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영 한국교회총연합회 공동대표 회장(예장 통합 총회장, 부산 백양로교회)은 27일 문재인 대통령 앞에서 "정부가 교회나 사찰, 성당 같은 종교단체를 영업장이나 사업장 취급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태영 회장은 이날 문 대통령이 기독교 지도자 16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간담회에서 기독교계 대표로 나서 "교회 예배자 중에 감염자가 많이 나와 죄송하게 생각한다"면서도 작심한듯 이같이 말했다.
김 회장은 특히 문 대통령의 '어떤 종교적 자유도, 집회의 자유도, 표현의 자유도 국민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면서까지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최근 수석보좌관회의 발언을 거론한 뒤, "해당 발언은 물론 대통령의 고심이 담긴 것이자 종교단체의 협조를 구하는 데 방점이 있다고 본다"면서도 "종교의 자유를 너무 쉽게 공권력으로 제한할 수 있고, (예배) 중단을 명령할 수 있다는 뜻으로 들려 크게 놀랐다"고 반박했다.
이어 "신앙을 생명같이 여기는 이들에게는 종교의 자유는 목숨과 바꿀 수 없는 가치"라며 "대통령이 기독교의 특성을 이해했으면 한다. 한국 교회는 피라미드 구조나 중앙집권적 구조가 아니라 지향점이 다른 여러 교단이 있다. 연합회나 총회에서 지시한다고 해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물론 교회는 정부의 방역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면서도 "코로나가 한두 주, 한두 달 정도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볼 때 대책이 없이 교회 문을 닫고 예배를 취소할 수 없다는 것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체 교회를 막는 지금 형식은 오래가지 못한다. 정부도 이 방식은 부담이 될 것이고, 교회도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특히 농어촌 교회들에서는 온라인 방식의 비대면 예배가 이뤄지기 어렵다. 개척교회와 농어촌 교회가 70% 넘는 현실을 감안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 회장은 그러면서 대안으로 "정부와 교회의 협력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며 “기독교계와 중대본, 지자체가 협의 기구를 만들고 방역을 잘 하는 교회는 차별을 해 방역인증마크를 주는 제도를 도입하자. 인증받은 교회는 방역 수치에 따라 현장 예배를 드리고, 수치를 어겨 확산이 되면 분명한 책임을 묻고, 몇몇 교회에서 확산되면 지자체장이 엄격한 원칙을 가지고 제지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교회신도에게 헌금하라고 교회로 모이라는 데 그게 영업장이 아니면 어디냐 신을 팔아 돈을 버는 목사들이 장사 기술은 뛰어나지 중세 신부들은 천당 티켙을 팔아 돈을 벌었지 그래 기독교 목사제도가 탄생했는데 대한민국에는 신 팔아 교회 짓고 봉급, 연금 받는 목사가 득시글 거리니 다음에 뭐가 나오려나 코로나가 터지니 교회 목사들의 실체가 드러나네
이제와서 보니 이만희 교주는 한기총 목사들 보다 훨씬 양심적이다. 국민들에게 사과하고 교인들에게 검사받도록 하고 혈장 공여해서 치료제에 보태고 하는 것 보니 한기총 목사들과는 질적으로 위에 있다. 한기총이 신천지 따라 가려면 1000년은 기다려야 할 것 같다. 이만희씨 미안합니다.
종교의 자유? 중요한 헌법적 가치이다 그러나 아무리 종교의 자유라 하더라도 그 종교행위로 인해 국민들에게 전염병을 전염시킬 자유는 없다 그리고 개신교 교회는 사업장 같아 보인다 대면예배를 안하면 당장 헌금이 줄어드니 가족과 생활을 유지해야 하는 목사 입장에서는 힘들겠지만 지금 코로나19 상황하에서 모든 귝민이 다 어렵다 서로 서로 고통분담 하면서 이겨내야지
재벌의 영리병원이될 3차병원에 가는경우가 많기때문에 제자들 핑계대고 재벌영리병원사업에 방해되는 공공의료 확대(=의대정원증가)를 반대한다고 생각한다.. 결국 집단 이기주의 때문.. 마치 사법부의 유명법조인들이 재벌을 변호해주는 로펌에 가서 수십-수백억 인센티브를 받는 경우와 마찬가지다..
재벌수백조유보금은 명바기고환율정책과 낮은법인세혜택 으로 만들어진것인데 중국경제발전영향과 스마트폰이 더이상 시장을 확장 못하고 새로운기술이 나와도 결국 현재의 스마트폰 시장의일부를 나누는셈이되어 결국 제살깎아먹는 형국이 되버렸다. 투자할데를 잃어버린상황에서 저임금에 쉬운해고정책과 재벌의료영리화가 유일한 이윤창출수단이 된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