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세값 큰 폭 상승, ‘전세불안’ 심화
서울 용산, 경기 용인 등 억대 상승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분양가 아파트의 미분양 사태가 속출하는 등 부동산 거품이 붕괴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세값은 큰 폭으로 오르고 있어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시장의 불안이 확산되고 있다.
수도권 전세값, 3개월새 큰 폭 상승
19일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해 11.15 부동산대책 이후 올해 2월 9일까지 수도권 전세값은 평균 2.30%가 상승했다. 이는 2005년~2006년 같은 기간 조사된 수도권 전세값 변동률 1.68%보다 0.5% 이상 높은 수치.
가장 전세값의 오름폭이 심한 곳은 인천으로 무려 평균 3.74%가 상승했다. 특히 인천 연수구의 송고금호어울림 55평형 전세값은 11.15대책 발표 당시 평균 2억2천5백만원선이었지만 2월 초 3억2천5백만원으로 1억원이 올랐다.
경기도에서는 안산(11.57%), 의왕(4.64%), 의정부(4.63%) 순으로 전셋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특히, 안산은 사동, 성포동, 선부동, 원곡동, 고잔동 등의 전세값 상승률은 10% 이상으로 폭등했다.
평균 1.75%의 상승률을 기록한 서울에서는 금천구(3.98%), 성북구(3.34%), 중구(3.25%) 순으로 전셋값 상승이 컸으며, 신도시는 평촌(3.18%), 중동(3.07%), 일산(2.20%) 등에서 신도시 평균 상승률(1.65%)을 웃돌았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50평형대 이상 대형 평형을 중심으로 전세값 상승을 주도했다. 용산구 한강로 3가 대우트럼프월드3차 57평형은 11월 중순 4억3천5백만원에서 무려 2억원이 오른 6억3천5배만원에 전세가가 형성됐다.
용산 대우트럼프 전세값 2억, 용인 죽전 자이 1억3천만원 급등
버블세븐 지역인 용인시 죽전의 자이2차 59평형은 전세값이 1억3천만원에서 현재 2억8천5백만원까지 올랐으며 안산시 사동 금강1차 54평형도 전세값이 1억원 오른 2억6천5백만원에 실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반면 11.15 대책 이후 소강상태에 접어든 수도권 아파트의 고분양가 행진은 3개월째 주춤하며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닥터아파트>에 띠르면 2006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수도권에 공급된 아파트의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평균 1천4백만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하던 분양가는 2월 현재 평당 분양가가 1천만원 밑으로 떨어졌다.
반면 지난해 11월 1천만원을 넘지 못했던 수도권 주상복합 아파트의 평당 분양가는 2월 현재 2천6백만원을 넘어서는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남산 플래티넘, 리더스뷰 남산, 서초아트자이 등 평당 3천만원대를 넘어선 고분양가 주상복합아파트들이 일제히 분양에 실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아파트값 상승을 부추겼던 고분양가가 주춤하는데도 불구하고 전세값이 큰 폭으로 폭등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시장과 시민사회는 제각각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닥터아파트>는 전세값 급등의 원인으로 수요에 비해 전세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산 정책 관련 입법이 지지부진, 집값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청약가점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로 인한 전세세입자들의 기대심리가 전세계약 기간 연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
이영호 리서치 팀장은 “현재 아파트 시장은 매매보다는 전세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있는데다 지난 해 무리한 매수 수요 때문에 전세 물건이 부족해 전셋값 상승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실련 "정부.국회 입법 미루는 사이 전월세 세입자 피해만 늘어"
그러나 상대적으로 재건축이 이뤄진 경기 의왕, 과천의 경우 대규모 이주수요 발생이 전세값 폭등의 주요 원인이 됐지만 마땅히 갈 곳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 의왕시는 1천 가구가 넘는 대우사원 아파트에서 이주수요가 발생하면서 전세값 상승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윤순철 경제정의실천연합 시민감시국장은 “정치권에서 입법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주택 소유자와 실수요자 모두 눈치를 보는 사이 전세 세입자들만 죽어나가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윤 국장은 특히 “정부가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마저 규제하는 상황에서 현재의 거품을 큰 폭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입법안들을 외면한다면 3~4월 이사철에 많은 세입자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국장은 "어차피 지금의 분양가 하락이나 전세값 상승은 시장이 정부와 국회 입법 논의를 지켜보면서 조정국면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라며 "입법을 통한 정책안정 없이는 부동산 시장의 불안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수도권 전세값, 3개월새 큰 폭 상승
19일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해 11.15 부동산대책 이후 올해 2월 9일까지 수도권 전세값은 평균 2.30%가 상승했다. 이는 2005년~2006년 같은 기간 조사된 수도권 전세값 변동률 1.68%보다 0.5% 이상 높은 수치.
