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누리과정 미편성' 7개 교육청에 보복 예산점검
30일 서울시교육청 시작, 남경필의 대화 제안도 일축
정부가 30일 누리과정 예산 편성을 거부한 서울시교육청 등 7개 교육청을 상대로 재정 점검에 착수, 본격적인 보복 조치에 돌입했음을 보여주었다.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29일 ‘당 소속 광역의회 의장단 정책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결정됐다고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김무성 대표, 신성범 교문정조위원장, 송언석 기획재정부 2차관, 이영 교육부 차관 등이 참석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교육청이 내일부터 각 시도별 교육감과 예산과정을 불러 예산편성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을 하기로 했다"며 "순차적으로 조사를 진행해 늦어도 내년 1월초까지는 관련 교육청에 필요한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중 7곳은 내년도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 상태다. 세종· 강원·전북은 유치원 예산만 편성돼 있고, 서울·경기·광주·전남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예산 모두 편성하지 않았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와 관련, “보육대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교육부의 요구 사항”이라며 “기획재정부와 교육부, 새누리당이 내년부터 이런 대란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하겠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말해 보복 조치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시도 교육청에서 6300억원 정도는 바로 누리과정 예산으로 편성할 수 있다”며 “교육부와 지방교육청 간 차이가 나는 지방전입금의 경우 내년 5~6월즘 윤곽이 들어난다. 약 11조7천억원이 들어올 것으로 확신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새누리당은 남경필 경기지사가 제안한 ‘공개 토론회’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여러 명이 모여 토론을 하면 결국 갑론을박 밖에 안된다”며 “집단 토론보다 교육부에서 일대일로 해당 교육청을 정밀 점검한 다음 향후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 좋다"고 전했다.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29일 ‘당 소속 광역의회 의장단 정책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결정됐다고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해 김무성 대표, 신성범 교문정조위원장, 송언석 기획재정부 2차관, 이영 교육부 차관 등이 참석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교육청이 내일부터 각 시도별 교육감과 예산과정을 불러 예산편성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을 하기로 했다"며 "순차적으로 조사를 진행해 늦어도 내년 1월초까지는 관련 교육청에 필요한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중 7곳은 내년도 누리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 상태다. 세종· 강원·전북은 유치원 예산만 편성돼 있고, 서울·경기·광주·전남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예산 모두 편성하지 않았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와 관련, “보육대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교육부의 요구 사항”이라며 “기획재정부와 교육부, 새누리당이 내년부터 이런 대란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진행하겠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말해 보복 조치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시도 교육청에서 6300억원 정도는 바로 누리과정 예산으로 편성할 수 있다”며 “교육부와 지방교육청 간 차이가 나는 지방전입금의 경우 내년 5~6월즘 윤곽이 들어난다. 약 11조7천억원이 들어올 것으로 확신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새누리당은 남경필 경기지사가 제안한 ‘공개 토론회’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여러 명이 모여 토론을 하면 결국 갑론을박 밖에 안된다”며 “집단 토론보다 교육부에서 일대일로 해당 교육청을 정밀 점검한 다음 향후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 좋다"고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