화로부터 떨어져 나오지 않도록 접착제를 사용하는 한편 복원작업의 일환으로 벽화의 디자인 및 각 조각들의 상태를 전문가들이 분석하게 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