가장 전세값의 오름폭이 심한 곳은 인천으로 무려 평균 3.74%가 상승했다. 특히 인천 연수구의 송고금호어울림 55평형 전세값은 11.15대책 발표 당시 평균 2억2천5백만원선이었지만 2월 초 3억2천5백만원으로 1억원이 올랐다.
경기도에서는 안산(11.57%), 의왕(4.64%), 의정부(4.63%) 순으로 전셋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특히, 안산은 사동, 성포동, 선부동, 원곡동, 고잔동 등의 전세값 상승률은 10% 이상으로 폭등했다.
평균 1.75%의 상승률을 기록한 서울에서는 금천구(3.98%), 성북구(3.34%), 중구(3.25%) 순으로 전셋값 상승이 컸으며, 신도시는 평촌(3.18%), 중동(3.07%), 일산(2.20%) 등에서 신도시 평균 상승률(1.65%)을 웃돌았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50평형대 이상 대형 평형을 중심으로 전세값 상승을 주도했다. 용산구 한강로 3가 대우트럼프월드3차 57평형은 11월 중순 4억3천5백만원에서 무려 2억원이 오른 6억3천5배만원에 전세가가 형성됐다.
용산 대우트럼프 전세값 2억, 용인 죽전 자이 1억3천만원 급등
버블세븐 지역인 용인시 죽전의 자이2차 59평형은 전세값이 1억3천만원에서 현재 2억8천5백만원까지 올랐으며 안산시 사동 금강1차 54평형도 전세값이 1억원 오른 2억6천5백만원에 실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반면 11.15 대책 이후 소강상태에 접어든 수도권 아파트의 고분양가 행진은 3개월째 주춤하며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닥터아파트>에 띠르면 2006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수도권에 공급된 아파트의 분양가를 조사한 결과, 평균 1천4백만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하던 분양가는 2월 현재 평당 분양가가 1천만원 밑으로 떨어졌다.
반면 지난해 11월 1천만원을 넘지 못했던 수도권 주상복합 아파트의 평당 분양가는 2월 현재 2천6백만원을 넘어서는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남산 플래티넘, 리더스뷰 남산, 서초아트자이 등 평당 3천만원대를 넘어선 고분양가 주상복합아파트들이 일제히 분양에 실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아파트값 상승을 부추겼던 고분양가가 주춤하는데도 불구하고 전세값이 큰 폭으로 폭등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시장과 시민사회는 제각각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
<닥터아파트>는 전세값 급등의 원인으로 수요에 비해 전세물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부동산 정책 관련 입법이 지지부진, 집값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청약가점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로 인한 전세세입자들의 기대심리가 전세계약 기간 연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
이영호 리서치 팀장은 “현재 아파트 시장은 매매보다는 전세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있는데다 지난 해 무리한 매수 수요 때문에 전세 물건이 부족해 전셋값 상승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실련 "정부.국회 입법 미루는 사이 전월세 세입자 피해만 늘어"
그러나 상대적으로 재건축이 이뤄진 경기 의왕, 과천의 경우 대규모 이주수요 발생이 전세값 폭등의 주요 원인이 됐지만 마땅히 갈 곳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 의왕시는 1천 가구가 넘는 대우사원 아파트에서 이주수요가 발생하면서 전세값 상승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윤순철 경제정의실천연합 시민감시국장은 “정치권에서 입법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주택 소유자와 실수요자 모두 눈치를 보는 사이 전세 세입자들만 죽어나가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윤 국장은 특히 “정부가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마저 규제하는 상황에서 현재의 거품을 큰 폭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입법안들을 외면한다면 3~4월 이사철에 많은 세입자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국장은 "어차피 지금의 분양가 하락이나 전세값 상승은 시장이 정부와 국회 입법 논의를 지켜보면서 조정국면을 주도하고 있는 것"이라며 "입법을 통한 정책안정 없이는 부동산 시장의 불안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